[분석] 월가 큰손들의 3분기 포트폴리오 전격 해부! 승부의 방향은? – 2부
2025.11.26 11:00
[저자소개]
이관우님은 캐나다 MBA 출신으로, 외환 브로커지와 사모펀드에서 애널리스트와 포트폴리오 매니저를 역임했습니다. 현재는 캐나다 정부기관의 금융 매니저로 재직 중이며, CFA와 FRM 자격을 보유한 북미 금융 전문가입니다.



월가 내 최소 +$100 million 달러 (천억원) 이상의 자산 관리를 하는 투자기관들은 매 분기 마감 이후 45일 이내에 분기별 보유 주식 현황을 보고해야 한다는 규정을 반드시 준수해야 합니다.

지난 2025년 11월 14일 오후를 기점으로 유명 헤지펀드 투자 기관들의 최근 보유 주식 현황을 확인할 수 있는 13F 보고서들이 각종 투자 미디어/웹사이트들을 통해 전격 공개되었습니다.

높은 투자 수익률로 부와 명성을 동시에 확보한 이들 유명 헤지펀드 매니저들이 이끌고 있는 헤지펀드 투자 기관들의 ‘13F 보고서(13F Filings)’는 글로벌 주식 투자자들에게는 ‘공짜’ 투자 족보로서, 유명 투자자들이 매 분기 어떤 매수/매도 투자 활동을 했는지와 최근 보유 주식 현황을 확인할 수 있다는 측면에서 유용한 투자 정보를 제공합니다.

개인적으로 관심을 두고 매 분기 팔로우하는 +20~30여 개 유명 헤지펀드 투자 기관들의 최근 투자 현황에 대한 종합 분석글을 공유드리겠습니다.

다음 테이블은 이번 분석글에서 집중 리뷰해볼 유명 헤지펀드 리스트로서 기호에 맞는 투자기관들의 최근 투자 관심주들을 선별하신후 미국 주식 투자 아이디어로 참고하시면 좋겠습니다.

  • 기관명: 총 28개 유명 헤지펀드 투자기관 이름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시가총액$: 2025년 3분기 기준 (2025년 9월 30일 기준) 이들 유명 헤지펀드들이 운용하는 포트폴리오 상위 10권 (Top 10) 투자 규모입니다. 왼쪽 Treemap 차트는 이들 유명 헤지펀드들의 포트 투자 규모를 비교한 차트로서 박스 크기가 클수록 높은 투자 규모를 의미하는 한편, 가장 큰 박스를 이루는 버크셔 해서웨이 (Berkshire Hathaway: 파란색)는 이번 분석글에서 리뷰해볼 총 28개 유명 헤지펀드 투자기관들 중 가장 높은 상위10권 포트 규모 ($231.74 billion달러)를 기록하며, 그 다음 2번째로 높은 상위10권 포트 규모 ($163.75 billion달러)의 시타델 헤지펀드 (Citadel Advisors: 초록색) 가 관찰됩니다.
  • 포트비중%: 전체 포트폴리오내 상위10권 주식들의 투자 비중을 정리한 것이며, 버크셔 해서웨이의 상위 10권 주식들은 전체 포트 비중 +86.7%를 대변하는 한편 유명 퀀트펀드 투자기관 르네상스 테크놀로지스 상위 10권 주식들은 전체 포트 비중 +11.5%를 기록하는 것으로 집계 분석됩니다.
  • # of 종목코드: 상위 10권 주식 보유 현황을 집계한 테이블이겠으니, 대부분의 헤지펀드들은 모두 10개 주식을 보유한 것으로 확인됩니다. 버크셔 해서웨이 전체 포트의 +86.7%는 Top 10 주식들로 대변되는 가운데 반대로 유명 퀀트 펀드들은 상대적으로 낮은 상위 10권 주식 비중 (예: 르네상스의 +11.5%, 밀레니얼의 +17.7%, D.E. Shaw의 +13.5%, 투시그마의 +6.2% 등등)을 기록합니다. 유일하게 ‘중국의 워런 버핏’으로 통하는 유명 가치투자가 리루 (Li Lu) 가 이끄는 히말라야 헤지펀드 (Himalaya Capital) 의 경우에는 +9개 주식들이 전체 포트 비중 +100%를 대변한다는 점에서 극소수 주식들에 대한 집중 투자 전략이 유추됩니다.
  • # of 섹터: 각 헤지펀드들이 투자하는 섹터 수를 의미, 버크셔 해서웨이의 Top 10 주식들은 총 5개 섹터들로 구성되는 한편, 유명 행동주의 투자기관 그린라이트 캐피탈 (Greenlight Capital) 은 가장 많은8개 섹터들 (즉, 상위 10권 주식들은 총 8개 섹터들) 에 대한 분산 투자 전략을 추진중으로 종합 분석됩니다.
 

