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소개]
이관우님은 캐나다 MBA 출신으로, 외환 브로커지와 사모펀드에서 애널리스트와 포트폴리오 매니저를 역임했습니다. 현재는 캐나다 정부기관의 금융 매니저로 재직 중이며, CFA와 FRM 자격을 보유한 북미 금융 전문가입니다.
월가 내 최소 +$100 million 달러 (천억원) 이상의 자산 관리를 하는 투자기관들은 매 분기 마감 이후 45일 이내에 분기별 보유 주식 현황을 보고해야 한다는 규정을 반드시 준수해야 합니다.
지난 2025년 11월 14일 오후를 기점으로 유명 헤지펀드 투자 기관들의 최근 보유 주식 현황을 확인할 수 있는 13F 보고서들이 각종 투자 미디어/웹사이트들을 통해 전격 공개되었습니다.
높은 투자 수익률로 부와 명성을 동시에 확보한 이들 유명 헤지펀드 매니저들이 이끌고 있는 헤지펀드 투자 기관들의 ‘13F 보고서(13F Filings)’는 글로벌 주식 투자자들에게는 ‘공짜’ 투자 족보로서, 유명 투자자들이 매 분기 어떤 매수/매도 투자 활동을 했는지와 최근 보유 주식 현황을 확인할 수 있다는 측면에서 유용한 투자 정보를 제공합니다.
개인적으로 관심을 두고 매 분기 팔로우하는 +20~30여 개 유명 헤지펀드 투자 기관들의 최근 투자 현황에 대한 종합 분석글을 공유드리겠습니다.
다음 테이블은 이번 2025년 3분기 분석글 시리즈에서 집중 리뷰해볼 유명 헤지펀드 리스트로서 기호에 맞는 투자기관들의 최근 투자 관심주들을 선별하신후 미국 주식 투자 아이디어로 참고하시면 좋겠습니다.
- 기관명: 총 28개 유명 헤지펀드 투자기관 이름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시가총액$: 2025년 3분기 기준 (2025년 9월 30일 기준) 이들 유명 헤지펀드들이 운용하는 포트폴리오 상위 10권 (Top 10) 투자 규모입니다. 왼쪽 Treemap 차트는 이들 유명 헤지펀드들의 포트 투자 규모를 비교한 차트로서 박스 크기가 클수록 높은 투자 규모를 의미하는 한편, 가장 큰 박스를 이루는 버크셔 해서웨이 (Berkshire Hathaway: 파란색)는 이번 분석글에서 리뷰해볼 총 28개 유명 헤지펀드 투자기관들 중 가장 높은 상위10권 포트 규모 ($231.74 billion달러)를 기록하며, 그 다음 2번째로 높은 상위10권 포트 규모 ($163.75 billion달러)의 시타델 헤지펀드 (Citadel Advisors: 초록색) 가 관찰됩니다.
- 포트비중%: 전체 포트폴리오내 상위10권 주식들의 투자 비중을 정리한 것이며, 버크셔 해서웨이의 상위 10권 주식들은 전체 포트 비중 +86.7%를 대변하는 한편 유명 퀀트펀드 투자기관 르네상스 테크놀로지스 상위 10권 주식들은 전체 포트 비중 +11.5%를 기록하는 것으로 집계 분석됩니다.
- # of 종목코드: 상위 10권 주식 보유 현황을 집계한 테이블이겠으니, 대부분의 헤지펀드들은 모두 10개 주식을 보유한 것으로 확인됩니다. 버크셔 해서웨이 전체 포트의 +86.7%는 Top 10 주식들로 대변되는 가운데 반대로 유명 퀀트 펀드들은 상대적으로 낮은 상위 10권 주식 비중 (예: 르네상스의 +11.5%, 밀레니얼의 +17.7%, D.E. Shaw의 +13.5%, 투시그마의 +6.2% 등등)을 기록합니다. 유일하게 ‘중국의 워런 버핏’으로 통하는 유명 가치투자가 리루 (Li Lu) 가 이끄는 히말라야 헤지펀드 (Himalaya Capital) 의 경우에는 +9개 주식들이 전체 포트 비중 +100%를 대변한다는 점에서 극소수 주식들에 대한 집중 투자 전략이 유추됩니다.
- # of 섹터: 각 헤지펀드들이 투자하는 섹터 수를 의미, 버크셔 해서웨이의 Top 10 주식들은 총 5개 섹터들로 구성되는 한편, 유명 행동주의 투자기관 그린라이트 캐피탈 (Greenlight Capital) 은 가장 많은8개 섹터들 (즉, 상위 10권 주식들은 총 8개 섹터들) 에 대한 분산 투자 전략을 추진중으로 종합 분석됩니다.
(1) 버크셔 해서웨이 (Berkshire Hathaway)
현존하는 최고의 가치 투자가 워런 버핏 (Warren Buffet) 이 이끄는 버크셔 해서웨이 (Berkshire Hathaway) 전체 포트폴리오의 +86.7% 투자 비중을 대변하는 상위 10권 주식들에 대한 투자 현황은 아래 테이블과 같이 요약됩니다.
