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석] 23개 월가 큰손들의 투자 포트폴리오 대공개! 2분기 돈의 흐름은? – 3부
2025.09.03 11:00
[저자소개]
이관우님은 캐나다 MBA 출신으로, 외환 브로커지와 사모펀드에서 애널리스트와 포트폴리오 매니저를 역임했습니다. 현재는 캐나다 정부기관의 금융 매니저로 재직 중이며, CFA와 FRM 자격을 보유한 북미 금융 전문가입니다.



월가 내 최소 +$100 million 달러 (천억원) 이상의 자산 관리를 하는 투자기관들은 매 분기 마감 이후 45일 이내에 분기별 보유 주식 현황을 보고해야 한다는 규정을 반드시 준수해야 합니다.

지난 2025년 8월 14일 오후를 기점으로 유명 헤지펀드 투자 기관들의 최근 보유 주식 현황을 확인할 수 있는 13F 보고서들이 각종 투자 미디어/웹사이트들을 통해 전격 공개되었습니다.

높은 투자 수익률로 부와 명성을 동시에 확보한 이들 유명 헤지펀드 매니저들이 이끌고 있는 헤지펀드 투자 기관들의 ‘13F 보고서(13F Filings)’는 글로벌 주식 투자자들에게는 ‘공짜’ 투자 족보로서, 유명 투자자들이 매 분기 어떤 매수/매도 투자 활동을 했는지와 최근 보유 주식 현황을 확인할 수 있다는 측면에서 유용한 투자 정보를 제공합니다.

개인적으로 관심을 두고 매 분기 팔로우하는 +20~30여 개 유명 헤지펀드 투자 기관들의 최근 투자 현황에 대한 종합 분석글을 공유드리겠습니다.

다음 테이블은 이번 분석글에서 집중 리뷰해볼 총 23개 유명 헤지펀드 리스트로서 기호에 맞는 투자기관들의 최근 투자 관심주들을 선별하신후 2025년 미국 주식 투자 아이디어로 참고하시면 좋겠습니다.

  • 기관명: 총 23개 유명 헤지펀드 투자기관 이름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시가총액$: 2025년 2분기 기준 (2025년 6월 30일 기준) 이들 유명 헤지펀드들이 운용하는 포트폴리오 상위 10권 (Top 10) 투자 규모입니다. 왼쪽 Treemap 차트는 이들 유명 헤지펀드들의 포트 투자 규모를 비교한 차트로서 박스 크기가 클수록 높은 투자 규모를 의미하는 한편, 가장 큰 박스를 이루는 버크셔 해서웨이 (네이비색)는 이번 분석글에서 리뷰해볼 총 23개 유명 헤지펀드 투자기관들 중 가장 높은 상위10권 포트 규모 ($224.78 billion달러)를 기록하며, 그 다음 2번째로 높은 상위10권 포트 규모 ($155.86 billion달러)의 시타델 헤지펀드가 관찰됩니다.
  • 포트비중%: 전체 포트폴리오내 상위10권 주식들의 투자 비중을 정리한 것이며, 버크셔 해서웨이의 상위 10권 주식들은 전체 포트 비중 +87.3%를 대변하는 한편 유명 퀀트펀드 투자기관 르네상스 테크놀로지스 상위 10권 주식들은 전체 포트 비중 +12.1%를 기록하는 것으로 집계 분석됩니다.
  • # of 종목코드: 상위 10권 주식 보유 현황을 집계한 테이블이겠으니, 대부분의 헤지펀드들은 모두 10개 주식을 보유한 것으로 확인됩니다. 버크셔 해서웨이 전체 포트의 +87.3%는 Top 10 주식들로 대변되는 가운데 반대로 유명 퀀트 펀드들은 상대적으로 낮은 상위 10권 주식 비중 (예: 르네상스의 +12.1%, 투시그마의 +7.7%)을 기록합니다. 유일하게 ‘중국의 워런 버핏’으로 통하는 유명 가치투자가 리루가 이끄는 히말라야 헤지펀드의 경우에는 +9개 주식들이 전체 포트 비중 +100%를 대변한다는 점에서 극소수 주식들에 대한 집중 투자 전략이 유추됩니다.
  • # of 섹터: 각 헤지펀드들이 투자하는 섹터 수를 의미, 버크셔 해서웨이의 Top 10 주식들은 총 5개 섹터들로 구성되는 한편, 유명 행동주의 투자기관 서드 포인트는 가장 많은8개 섹터들 (즉, 상위 10권 주식들은 총 8개 섹터들)에 대한 분산 투자 전략을 추진중으로 종합 분석됩니다.
 