(9) 시타델 어드바이저스 (Citadel Advisors)


유명 HFT 퀀트 펀드(High Frequency Trading Quant Funds) 기관으로 정평이 난 시타델 헤지펀드를 이끄는 켄 그리핀은 월가는 물론 글로벌 금융 업계내 큰 손입니다.



지난 1990년 당시 20대 초반 켄 그리핀은 대학교 기숙사에서 시타델 헤지펀드를 창업하게 되며, 사업 초반 당시 투자자들에게는 매우 생소했던 전환사채를 통한 무위험차익거래 투자 전략으로 막대한 부와 명성을 축적하게 됩니다.

일명 절대수익 퀀트펀드 (즉, 주식 시장이 상승장이건 하락장이건 무조건 플러스 투자 수익률을 창출하는 퀀트 펀드) 투자가라는 높은 명성을 유지하는 켄 그리핀의 시타델 최근 투자 현황은 다음과 같겠습니다.

  • 시장 상황에 관계없이 절대수익을 추구하는 퀀트 펀드 답게 상위 10권 주식들 중 보통주 (common stocks) 에 대한 평범한 포지션은 찾아 볼 수 없겠으며, 포지션들 모두 콜 (CALL)/풋 (PUT) 옵션이라는 파생상품 투자 전략들로 구성됩니다.
  • 또한 % Change (빨간색) 부분에서와 같이 상위 10권 투자 전략들에 대한 부분 매도 전략이 추진된 것으로 분석되는 가운데 +22.9% 추가 매수 전략으로 분류되는 Invesco QQQ Trust 1 (포트랭킹 2위) 포지션 또한 주가 하락세에 베팅하는 풋 옵션 전략이라는 점에서 미국 증시 전반에 대한 방어적 투자 면모가 관찰됩니다.

다음은 시타델의 이번 2025년 3분기 13F 보고서 기준 추가 매수 (additional purchase) 주식 보유 현황을 요약한 테이블입니다.

  • 포트 랭킹 4위와 6위로 관찰되는 테슬라 주식에 대한 롱/풋 투자 전략처럼 앞서 살펴본 다른 유명 헤지펀드들의 보통주 (common stock) 또는 콜옵션, 풋옵션 전략이 아닌 동일한 기업에 대한 보통주/롱/풋 옵션 전략을 병행하는 파생상품 투자 전략에서 다시금 절대수익 퀀트펀드 투자 면모가 잘 파악됩니다.
 

(10) 퍼싱 스퀘어 (Pershing Square)


지난 2015년 유명 투자 미디어 포브스 (Forbes) 가 ‘베이비 버핏 (Baby Buffett)’ 이라는 커버스토리로 다뤘던 유명 머니 매니저, 빌 애크만 (Bill Ackman)은 잘생긴 외모와 성공적 투자 수익률을 창출하면서 차세대 금융 헤지펀드 슈퍼스타로 자리매김중입니다.



비록 워런 버핏처럼 지속적으로 꾸준한 성공 수익률을 창출하는 안정적 투자 면모를 보여주지는 않겠으니, 대표적으로 과거 ‘허벌라이프, 밸리언트 파마슈티컬즈, 테슬라’등에 대한 막대한 투자 실패로 한때 빌 애크만의 투자 명성은 바닥을 치게 됩니다.