- Treemap 차트에서 확인되듯이 개별 종목들 중에는 포트 랭킹 1위의 애플 (AAPL)과 포트 랭킹 2위의 아메리칸 익스프레스 (AXP)에 대한 높은 투자 비중이 관찰되며, 섹터별로는 금융 (FINANCE) 섹터와 IT (Information Technology) 섹터내 높은 투자 비중이 관찰됩니다.
- 애플 (AAPL): 워런 버핏의 애플 기업에 대한 무한 투자 사랑은 이미 글로벌 투자자들에게 정평이 난 팩트이겠으니, 애플은 지난 2016년 1분기 초기 매수 시점부터 2025년 3분기 현재 시점까지 무려 +9년 넘게 여전히 버크셔 해서웨이 포트 랭킹 1위를 차지중입니다. 그러나, 최근 지속적으로 기존 보유해온 애플 주식에 대한 부분 매도 전략으로 한때 +5.3% 애플 기업 지분을 확보했던 버크셔 해서웨이는 2025년 3분기 기준 +1.6% 로 애플 지분율을 대폭 감소시킨 가운데 이번 2025년 3분기 투자 기간내 기존 애플 보유 주식에 -14.9% 부분 매도 전략을 통해 또 다시 애플 투자 지분을 감소 결정한 것으로 집계됩니다.
- 애플 주식과 함께 이번 2025년 3분기 투자 기간내 부분 매도 전략을 통한 투자 비중 축소 움직임이 관찰되는 기업은 포트 랭킹 3위의 뱅크 오브 아메리카 (BAC) 로, 지난 분기 대비 보유 주식 수를 -6.2% 감소 결정했습니다.
- 반면에 상위 10권 주식들 중 유일한 추가 매수 전략주는 포트 랭킹 8위에 군림하는 (CB) 기업으로서 지난 분기 대비 보유 주식 수를 +15.9% 늘린 것으로 분석되며, 지난 2025년 1~2 분기 기간내 추가 매수 전략이 관찰되었던 에너지 관련주들 (포트 랭킹 5위: 쉐브론, 포트 랭킹 6위: 옥시덴탈 페트롤리움) 에 대해서는 중립 자세 (no change) 를 고수한 것으로 분석됩니다.
다음은 버크셔 해서웨이의 지난 2025년 2분기 기준과 이번 2025년 3분기 기준 상위 10권 주식 변동 현황을 비교 분석한 테이블입니다.
- 지난 2025년 2분기 상위 10권 주식들은 버크셔 해서웨이 전체 포트의 +87.3%를 대변했다면, 이번 2025년 3분기 기준 전체 포트의 +86.7% 비중으로 소폭 감소한 것으로 분석됩니다.
- 지난 2025년 2분기 상위 10권 주식들 중 대부분은 이번 2025년 3분기 그대로 Top 10 포트 자리를 유지한 가운데 유일하게 포트 랭킹 10위 기업이 지난 분기의 다비타 (DVA) 에서 알파벳/구글 (GOOGL)로 바뀐점이 눈에 띄겠습니다.
- 앞서 설명드린대로 이번 2025년 3분기내 상위10권 주식들 중 부분 매도 전략을 통해 투자 비중을 감소 결정한 종목들에는 포트 랭킹 1위 애플 (AAPL)과 포트 랭킹 3위를 유지하는 미국 최대 금융 & 은행 기업, 뱅크 오브 아메리카 (BAC)로 확인됩니다.
다음은 이번 2025년 3분기 기준 버크셔 해서웨이의 신규 매수 전략주 현황입니다.
- 오랜 기간 알파벳/구글 주식을 보유한 주주 입장에서 너무나 반가운 소식이겠으니, 이번 2025년 3분기 기준 현존하는 최고의 가치투자가 워런 버핏 스승님께서 이끄는 버크셔 해서웨이의 유일한 신규 매수 주식은 바로 글로벌 최대 테크 기업, 알파벳/구글 (GOOGL) 이였습니다.
- 애플에서 최근 알파벳/구글로의 새로운 IT 관심주 매수 전략을 추진하는듯한 버크셔 해서웨이 투자 움직임에서 지난 9년간 ‘애플 주식 샤이닝 효과’가 알파벳/구글 주식 상승 효과로 재현될지 여부에 월가의 찬반론이 맞붙은 현재 미국 증시 상황입니다.
- 배경 지식 차원에서 알파벳/구글 기업에 대한 초이스스탁 US 분석글 링크를 다음과 같이 공유드립니다.
다음 테이블은 이번 2025년 3분기 기준 버크셔 해서웨이가 추가 매수 전략을 통해 기존 투자 비중을 확대 결정한 주식들 현황입니다.