(16) 바우포스트 그룹 (Baupost Group)


이번에는 워런 버핏과 함께 가치 투자 개념을 정립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는 세스 클라만 (Seth Klarman)이 이끄는 가치 투자 전문 헤지펀드, 바우포스트 그룹 (Baupost Group LLC)의 최근 주요 주식 보유 현황에 대한 간략한 리뷰입니다.



가치 투자계의 큰손, 세스 클라만은 대표적인 가치 종합 투자자이면서, 셀럽 베스트셀러 작가로도 유명합니다.

1991년 출판되었던 도서 “안전마진 (Margin of Safety: Risk-Averse Value Investing Strategies for the Thoughtful Investor)”을 통해 세스 클라만은 가치 투자 이론의 대부였던 벤자민 그레이엄의 “안전 마진 (Margin of Safety)” 개념을 정립했으며, 거의 30년이 흐른 현재 아마존닷컴/이베이 중고 서적 거래 웹사이트 등에서 그의 안전마진 서적은 여전히 1권당 $1,000~$2,000달러의 고가에 판매되고 있는 투자계의 바이블로 자리매김하고 있습니다.



“안전 마진 (Margin of Safety)”이란, 기업의 내재 가치가 현재의 시장 가격 (시가총액 혹은 현재 주가)과 비교해볼때 높은 수준을 확보하고 있음을 의미합니다.

예를 들면, 기업의 내재가치가 10억으로 산출된 가운데, 시장 가격은 5억에 평가되고 있다면, 이 기업은 5억 원을 ‘안전 마진’으로 확보하고 있으며, 이러한 안전 마진이 충분히 확보될수록 투자 손실을 기록할 가능성은 줄어드는 반면, 향후 기업의 가치가 적정 가격 (다시 말하면, 기업의 내재 가치) 으로 평가될 경우, 그 수익률은 상대적으로 더 높아진다는 이론입니다.

안전 마진 개념을 재정립하고 있는 가치투자계의 대부격, 세스 클라만을 수장으로 둔 바우포스트 그룹의 이번 2025년 2분기 기준 상위 10권 주식들에 대한 투자 현황은 다음과 같겠습니다.

  • 알파벳 (GOOGL): 지난 분기 +45.7% 추가 매수 이후 이번 분기 또 다시 +26.8% 추가 매수 전략에 힘입어 2025년 2분기 기준 알파벳/구글은 유명 가치투자자 세스 클라만이 이끄는 바우포스트 그룹 포트 랭킹 1위 주식으로 자리매김하며, 바우포스트 그룹 전체 포트 비중 +11.3%를 대변합니다.
  • IT 기술주에 편중된 다른 유명 헤지펀드들의 상위 10권 포트폴리오와는 사뭇 대조적으로 산업, 금융, 원자재, 헬스케어등 다방면 섹터내 분산 투자된 바우포스트 그룹의 상위 10권 주식 현황입니다.
  • 레스토랑 브랜즈 (QSR): 캐나다에 거주하신 분들께서는 팀홀튼 (Tim Hortons)이라는 유명 커피 & 도넛 프랜차이즈 기업명이 친숙하게 다가오실텐데요, QSR 기업은 햄버거 브랜드 버거킹 (Burger King), 팀홀튼 (Tim Hortons), 치킨 브랜드 파파이스 (Popeyes), 샌드위치 브랜드 파이어하우스 섭 (Firehouse Subs) 등 다수의 유명 패스트푸드 프랜차이즈를 보유한 글로벌 넘버5 레스토랑 브랜드 기업입니다. 지난 2024년 4분기 기준 바우포스트 그룹은 기존 보유 주식 수를 +10,155.53% 투자 비중 확대 결정했으며, 이는 2025년 1분기의 +33.9% 추가 매수 전략 및 이번 2025년 2분기 +4.2% 추가 매수 전략등 지속적으로 QSR 주식에 대한 낙관적 투자론을 표명합니다. 최근 한국 시장내 진출한 후 사업 고전을 경험하는 팀홀튼 소식을 접한 기억이 떠오르는데요, 과연 세스 클라만은 QSR 기업으로부터 어떠한 투자 가치를 발견한 것일지 주식 투자자의 입장에서 관심이 기울여집니다. (조선경제 기사 원문 링크: '캐나다 국민 커피' 팀홀튼, 한국에선 부진... 가맹사업으로 돌파구 모색)

다음은 세스 클라만이 이끄는 바우포스트 그룹의 이번 2025년 2분기 13F 보고서 기준 신규 매수 (new purchase) 투자 현황을 요약한 테이블입니다.