그러나, 글로벌 팬더믹 후폭풍 사태로 주가 폭락세를 경험했던 지난 2020년 초반, 빌 애크만은 유명 투자 미디어에 출연하여 미국 주식 시장에 대한 매력 (BUY America) 을 피력하는 한편, 이후 ‘2020년판 빅 숏 전략’을 통해 단기간내 막대한 투자 수익을 창출하는 한편, 스타벅스, 나이키, 도미노 피자, 치폴레 멕시칸 그릴즈등 유명 소비자 브랜드 기업 주식들에 대한 적극적 매수 전략을 통해 천문학적 수치의 투자 수익률을 창출하는등 헤지펀드 매니저로서 ‘롱 & 숏 (Long & Short ) 전략’ 모든 측면에서 완벽한 투자 성공을 이끌어내는 유명 머니 매니저로서의 탁월한 투자 면모를 보여주게 됩니다.

지난 2019년 재혼에도 성공하면서 (빌 애크만이 재혼한 여성은 유명 헐리우드 배우 브래드 피트가 반했던 명문 MIT 교수, Neri Oxman로서 이후 월가에서는 ‘브래드 피트의 전여친을 매혹시킨 월가 브래드 피트, 빌 애크만’이라는 수식어로 언급) 현재 꽃길을 걷고 있는 빌 애크만의 퍼싱 스퀘어 캐피탈은 최근 어떤 주식들에 투자중일까요?



셀럽급 머니 매니저 빌 애크만이 이끄는 퍼싱 스퀘어 캐피탈 매니지먼트 (Pershing Square Capital Management) 전체 포트폴리오의 +99.3% 투자 비중을 대변하는 상위 10권 주식들에 대한 투자 현황은 아래 테이블과 같이 요약됩니다.

 

(11) 고담 에셋 매니지먼트 (Gotham Asset Management)


우리에게 ‘마법 공식 (Magic Formula)’ 주식투자 관련 베스트셀러 작가로도 잘 알려진 조엘 그린블라트를 수장으로 둔 유명 헤지펀드 투자기관은 바로 고담 에셋 매니지먼트 (Gotham Asset Management) 헤지펀드 입니다.



워런 버핏 (Warren Buffet), 세스 클라만 (Seth Klaman), 제임스 사이먼스 (James H. Simons) 등 국내 투자자들에게도 친숙한 유명 투자자들과는 달리 조엘 그린블라트 (Joel Greenblatt) 라는 이름은 상대적으로 생소하게 느껴지실 독자분들도 많으실 거라 생각되겠으나, 조엘 그린블라트가 출간한 다수의 투자 관련 서적들은 글로벌 투자자들의 손에 한 번쯤 거쳐갔을법한 베스트셀러로 조엘 그린블라트가 공개한 ‘마법 공식 (Magic Formula)’는 컴퓨터 알고리즘 모델에 입각한 퀀트 투자자들부터 가치 투자를 추구하는 개인투자자/기관투자자까지 널리 활용될 만큼 유명한 주식 투자 운영 전략으로 정평이 나있습니다.



이번 2025년 3분기 투자 기간동안 조엘 그린블라트의 마법공식은 다음 10개 상위권 주식들에 대한 높은 투자 비중을 유지한 것으로 집계 분석됩니다.

  • 가장 먼저 눈에 띄는 점은 다른 유명 헤지펀드들의 이번 2025년 3분기 기준 상위 10권 포트폴리오내 다수의 부분 매도 (sell) 전략을 통한 투자 비중 축소 움직임과는 달리 상단 테이블에서 보시다시피 상위 10권 주식들 모두에 대한 추가 매수 (buy) 전략이 추진되었다는 점입니다.
  • SPDR S&P 500 (SPY: 스파이더)는 미국 증시 대표 벤치마크 지수, S&P 500 지수와 연계된 ETF (상장지수펀드)로서, 미국 증시 내 시가 총액 상위 500개 상장 기업의 주가 흐름과 연동된 인덱스 종합 펀드입니다. 마법공식의 대가, 조엘 그린블라트의 고담 에셋 매니지먼트는 지난 2025년 2분기 SPY 보유 주식 수를 +32.1% 투자 비중 확대 결정한 이후 이번 2025년 3분기 또 다시 +29% 추가 매수를 통한 투자 비중 확대 전략을 추진한 것으로 집계 분석됩니다.
  • 개별 주식들 중에는 애플, 스노우플레이크 (SNOW) 등 미국 주식 시장내 유명 블루칩 테크 주식들에 대한 추가 매수 전략이 관찰됩니다.

다음은 마법 공식 투자 전략을 고수하는 고담 에셋 헤지펀드의 이번 2025년 3분기 13F 보고서 기준 신규 매수 (new purchase) 투자 현황을 요약한 테이블입니다.