- Treemap 차트를 통해 처브 (CB) 주식에 대한 높은 추가 매수 전략이 관찰되며, 이러한 투자 결정은 금융 (FINANCE) 섹터내 높은 추가 매수 전략으로 재해석됩니다. 처브는 전 세계 최대 규모의 상장 손해보험 (P&C) 회사로, 54개국과 지역에서 기업 및 개인 고객에게 다양한 보험 상품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상업보험, 개인보험, 농업보험, 해외보험, 글로벌 재보험, 생명보험 등 여러 부문에서 종합적인 보험 솔루션을 제공하며, 특히 리스크 관리 프로그램, 손실 통제, 복잡한 클레임 관리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 도미노 피자 (DPZ): 오랜 기간 글로벌 피자 레스토랑 업계 넘사벽 블루칩 기업으로서 승승장구했으나, 최근 주가 약세를 경험하는 DPZ 주식에 대한 지난 분기 대비 +13.2% 투자 비중 확대 움직임이 관찰됩니다. 이는 지난 2025년 2분기에 이어서 지속적 추가 매수 전략으로 해석되며, 이에 힘입어 버크셔 해서웨이의 도미노 피자 기업 지분율 또한 지난 2025년 2분기의 +7.7% 지분율에서 +1% 상승한 +8.7% 지분율을 확보한 것으로 집계 분석됩니다.
- 놀랍게도 지난 2025년 2분기 무려 +136.3% 추가 매수 전략을 통해 투자 비중을 대폭 확대했던 (POOL) 주식에 대해서는 최근 주가 급락세 움직임에도 이번 2025년 3분기내 중립 자세 (no change) 를 고수한 것으로 집계되는 한편, 기업 배경 지식 차원에서 최근 초이스스탁 US 분석글 링크를 공유드립니다.
(2) 사이언 에셋 매니지먼트 (Scion Asset Management)
아마도 이번 2025년 3분기 13F 보고서 시리즈를 통틀어 가장 임팩트가 컸던 유명 헤지펀드 투자기관이 이번에 소개드릴 사이언 에셋 매니지먼트가 아닐까 생각됩니다.
사이언 에셋 매니지먼트(Scion Asset Management)의 수장, 마이클 버리(Michael Burry)는 이미 영화 ‘빅 숏(The Big Short: 지난 2008년 미국 서브프라임 모기지 금융 붕괴 사태 당시, 글로벌 투자은행들을 상대로 천문학적 공매도 종합 투자 베팅을 통해 거액의 수익을 올린 4명의 주요 금융인들에 대한 내용을 다룬 영화)’에서 우리에게 배트맨 캐릭터로도 잘 알려진 크리스천 베일 (아래 무비 포스터) 이 연기한 실존 인물입니다.
무비 빅 숏 (The BIG SHORT)
사이언 에셋의 수장, 마이클 버리 박사에 대한 보다 깊은 이해와 공감을 위해 ‘빅 숏’ 무비 클립들 중 가장 즐겨 시청한 2가지 무비 클립을 다음과 같이 선정했습니다.
빅숏 무비 클립 (1)
가장 즐겨 본 클립 중 하나로 마이클 버리 박사가 골드만 삭스 투자 은행을 찾아가 미국 주택 시장 폭락에 베팅하기 위한 '크레딧 디폴트 스왑(CDS: Credit Default Swap)' 파생 상품을 그에게 판매하길 요구하는 부분입니다.
회의를 마치고 나가는 마이클 버리 박사의 뒤로 비친 투자 은행가들의 비웃음을 뒤로하고 골드만 삭스 이후 현재 기업 역사상 최고의 위기에 봉착하고 있는 유럽 최대 은행, '도이치 뱅크(Deutsch Bank)', 가치 투자가 워렌 버핏의 버크셔 해서웨이가 집중 투자하고 있는 미국 최대 은행, '뱅크 오브 아메리카(Bank of America)' 등 유명 투자 은행을 직접 방문하며, 크레딧 디폴트 스왑 종합 상품을 사재기하는 마이클 버리의 모습이 매우 인상 깊었던 부분입니다.
참고로 CDS(Credit Default Swap: 크레딧 디폴트 스왑 혹은 신용 부도 스왑)는 기업의 파산 위험 자체를 사고팔 수 있도록 만든 파생금융상품(financial derivatives)을 의미, 거래 당사자들 중 A(CDS Buyer)그룹은 B(CDS Seller)그룹에게 수수료(보험금)를 지급하는 대신, 해당 기업이 부도 혹은 경영난에 따른 채무 이행이 불가능하게 될 경우 상대방(B 그룹)으로부터 보상받도록 설계된 일종의 보험으로 생각하시면 됩니다.
즉, 이번 클립에서 마이클 버리 (CDS Buyer)는 당시 존재하지도 않은 CDS 파생 상품을 자신에게 판매하길 유명 투자 은행들 (CDS Seller)에게 요구, 당시 천정부지 상승하는 미국 주택 시장을 경험해온 투자 은행 관계자들 입장에서는 그야말로 누워서 떡먹기 (즉, 주택 시장 부도 가능성 제로 => 마이클 버리로부터 매번 높은 수수료 (보험금) 지급 보장 => 은행 수익 증가) 사업 기회로 결론을 내렸으며, 이처럼 스스로 자신의 돈을 헌납하겠다고 자청하는 마이클 버리 박사를 비웃게 됩니다.
물론 우리는 모두 그 이후 발생하게 될 충격적 시장 이벤트 (즉, 미국 주택 시장 붕괴 => 투자 은행들은 마이클 버리에게 막대한 CDS 보험금 지급)를 잘 주지하고 있겠습니다.