  • 금융 (Finance) 섹터와 IT (Information Technology) 섹터내 폭넓은 신규 매수 전략이 관찰되겠으나, 포트 랭킹 측면에서 (가장 높은 신규 매수 전략주가 여전히 포트 랭킹 144위에 위치했다는 측면에서) 고담 에셋 헤지펀드 전체 포트폴리오의 투자 수익률을 좌지우지하기에는 다소 제한된 것으로 분석됩니다.

다음은 고담 에셋 헤지펀드의 이번 2025년 3분기 13F 보고서 기준 추가 매수 (additional purchase) 투자 현황을 요약한 테이블입니다.

  • 앞서 설명드린대로 상위 10권 주식들 모두에게 추가 매수 전략이 추진된 관계로, 포트 랭킹 11위부터 Next 상위 25개 추가 매수 전략주들에 대한 종합 테이블은 다음과 같이 확인됩니다.
  • 브로드컴 (AVGO), 메타플랫폼즈 (META), 팰런티어 (PLTR) 등 유명 테크 주식들에 대한 추가 매수 전략에서 유명 빅 숏 투자가, 마이클 버리의 사이언 에셋 헤지펀드와는 전혀 상반된 투자 전략을 고수하겠으며, 특히 지난 분기 대비 높은 추가 매수 전략이 추진된 비자 (V), QQQ, 웨더포드 (WFRD), 내셔널퓨얼가스 (NFG) 에 대한 고담 에셋 헤지펀드의 높은 투자 관심도 파악됩니다.
 

(12) 듀케인 패밀리 오피스


다음은 지난 1992년 영국 파운드 하락 베팅으로 천문학적 투자 수익을 올렸던 조지 소로스와 함께 퀀텀 펀드 (Quantum Fund)를 이끌었던 스탠리 드러켄밀러 (Stanley Druckenmiller) 가 이끄는 듀케인 패밀리 오피스 (Duquesne Family Office LLC)의 최근 주요 투자 종목 현황 리뷰입니다.



거물급 헤지펀드, 퀀텀 펀드(Quantum Fund) 를 이끄는 양대 산맥 인물하면 흔히 유명 억만장자 투자가, 조지 소로스 (George Soros)와 짐 로저 (Jim Roger)를 쉽게 연상하실 수 있으나, 월가 헤지펀드 업계 내에서 스탠리 드러켄밀러라는 인물은 조지 소로스의 기막힌 트레이딩 능력과 짐 로저의 탁월한 분석 능력을 모두 겸비한 현존하는 가장 위대한 투자 기계 (The greatest money making machine in history)라는 명성으로 통한다고 합니다.

지난 +30여년 투자 기간내 연평균 투자 수익률 +30% 달성, 단 한 해도 마이너스 투자 수익률 제로 (zero), +140여개 분기 중 단 5개 분기만에 대해서만 분기 투자 손실을 경험, 그것도 소액의 투자 자산이 아닌 전성기 시절에는 무려 +$20 billion 달러 이상의 투자 자산을 굴리면서 이와 같은 안정적 투자 수익률을 장기간 지속해 온 그의 투자 성과를 감안한다면 앞서 언급된 별명이 결코 과장된 표현이라고 할 수 없을 정도로 탄성이 나오게 됩니다.

현존하는 가장 위대한 투자 기계라는 닉네임의 소유자 스탠리 드러켄밀러가 투자 관심을 보이는 상위 10권 투자 현황은 다음과 같이 분석됩니다.

  • 2025년 3분기 기준 상위 10권 투자 종목들은 듀케인 패밀리 오피스 전체 포트내 +53.9% 비중을 대변합니다.
  • 헬스케어 (Health Care) 섹터내 관련주들 (NTRA, INSM, TEVA, VRNA) 에 높은 투자 비중 현황이 관찰됩니다.
  • 초록색 표시 부분에서와 같이 쿠팡 (CPNG), 메르카도리브레 (MELI), 다큐사인 (DOCU)에 대한 높은 투자 비중 확대 움직임이 관찰되며, 특히 DOCU 에 대해서는 지난 분기 대비 보유 주식수를 +30.7% 늘리면서 해당 기업에 대한 스탠리 드러켄밀러의 투자 낙관론이 추측됩니다.
  • [분석] 아마존 닮은 중남미 이커머스 거인, 메르카도 리브레

다음은 듀케인 패밀리 오피스의 이번 2025년 3분기 13F 보고서 기준 신규 매수 (new purchase) 투자 현황을 요약한 테이블입니다.