빅숏 무비 클립 (2)
지난 2007~08년 미국 서브프라임 모기지 금융 사태가 터지기 3년전이였던 지난 2005년부터 일찌감치 미국 주택 시장에 대한 공매도 포지션을 사재기한 마이클 버리 박사입니다.
당시 고공 행진하던 주택 시장의 붕괴에 베팅하는 마이클 버리의 공매도 포지션이 무모한 투자라고 인식하며 격노한 투자자들은 각종 항의, 협박, 고소 메일을 보내오며 그가 추진하던 투자전략에 크나큰 저항을 표현하게 됩니다.
결국 높은 수익률을 올렸음에도 그를 신뢰하지 못했던 기존의 투자자들에 대한 실망감)과 함께 당시 외부 투자금 전액 상환을 통해 헤지펀드, '사이언 캐피탈(Scion Capital)'을 폐쇄하기로 결정한 마이클 버리의 독백을 담은 클립입니다.
재생 구간 2분쯤에서 보여주는 사이언 캐피탈 투자 수익률 +489%과 투자 순이익 $2.69 billion 달러 수치가 그동안 마이클 버리의 투자에 의구심을 보였던 투자자들에게 날리는 완벽한 카운터펀치로 대변됩니다.
이처럼 지난 2008년 금융위기 당시 어마어마한 투자 수익을 올렸으나, 금융위기 당시 자신의 투자자들에게 회의감을 느끼며 당시 운용했던 사이언 캐피탈(Scion Capital) 헤지펀드를 폐쇄한 마이클 버리는 자신이 벌어들인 막대한 투자 수익금 중 일부를 기반으로 지난 2015년부터 ‘사이언 에셋 매니지먼트(Scion Asset Management)’라는 투자 기관을 만들어 월가 내 재입성을 하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유명 빅숏 (Big Short) 투자가 마이클 버리 박사가 이끄는 사이언 에셋 매니지먼트 (Scion Asset Management) 전체 포트폴리오의 +100% 투자 비중을 대변하는 상위 8개 주식들에 대한 투자 현황은 아래 테이블과 같이 요약됩니다.
- 유명 빅숏 투자자의 명성이 제대로 입증된 2025년 3분기 기준 사이언 에셋 헤지펀드의 투자 현황입니다.
- 풋 (PUT) 옵션 전략: 풋 (PUT) 전략은 해당 주식이 하락할 것에 베팅하는 옵션 전략입니다. Treemap에서 가장 큰 박스를 차지하는 보라색의 팰런티어 풋 (PLTR PUT) 포지션과 빨간색의 엔비디아 풋 (NVDA PUT) 옵션 전략이 가장 먼저 눈에 띕니다.
- 이는 2025년 현재 미국 증시내 가장 핫한 2개의 A.I. 대표 테마 주식들이 하락할 것임에 베팅하고 있는 유명 빅숏 투자가, 마이클 버리의 당찬 투자 면모를 잘 대변하는 투자 전략입니다. 게다가 비록 총 8개 주식들로 구성된 사이언 에셋 주식 포트퐅리오이겠으나, 실질적으로는 상위 1~2위 주식들 (팰런티어 풋 + 엔비디아 풋) 이 사이언 에셋 전체 포트폴리오의 +79.% 비중을 대변한다는 점에서 곧 이번 2025년 3분기 사이언 에셋 투자 전략은 A.I. 버블 폭망 사태에 대한 빅 숏 투자 베팅 전략이라해도 과언이 아니겠습니다.
- 이번 2025년 3분기내 유일한 추가 매수 전략은 최근 급격한 주가 조정기를 경험중에 있는 글로벌 최대 요가 & 애슬레저 브랜드 기업 룰루레몬 (LULU)에 대한 기존 보유 주식 수를 +100% 늘린 추가 매수 전략입니다.
다음은 사이언 에셋의 지난 2025년 2분기 기준과 이번 2025년 3분기 기준 상위 10권 주식 변동 현황을 비교 분석한 테이블입니다.
- 매분기 사이언 에셋 매니지먼트의 13F 보고서를 리뷰하면서 느끼는 점은 역시나 유명 빅숏 (BIG SHORT) 투자가답게 증시 상황에 걸맞는 다이나믹한 투자 전략을 구사하는 점이며, 이러한 빅숏 투자가 마이클 버리의 명성은 이번 2025년 3분기 투자 기간에도 재입증됩니다.
- 아래 하단 핑크색 테이블에서와 같이 지난 2025년 2분기 대다수의 주식들에 대한 주가 상승 베팅 콜 옵션 (Call Option) 전략을 추진했던 마이클 버리는 이번 2025년 3분기내 대규모 풋 옵션 (Put Option) 투자 전략으로 전환, 이는 상단 네이비색 테이블속 빨간색 표시 부분에서 입증되듯이 팰런티어 (PLTR) 와 엔비디아 (NVDA) 주가 폭락세에 대한 과감한 빅 숏 투자 전략으로 대변됩니다.