다음은 듀케인 패밀리 오피스의 이번 2025년 3분기 13F 보고서 기준 추가 매수 (additional purchase) 투자 현황을 요약한 테이블입니다.

  • 총 17개 추가 매수주 현황으로서 앞서 상위 10권 주식 현황에서 설명드린대로 DOCU에 대한 추가 매수 전략을 통한 투자 비중 확대 움직임이 관찰됩니다.
  • 흥미로운 점은 일부 추가 매수 전략주들은 중장기적 가치 투자 접근법을 추구하는 다른 유명 헤지펀드 투자기관들 (이들은 모두 최근 공유드린 초이스스탁US 13F 분석글을 통해 소개중) 의 전략과도 일맥상통한다는 점이겠습니다.
    • (QSR): 바우포스트 그룹, 퍼싱 스퀘어 캐피탈
    • (BAC), (LEN): 버크셔 해서웨이
    • (TBBB): 베일리 기포드
 

(13) 포인트72 에셋 매니지먼트 (Point72 Asset Management)


지난 2013년 내부자 거래 (Insider Trading) 스캔들과 지난 2018년 월스트리트 버전 “미투 운동” 스캔들에 휘말리는등 대외적으로 이미지를 실추했음에도, “헤지펀드 연봉킹”으로 소문난, 그리고 지난 2020년 9월에는 미국 MLB (프로야구: 메이저리그) 명문 구단, 뉴욕 메츠 (New York Mets) 를 $2.4 billion달러에 성공적으로 매수함으로서 새로운 MLB 구단주로 등극한 스티브 코헨의 Point72 에셋 매니지먼트 최근 투자 현황에 대한 리뷰입니다.



스티브 코헨 (Steve Cohen)은 지난 2013년 내부자 거래 스캔들 (Insider Trading) 에 연루되기 이전까지만해도 투자하는 주식들마다 ‘높은 주가 수익률’로 이어지는 “월스트리트 마이다스 손”이라는 투자 명성을 확보해왔습니다.

지난 2000년대 초반 미국 증시 대표 벤치마크 S&P 500 지수가 연평균 +8% 수익률을 기록할 당시 스티브 코헨의 SAC 캐피탈 어드바이저 (SAC Capital Advisors)는 같은 기간내 +70% 이상의 투자 수익률을 올렸으며, 지난 1992년 스티브 코헨이 $25 million달러 자산 규모로 설립한 SAC 캐피탈 어드바이저는 이후 10년간 연평균 +43% 수익률을 달성 (같은 기간 연평균 수익률 +12%의 S&P 500지수 대비 +30% 이상 높은 수익률) 하며 자산 규모를 무려 +$16 billion달러 (혹은 $16,000 million달러) 수준까지 늘리게 됩니다.

통상적으로 ‘2/20 rule’로 대변되는 일반적인 헤지펀드 보너스 (자산 규모의 2%와 투자 수익금의 20%를 자산관리 보너스로 부여받는) 정책과 달리 3/50 rule (자산 규모의 3%와 투자 수익금의 50%를 보너스로 부여하는)를 적용했던 SAC 캐피탈 어드바이저스의 투자 수수료 정책에도 헤지펀드 투자자들은 스티브 코헨의 탁월한 투자 수익률을 높이 평가하며, 너도나도 투자금을 스티브 코헨에게 맡기려 안달난 상황이였습니다.

그러나, 꽃길만을 걷던 스티브 코헨 투자 인생에 급브레이크를 건 이벤트가 발생, 바로 지난 2013년 스티브 코헨의 SAC 캐피탈 어드바이저스에 대한 내부자 거래 스캔들 의혹 사건이였습니다.

스티브 코헨은 내부자 거래 혐의를 전면 부정했으나, 당시 SAC 캐피탈 임직원 6명은 결국 혐의를 인정, 검찰에 구속되었으며, 지난 2014년 폐업을 결정한 SAC 캐피탈 어드바이저는 지난 2013년 내부자거래 스캔들 관련 총 $2 billion달러 이상의 법적 소송 비용을 충당한 것으로 집계됩니다.