- 포트폴리오 달러 규모 측면에서는 지난 분기의 $543 million 달러에서 +2배 상승한 $1,381 million달러로 투자 규모가 증가한 가운데 상위 1~2권 주식들에 대해서만 이미 +$1,000 million달러 (+$1 billion달러) 이상의 높은 빅 숏 투자 베팅 전략을 추진한다는 점에서 사이언 에셋 헤지펀드의 수장, 마이클 버리 박사의 뚝심있는 역발상적 투자 면모가 관찰됩니다.
사이언 에셋 헤지펀드의 2025년 3분기 13F 보고서 분석글 초반부에서 이미 언급드린대로 이번 13F 분석글 시리즈에서 사이언 에셋 헤지펀드가 가장 드라마틱하면서 임팩트가 컸던 유명 헤지펀드 투자기관으로 생각되는 이유는 바로 마이클 버리 박사의 지난 2025년 10월 27일 헤지펀드 셧 다운 결정 소식 때문입니다.
앞서 살펴본 빅숏 무비 클립 (2) 에서와 같이 지난 2007~08년 천문학적 투자 수익률을 올렸음에도 투자 회의감을 느끼며 사이언 캐피탈 (Scion Capital) 을 폐쇄 결정했던 유명 빅 숏 투자가 마이클 버리 박사가 또 다시 2025년 11월 사이언 에셋 매니지먼트 (Scion Asset Management) 헤지펀드를 폐쇄 결정한 움직임에 글로벌 투자 커뮤니티내 미국 증시 AI 버블 사태 현실화 가능 여부에 대한 치열한 찬반론이 대치중입니다.
(3) 아팔루사 매니지먼트 (Appaloosa Management)
글로벌 투자자 사이에서 ‘테퍼 랠리 (Tepper Rally: 아팔루사 매니지먼트의 데이비드 테퍼 회장이 투자 미디어에서 미국 증시에 대한 낙관론을 표명하면 그 이후 실제로 증시 호황기(Bullish Market)가 확인된다는 금융 현상을 일컫는 투자 용어)’라는 투자 용어로도 유명한 억만장자 투자가, 데이비드 테퍼 (David Tepper) 가 이끌고 있는 미국의 유명 헤지펀드 투자 기관, 아팔루사 매니지먼트(Appaloosa Management)의 2025년 3분기 기준 주요 투자 현황 분석입니다.
- 아팔루사 전체 포트폴리오 +57.6% 투자 비중을 대변하는 상위 10권 투자 현황입니다.
- 상위 10권 주식들 중 6개 주식들 (BABA, AMZN, GOOG, NRG, META, VST) 에 대한 부분 매도 (% change 내 마이너스 %) 전략과 4개 주식들에 대한 추가 매수 (WHR, NVDA, KWEB, TSM) 전략이 관찰되며, 상위 10권 주식들 중 신규 매수 (new purchase) 주식들은 존재하지 않은 것으로 집계 분석됩니다.
- 지난 2025년 2분기 신규 매수 (당시 포트 랭킹 35위) 한 이후 이번 2025년 3분기 높은 추가 매수로 단숨에 포트 랭킹 3위에 위치한 월풀 (WHR) 에 대한 기존 보유 주식 수를 무려 +1,967% 이상 추가 매수한 것으로 집계됩니다. 월풀 (Whirlpool) 은 주방 및 세탁 가전제품을 제조하는 글로벌 가전기업으로서, Whirlpool을 비롯해 KitchenAid, Maytag, JennAir, Amana 등 다양한 브랜드를 보유하고 있으며, 주방 가전과 세탁 가전을 중심으로 전 세계 소비자들에게 고품질 가전제품을 공급하고 있습니다.
- 비록 일부 주식들에 대한 부분 매도 전략을 결정했음에도 여전히 아팔루사 상위10권 주식 그룹내 포함된 기업들에 대한 기존 초이스스탁US 분석글을 배경지식 차원에서 공유드립니다.
다음은 아팔루사의 이번 2025년 3분기 13F 보고서 기준 신규 매수 (new purchase) 투자 현황을 요약한 테이블입니다.
- 총 10개 신규 매수 주식들 중 6개 주식들이 모두 금융 (Finance) 주들로 구성됩니다.
- 총 2개 신규 매수 주식들 (그러나 포트 랭킹 및 신규 매수 투자 규모 측면에서 가장 높은 2개 신규 매수 주식들) 로는 AMD (AMD) 와 파이서브 (FI) 이며, 배경 지식 차원에서 최근 초이스스탁 US 분석글을 다음과 같이 첨부드립니다.
다음은 아팔루사의 이번 2025년 3분기 13F 보고서 기준 추가 매수 (additional purchase) 투자 현황을 요약한 테이블입니다.
- 이번 2025년 3분기 투자 기간동안 총 9개 주식들에 대한 추가 매수 전략을 추진한 가운데 ‘% Change’ 부분 (빨간색 표시 부분) 에서 입증되듯이 (WHR),(QCOM)), (GT), (MHK) 에 대한 대규모 추가 매수 전략에 따른 해당 기업들에 대한 아팔루사 (데이비드 테퍼) 헤지펀드의 낙관적 투자 견해가 유추됩니다.
다음은 아팔루사의 지난 2025년 2분기 기준과 이번 2025년 3분기 기준 상위 10권 주식 변동 현황을 비교 분석한 테이블입니다.
- 포트폴리오 달러 ($) 측면에서 큰 변동이 없는 반면에 상위 10권 주식 투자 비중은 지난 분기 +64.7% 대비 이번 분기 +57.6%로 축소되었습니다.
- 상위 10권 주식들 중 3개 신규 진입 주식들 (WHR, KWEB, TSM) 이 관찰될 가운데 특히 WHR과 KWEB에 대한 높은 추가 매수 전략에서 해당 주식들에 대한 아팔루사의 투자 낙관론이 유추됩니다.
(4) 르네상스 테크놀로지스 (Renaissance Technologies)
월드 클래스급 수학자이자 억만장자 투자가로 유명했던 그러나 아쉽게도 지금은 하늘나라에 계신 제임스 사이먼스 (James H. Simons)이 설립한 글로벌 최대 퀀트 헤지펀드 투자 기관, 르네상스 테크놀로지스 (Renaissance Technologies)의 2025년 3분기 기준 주요 투자 현황입니다.
퀀트 펀드 특성상, 아래 테이블내 요약된 이번 2025년 3분기 기준 르네상스 테크놀로지스 상위 10권 주식들의 투자 비중은 +11.5% 수준으로 집계, 이는 앞서 소개드린대로 워런 버핏의 버크셔 해서웨이 투자기관을 포함한 기업 펀더멘털 지표에 입각한 중장기적 가치 투자 전략 헤지펀드들 (상위10권 주식들의 +80~90% 수준의 높은 투자 비중 대변) 과는 사뭇 대조적 투자 양상을 띈 것으로 분석됩니다.
- 오른쪽 Treemap은 르네상스의 상위 10권 주식들이 포함된 섹터별 투자 비중을 나타낸 차트로서 정보통신 기술 (Information Technology) 섹터내 높은 투자 베팅 전략이 관찰되며, 이들 Top10 그룹들 중 5개 기업들 (PLTR, NVDA, RBLX, APP, MSFT)로 구성됩니다.
- 흥미로운 점은 앞서 살펴본 빅 숏 투자가 마이클 버리의 사이언 에셋 헤지펀드와는 사뭇 대조적 투자 접근법이 관찰된다는 점입니다. 포트 랭킹 1~2위 주식들이 팰런티어 (PLTR)와 엔비디아 (NVDA) 로 구성된다는 공통점이 관찰되겠으나, 이들 주식들의 하락세에 베팅하는 사이언 에셋의 풋 옵션 전략과는 달리 이들 주식의 상승 여력에 베팅하는 르네상스 테크놀로지스의 매수 전략이 극명히 대조적 투자 면모를 시사합니다. 그러나 이들 상위 1~2위 주식들에 대한 대규모 부분 매도 전략을 통해 기존 보유 주식 수를 대폭 감소 결정했다는 점에서 단기간내 주가 조정기 (하락세)에 대한 르네상스 테크놀로지스 유명 퀀트 펀드의 방어적 투자 접근법 또한 간과할 수 없겠습니다.
- 상위 10권 주식들 중 대부분에 대한 높은 부분 매도 전략을 추진했으나, 이와는 대조적으로 포트 랭킹 7위에 위치한 마이크로소프트 (MSFT) 주식에 대해서는 +248.2% 추가 매수 전략을 추진한 르네상스 테크놀로지스 헤지펀드 입니다.
다음은 르네상스의 이번 2025년 3분기 13F 보고서 기준 신규 매수 (new purchase) 투자 현황을 요약한 테이블입니다.
- 퀀트 기관 답게 이번 2025년 3분기내 르네상스 테크놀로지스는 총 +517개 주식들에 대한 신규 매수 전략을 추진했으며, 다음 테이블은 투자 규모면에서 상위 25개 신규 매수 주식들을 요약한 투자 자료입니다.
- 알파벳/구글 (GOOG), 테슬라 (TSLA) 와 같은 유명 테크 기업들에서부터 허니웰 (HON), 신타즈 (CTAS) 와 같은 산업주들, 인튜이티브 서지컬 (ISRG), 스타라이커 (SYK) 와 같은 헬스케어 주식들 등등 다양한 섹터내 분포된 투자 종목들에 대한 분산 투자 전략이 관찰되며, 특히 최근 초이스스탁US 분석글을 통해 소개드린 ISRG 에 대한 신규 매수 전략을 추진한 점이 흥미롭게 다가옵니다.
다음은 르네상스의 이번 2025년 3분기 13F 보고서 기준 추가 매수 (additional purchase) 투자 현황을 요약한 테이블입니다.
- 역시나 퀀트 기관 답게 이번 2025년 3분기내 르네상스 테크놀로지스는 총 +1,456개 주식들에 대한 추가 매수 전략을 추진했으며, 다음 테이블 중 이들 중 투자 규모면에서 상위 25개 추가 매수 주식들을 요약한 투자 자료입니다.