내부자 거래 혐의로 외부투자금 유치 활동을 전면 금지당했던 스티브 코헨은 결국 자신의 재산을 기반으로 패밀리 오피스 형태의 Point72을 설립 유지하던 중 지난 2018년 내부자 거래 스캔들 관련 법률 소송 합의점에 도달, 본격적으로 외부 투자금 유치를 통한 헤지펀드 투자 활동을 진행중입니다.

지난 2014년 내부자 거래 혐의로 폐쇄시킨 SAC 캐피탈 어드바이저 (SAC Capital Advisor) 의 오명을 씻기 위해 스티브 코헨이 야심차게 런칭한 Point72 에셋 매니지먼트 (Point72 Asset Management) 헤지펀드 살림을 꾸려나가기에도 바쁠법한 스티브 코헨은 지난 2020년 글로벌 팬더믹 사태로 전세계가 혼란에 빠졌을 당시 또 다른 큰 M&A 투자 딜을 성사시키게 되었으니, 바로 지난 2020년 9월 미국 MLB (프로야구: 메이저리그) 명문 구단, 뉴욕 메츠 (New York Mets) 를 $2.4 billion달러에 성공적으로 매수함으로서 새로운 MLB 구단주로 등극한 M&A 이벤트였습니다.

  • 지난 2020년 전 뉴욕 양키스 MLB 슈퍼스타, 알렉스 로드리게스와 유명 헐리우드 팝 디바, 제니퍼 로페즈로부터의 뉴욕 메츠 M&A 건을 둔 치열한 경합 (그리고 $2.5 billion달러라는 천문학적 M&A 자금) 끝에 뉴욕 메츠 신 구단주로 등극한 스티브 코헨.
  • 유명 투자지 포브스 (Forbes) 가 선정한 2025년 기준 Top 10 MLB (메이저 리그 야구) 구단별 가치를 살펴본 결과, 스티브 코헨의 뉴욕 메츠 (New York Mets)는 현재 MLB 팀들 중 6번째로 높은 가치에 평가되는 한편, 뉴욕 메츠 구단 가치는 5년만에 $2.4 billion달러에서 +$3.2 billion달러로 상승, 스티브 코헨은 5년만에 뉴욕 메츠 투자를 통해 약 $800 million달러 (9천억원) 이익을 창출중입니다.

이처럼 월가는 물론 스포츠 업계내 높은 명성을 확보하는 스티브 코헨의 Point72 헤지펀드 상위 10권 투자 현황은 다음과 같이 분석됩니다.

  • 앞서 살펴본 마법공식의 고담 에셋 등 다른 유명 헤지펀드 투자기관들처럼 미국 주식 시장 대표 벤치마크 S&P 500지수와 연동된 상장지수펀드 (SPY)에 대한 투자 전략을 추진중입니다. 그러나 흥미롭게도 콜 (Call) 옵션과 풋 (Put) 옵션등 파생상품 옵션 투자 전략을 고수한 가운데 이번 2025년 3분기내 콜옵션 투자 (포트 랭킹 2위: SPY CALL) 비중은 +26.4% 추가 매수 전략에 그친 반면에 풋옵션 투자 (포트 랭킹 1위: SPY PUT) 비중은 지난 분기 대비 +147.1% 추가 매수 전략을 추진했다는 점에서 미국 증시 전반에 대한 비관론적 투자 접근법을 유추해볼 수 있겠습니다.
  • 상위 10권 주식들은 전체 포트 비중 +20.3%를 대변한 가운데 특히 포트 랭킹 5위 (QQQ PUT) 에 대한 보유 주식 수를 +2,863% 늘렸으며, 포트 랭킹 9위의 메타플랫폼즈 (META)와 포트 랭킹 10위 (TER) 주식에 대해서도 각각 +294.1% 추가 매수 전략과 +1,370% 추가 매수 전략을 추진했다는 점에서 Point72 헤지펀드의 해당 주식들에 대한 투자 낙관론이 예측됩니다.
  • 비록 높은 추가 매수 전략은 추진되지 않았으나, 포트 랭킹 3위의 엔비디아 (NVDA)를 포함한 다수의 IT 주식들 (MSFT, ANET, CRDO, AMZN, META, TER) 에 대한 높은 투자 비중이 관찰됩니다.