- (GOOGL), (META), (IONQ), (KO), (CMCSA), (ACN), (ROP), (RIVN)등에 대한 높은 추가 매수 전략이 눈에 띄며, 특히 알파벳/구글 주식에 대한 투자 비중 확대 움직임에서는 중장기적 가치 투자 접근법을 고수하는 버크셔 해서웨이와 단기간내 기술적 분석에 입각한 퀀트 펀드 투자 접근법을 고수하는 르네상스 테크놀로지스 사이의 투자 공통점이 파악된다는 점 역시 흥미롭게 다가옵니다.
(5) D.E. Shaw
아마존닷컴 창업가 제프 베조스 잠시 머물었던 유명 헤지펀드 투자 기관이자 제프 베조스의 사회 초년생 시절, ‘사수’로도 잘 알려진 데이비드 쇼가 이끄는 월가 유명 퀀트 헤지펀드 그룹, D.E. 쇼 앤 컴퍼니 (D.E. Shaw & Company) 의 2025년 3분기 주요 투자 현황은 다음과 같겠습니다.
- 상위 10권 주식들 중 정보통신 기술 (Information Technology) 섹터내 높은 투자 비중이 관찰되며, 특히 이번 2025년 3분기 투자 기간내 엔비디아, 마이크로소프트, 브로드콤 (AVGO), 메타플랫폼즈 (META) 등에 대한 높은 추가 매수 전략이 관찰됩니다.
다음은 D.E. Shaw의 이번 2025년 3분기 13F 보고서 기준 추가 매수 (additional purchase) 투자 현황을 요약한 테이블입니다.
- D.E. Shaw가 추가 매수한 총 +1,782개 주식들 중 상위 25개 주식들을 정리한 테이블입니다.
- 테이블내 높은 3자릿수 이상의 추가 매수 전략주들을 파란색 선으로 표시한 가운데, 인튜이티브 서지컬 (ISRG) 종목에 대한 유명 퀀트 펀드들 (르네상스 테크놀로지스와 D.E. Shaw) 에 대한 적극적 매수 전략이 관찰됩니다.
(6) 서드 포인트 (Third Point)
월가 내 유명 기업사냥꾼 투자자 (activist investors) 로 유명한 다니엘 롭을 수장으로 둔 서드 포인트 (Third Point LLC) 의 최근 주요 보유 주식 현황 (2025년 9월 30일 기준) 에 대한 종합 분석입니다.
- 전체 포트폴리오의 +52.9% 투자 비중을 대변하는 상위 10권 주식들 중 대부분의 주식들에 대한 높은 부분 매도 전략 또는 중립 자세를 유지한 가운데 유일하게 포트 랭킹 4위의 마이크로소프트 (MSFT) 주식에 대한 +175% 추가 매수 전략에서는 앞서 살펴본 다른 유명 헤지펀드 투자기관들과의 투자 공통 분모가 파악됩니다.
다음은 Third Point의 이번 2025년 3분기 13F 보고서 기준 신규 매수 (new purchase) 투자 현황을 요약한 테이블입니다.
다음은 Third Point의 이번 2025년 3분기 13F 보고서 기준 추가 매수 (additional purchase) 투자 현황을 요약한 테이블로서, 마이크로소프트 (
MSFT) 이외에도 (
CASY), (
SN), (
META) 주식들에 대한 높은 추가 매수 전략이 파악됩니다.
(7) 바우포스트 그룹 (Baupost Group)
이번에는 워런 버핏과 함께 가치 투자 개념을 정립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는 세스 클라만 (Seth Klarman)이 이끄는 가치 투자 전문 헤지펀드, 바우포스트 그룹 (Baupost Group LLC)의 최근 주요 주식 보유 현황에 대한 간략한 리뷰입니다.
가치 투자계의 큰손, 세스 클라만은 대표적인 가치 종합 투자자이면서, 셀럽 베스트셀러 작가로도 유명합니다.
1991년 출판되었던 도서 “안전마진 (Margin of Safety: Risk-Averse Value Investing Strategies for the Thoughtful Investor)”을 통해 세스 클라만은 가치 투자 이론의 대부였던 벤자민 그레이엄의 “안전 마진 (Margin of Safety)” 개념을 정립했으며, 거의 30년이 흐른 현재 아마존닷컴/이베이 중고 서적 거래 웹사이트 등에서 그의 안전마진 서적은 여전히 1권당 $1,000~$2,000달러의 고가에 판매되고 있는 투자계의 바이블로 자리매김하고 있습니다.
“안전 마진 (Margin of Safety)”이란, 기업의 내재 가치가 현재의 시장 가격 (시가총액 혹은 현재 주가)과 비교해볼때 높은 수준을 확보하고 있음을 의미합니다.
예를 들면, 기업의 내재가치가 10억으로 산출된 가운데, 시장 가격은 5억에 평가되고 있다면, 이 기업은 5억 원을 ‘안전 마진’으로 확보하고 있으며, 이러한 안전 마진이 충분히 확보될수록 투자 손실을 기록할 가능성은 줄어드는 반면, 향후 기업의 가치가 적정 가격 (다시 말하면, 기업의 내재 가치) 으로 평가될 경우, 그 수익률은 상대적으로 더 높아진다는 이론입니다.
안전 마진 개념을 재정립하고 있는 가치투자계의 대부격, 세스 클라만을 수장으로 둔 바우포스트 그룹의 이번 2025년 3분기 기준 상위 10권 주식들에 대한 투자 현황은 다음과 같겠습니다.
- 레스토랑 브랜즈 인터내셔널 (QSR): 캐나다의 유명 커피 & 도넛 프랜차이즈 브랜드 팀홀튼 (Tim Hortons)과 햄버거 브랜드 버거킹 (Burger King), 치킨 브랜드 파파이스 (Popeyes), 샌드위치 브랜드 파이어하우스 섭 (Firehouse Subs) 등 다수의 유명 패스트푸드 프랜차이즈를 보유한 글로벌 넘버5 레스토랑 브랜드 기업에 대한 +103.8% 추가 매수 전략을 추진한 결과, QSR 은 여전히 바우포스트 그룹 포트 랭킹 1위자리를 유지중입니다.
- 알파벳/구글 (GOOGL): 지난 분기 동안 지속적으로 알파벳/구글 주식을 매수한 결과 이번 2025년 3분기 기준 바우포스트 그룹 전체 포트 랭킹 2위의 높은 투자 비중을 책임지는 한편, 이번 분기내 기존 보유 주식 수를 -29.5% 대폭 감소 결정한 것으로 집계 분석됩니다.
다음은 세스 클라만이 이끄는 바우포스트 그룹의 이번 2025년 3분기 13F 보고서 기준 신규 매수 (new purchase) 투자 현황을 요약한 테이블로서, 철도 관련주 유니온 퍼시픽 (
UNP)를 포함한 총 4개 신규 매수주들이 관찰됩니다.
다음은 바우포스트 그룹의 이번 2025년 3분기 13F 보고서 기준 추가 매수 (additional purchase) 투자 현황을 요약한 테이블로서, 특히 포트 랭킹 1위 QSR 주식과 포트 랭킹 3위 엘레반스 헬스 (
ELV)에 대한 높은 추가 매수 전략이 관찰됩니다.
(8) 브릿지워터 어소시에이츠 (Bridgewater Associates)
국내 투자자들에게도 너무 잘 알려진, 별도의 소개가 필요없는 억만장자 투자가, 레이 달리오 (Ray Dalio) 가 이끌고 있는 유명 헤지펀드 투자기관, 브릿지워터 어소시에이츠 (Bridgewater Associates, 이하 ‘브릿지워터) 의 2025년 3분기 기준 주요 투자 현황에 대한 간략한 리뷰입니다.
- 브릿지워터 전체 포트폴리오의 +32.5% 투자 비중을 대변하는 상위10권 주식들 중 특히 금융 (Finance) 섹터내 높은 투자 비중이 관찰되며, 이는 은행/보험등 특정 개별 금융주들에 대한 투자 전략이 아닌 IVV, SPDR S&P500 (SPY)등 상장지수펀드 (ETF) 에 대한 투자 전략으로 분류됩니다.
- 일명 ‘스파이더(SPDR)’라고도 불리는 SPDR S&P 500 상장지수펀드 (SPDR S&P 500 ETF) 주식 코드로서, 미국 증시 대표 벤치마크 지수, S&P 500 지수와 연계된 ETF (상장지수펀드)를 의미, 즉, 미국 증시 내 시가 총액 상위 500개 상장 기업의 주가 흐름과 연동된 인덱스 종합 펀드입니다.
- 레이 달리오의 브릿지워터는 알파벳/구글과 엔비디아 주식에 대한 높은 부분 매도 전략을 통해 기존 투자 비중을 대폭 감소 결정한 반면에 램리서치 (LRCX)와 어도비 (ADBE)에 대한 높은 추가 매수 전략이 관찰됩니다.
다음은 브릿지워터의 이번 2025년 3분기 13F 보고서 기준 신규 매수 (new purchase) 투자 현황을 요약한 테이블입니다.
다음은 브릿지워터의 이번 2025년 3분기 13F 보고서 기준 추가 매수 (additional purchase) 투자 현황을 요약한 테이블입니다.
- 초록색 표시된 일부 추가 매수 주식들 (다수의 반도체 관련주들 포함) 에 대한 적극적 매수 활동이 관찰되며, 특히 초이스스탁US 분석글을 통해 공유드렸던 메르카도리브레 (MELI)에 대한 보유 주식 수를 무려 +1,237.7% 투자 비중 확대한 것으로 관찰됩니다.
다음 시간에는 ‘절대수익 유명 퀀트 펀드’로 정평이 난 시타델 어드바이저스 (Citadel Advisors), ‘리틀 워런 버핏’으로 통하는 빌 애크만의 퍼싱 스퀘어 캐피탈 (Pershing Square Capital), ‘마법 공식’으로 유명한 조엘 그린블라트를 수장으로 둔 고담 에셋 매니지먼트 (Gotham Asset Management) 를 포함한 유명 헤지펀드 투자기관들의 최근 2025년 3분기 13F 보고서 투자 현황에 대한 추가 분석 콘텐츠로 찾아뵙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