다음은 Point72의 이번 2025년 3분기 13F 보고서 기준 추가 매수 (additional purchase) 투자 현황을 요약한 테이블입니다.

 

(14) 베일리 기포드 (Baillie Gifford & Co Limited)


지난 1908년 설립된 영국 스코틀랜드 최대 자산운용사, 베일리 기포드는 사실 저와 같은 일반 개미 투자자들에게는 상대적으로 덜 알려진 투자기관입니다.



+117년 역사를 자랑하는 베일리 기포드의 투자 철학 또한 매우 흥미롭겠으니, 우리가 잘 알고 있는 현존하는 최고의 가치 투자가 워런 버핏 (Warren Buffett) 의 버크셔 해서웨이 (Berkshire Hathaway) 와 마찬가지로 중장기적 가치투자 접근법을 지향하는 한편 전형적 브랜드 & 생산 기업들 (애플, 코카콜라, 아메리칸 익스프레스, 크래프트 하인즈 등) 보다는 차세대 혁신 기술 기업들 (테슬라, 모더나, 쇼피파이, 아마존, 넷플릭스 등) 에 대한 중장기적 가치투자 접근법을 추구해왔다는 독특한 투자 면모가 눈에 띕니다.

실제로 이러한 베일리 기포드의 투자 접근법은 다수의 글로벌 유명 블루칩 기업들 (모더나, 테슬라, 쇼피파이, 아마존, 넷플릭스, 엔비디아 등)에 대한 초창기 성공 투자 수익률을 창출해왔으며, 이러한 이유에서 글로벌 투자자들은 베일리 기포드의 투자 족보에서 성공 잠재력을 지닌 무명의 성장주들에 대한 투자 실마리를 유추하는 투자 트랜드입니다.

다음은 이번 2025년 3분기 기준 베일리 기포드 상위 10권 주식 보유 현황을 분석한 자료로 우선 Treemap 에서 한눈에 파악되듯이 왼쪽 각 기업별 측면에서는 균등하게 분산된 투자 배분 현황이 관찰되는 반면에 오른쪽 각 섹터별 측면에서는 대부분 정보통신 기술주들에 편중된 투자 면모가 관찰됩니다.


다음은 베일리 기포드의 이번 2025년 3분기 13F 보고서 기준 신규 매수 (new purchase) 투자 현황을 요약한 테이블입니다.

  • 신규 매수 전략을 완료한 총 19개 주식들에 대한 세부 현황으로서 (COIN), (FIG), (ARM), (ADBE) 등 다수의 유명 테크 주식들에 대한 투자 움직임이 관찰됩니다.

다음은 베일리 기포드의 이번 2025년 3분기 13F 보고서 기준 추가 매수 (additional purchase) 투자 현황을 요약한 테이블입니다.

  • 빨간색으로 표시된 (RKLB), (BZ), (MNDY), (EQR), (TBBB) 주식들에 대한 높은 3자릿수 이상의 추가 매수 전략을 통한 투자 비중 확대 움직임이 관찰된 가운데 또 다른 흥미로운 추가 매수 트렌드는 초록색 표시된 다수의 전기 & 유틸리티 종목들에 대한 활발한 추가 매수 전략이겠으니, 이는 AI열풍을 감안한 데이터 센터형 전기 수요 급증을 감안한 투자 전략으로 확인됩니다.
  • [분석] 전기먹는 AI, 빅테크는 '핵'에 주목...핵심 수혜 종목 공개!
 

(15)  투 시그마 (Two Sigma)


글로벌 유명 퀀트 펀드 D.E. Shaw & Co에서 managing director로 근무하던 수학 천재, John Overdeck과 CIO(Chief Information Officer)로 근무하던 David Siegel가 지난 2001년 공동 설립한 투 시그마 인베스트먼트는 이후 탁월한 투자 수익률과 폭발적 자산 규모 증가율로 월가 대표 퀀트 펀드로 자리매김 중입니다.



글로벌 최대 전자상거래 그룹, 아마존닷컴의 제프 베조스와 마찬가지로 D.E. Shaw & Co 헤지펀드에서 비즈니스 커리어를 쌓아온 John Overdeck과 David Siegel가 이끌고 있는 투 시그마 매니지먼트의 최근 주요 보유 주식 현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 Finance 섹터내 가장 높은 투자 비중이 관찰된 가운데 그 이유는 포트 랭킹 1~3위가 모두 상장지수펀드 (ETF: Exchange Traded Fund) 들로 구성되었기 때문이며, 특히 테이블내 오렌지 색 표시 부분에서와 같이 포트 랭킹 2~3위 종목들에 대한 높은 추가 매수 전략이 확인됩니다.
  • 상위 10권 주식들 중 유일한 단일 기업 주식들로는 포트 랭킹 8위의 팰런티어 (PLTR)와 포트 랭킹 9위의 마이크론 테크놀로지스 (MU)로 관찰되며, PLTR 에 대해서는 부분 매도 전략을 통한 기존 보유 주식 수를 소폭 감소 결정한 반면에 MU 에 대해서는 지난 분기 대비 +224.9% 추가 매수 전략을 추진한 것으로 집계 분석됩니다.

 

(16) 펀드스미스 (FundSmith)




‘영국의 워런 버핏’으로 불리는 테리 스미스 (Terry Smith) 가 이끌고 있는 펀드스미스 (Fundsmith)의 이번 2025년 3분기 기준 13F 보고서 투자 현황을 종합한 테이블로서 역시나 닉네임에 걸맞게 나름 상위 10권 주식들에 대한 높은 투자 비중 (+71%)을 유지한 것으로 집계됩니다.

  • 상위 10권 주식들은 펀드스미스 전체 포트 비중 +67.7%를 기여중이며, 포트 랭킹 7위의 워터스 (WAT) 에 대한 추가 매수 전략을 제외한 나머지 상위 10권내 주식들에 대한 부분 매도 전략이 관찰, 이들 중 특히 포트 랭킹 4위 (MSFT) 와 포트 랭킹 9위 (META) 에 대한 투자 비중을 대폭 감소 결정한 것으로 분석됩니다.


다음 시간에는 이번 2025년 3분기 13F 보고서 시리즈 마지막 분석글로서 월가에서는 헤지펀드 업계내 소위 “타이거 컵스 (Tiger Cubs)”라 불리는 유명 헤지펀드 투자기관들의 최근 투자 관심주들 및 이번 2025년 3분기 13F 보고서를 통해 리뷰해본 유명 헤지펀드 투자기관들의 투자 공통점 (Top 10 주식 보유 현황 및 신규/추가 매수 전략 비교를 통한 투자 공통점 = Recap: 2025년 3분기 13F 보고서 투자 관심주들)에 대해서 함께 리뷰해볼 계획입니다.
목록보기

인기글

듀오링고 듀오링고 넷플릭스

[분석] AI 시대, 습관으로 성장하는 에듀테크 리더 - 듀오링고 (DUOL)

2025.11.05 11:00

세즐 블록(스퀘어) 타겟

[분석] BNPL 대장주 세즐(SEZL), 폭등 후 반토막...10가지 Red Flags 체크 - Part 2

2025.10.29 11:00

인튜이티브서지컬 인튜이티브서지컬 존슨앤존슨

[분석] 메스는 옛말, 이젠 로봇팔의 시대..다빈치로 시장 장악한 인튜이티브 서지컬(ISRG)

2025.11.12 11:00

팝업닫기

AI가 알려주는 투자타이밍!

초이스스탁US 프리미엄

  • 1지금살까? 특허받은 전종목 매매신호
  • 2매수부터 매도까지! 종목추천
  • 3투자매력과 적정주가를 한눈에 종목진단
팝업닫기

AI가 알려주는 투자타이밍!

초이스스탁US 프리미엄

  • 1지금살까? 특허받은 전종목 매매신호
  • 2매수부터 매도까지! 종목추천
  • 3투자매력과 적정주가를 한눈에 종목진단

결제 처리중 입니다...

중복결제가 될 수 있으니 페이지를 새로고침 하거나 이동하지 마시고 잠시 기다려주세요.

구독취소 처리중 입니다...

취소 에러가 날 수 있으니 페이지를 새로 고침하거나 이동하지 마시고 잠시 기다려주세요.

카드변경 처리중 입니다...

카드변경 에러가 날 수 있으니 페이지를 새로 고침하거나 이동하지 마시고 잠시 기다려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