다음은 바우포스트 그룹의 이번 2025년 2분기 13F 보고서 기준 추가 매수 (additional purchase) 투자 현황을 요약한 테이블입니다.


 

(17) 르네상스 테크놀로지스 (Renaissance Technologies)


월드 클래스급 수학자이자 억만장자 투자가로 유명했던 그러나 아쉽게도 지금은 하늘나라에 계신 제임스 사이먼스 (James H. Simons)이 설립한 글로벌 최대 퀀트 헤지펀드 투자 기관, 르네상스 테크놀로지스 (Renaissance Technologies)의 2025년 2분기 기준 주요 투자 현황입니다.



이번 2025년 2분기 투자 기간내 섹터별 상위10권 주식 투자 비중이 큰 변동이 발생했으니, 아래 이미지에서와 같이 지난 분기 상대적으로 높은 투자 비중을 대변하던 헬스케어 (Health Care) 섹터 투자 비중은 이번 2025년 2분기내 현저히 감소한 반면에 그 축소 부분을 정보통신 기술 (Information Technology) 섹터와 커뮤니케이션스 (Communications) 섹터들이 대체중입니다.



컴퓨터 알고리즘 모델 (기술적 분석: technical analysis) 에 기반을 둔 퀀트 펀드 특성상, 아래 테이블내 요약된 이번 2025년 2분기 기준 르네상스 테크놀로지스 상위 10권 주식들의 투자 비중은 +12.1% 수준으로 집계, 이는 앞서 소개드린대로 워런 버핏의 버크셔 해서웨이 투자기관을 포함한 기업 펀더멘털 지표에 입각한 중장기적 가치 투자 (fundamental analysis) 전략 헤지펀드들 (상위10권 주식들의 +80~90% 수준의 높은 투자 비중 대변) 과는 사뭇 대조적 투자 양상을 띈 것으로 분석됩니다.

  • 지난 분기 상위 10권 주식들 중 5개 기업들이 포함된 헬스케어 (Healthcare) 섹터내 투자 비중은 이번 2025년 2분기 투자 기간을 기점으로 대폭 감소하는 한편 그 빈자리를 정보통신 기술 (Information Technology) 섹터와 커뮤니케이션스 (Communications) 섹터들이 대체중입니다.
  • 정보통신 기술 (Information Technology) 섹터 관심주: 상위 10권내 포함된 IT 주식들로는 팰런티어 (PLTR), 엔비디아 (NVDA), 로블록스 (RBLX) 가 포함된 가운데 특히 엔비디아에 대한 최근 적극적 추가 매수 전략 (기존 보유 주식 수를 +584.2% 투자 비중 확대) 이 눈에 띕니다.
  • 커뮤니케이션스 (Communications) 섹터 관심주: VRSN과 NFLX, SPOT등이 포함되며, 특히 넷플릭스 (NFLX)에 대한 기존 보유 주식 수를 무려 +131,892% 투자 비중 확대한 점에서 NFLX 주가 모멘텀에 큰 원동력을 제공하는 르네상스 퀀트 헤지펀드의 최근 NFLX 매수 전략이 재입증됩니다.
  • [분석] 글로벌 음원 스트리밍 시장 석권 스포티파이, 이제는 팟캐스트로 승부수

다음은 르네상스 테크놀로지스의 지난 2025년 1분기 기준과 이번 2025년 2분기 기준 상위 10권 주식 변동 현황을 비교 분석한 테이블입니다.

  • 상위10권 투자 규모는 +28.9% 증가한 (시가총액$ = $9 billion달러) 가운데 지난 분기 대비 상당 수의 10위권 주식들 변동 상황이 연출됩니다.
  • 역시나 가장 괄목할만한 부분은 지난 분기 제약/의약/헬스케어 관련주들에 대한 높은 투자 비중이 최근 들어 IT & 기술주들에 대한 적극적 매수 전략으로 전환되었다는 점이겠으며, 이러한 투자 트랜드를 이끄는 대표 기업들은 엔비디아와 넷플릭스로 분류됩니다.

다음은 르네상스의 이번 2025년 2분기 13F 보고서 기준 신규 매수 (new purchase) 투자 현황을 요약한 테이블입니다.

  • 퀀트 기관 답게 이번 2025년 2분기내 르네상스 테크놀로지스는 총 +612개 주식들에 대한 신규 매수 전략을 추진 (비교차원에서 지난 2025년 1분기내 추진된 신규 매수 주식 수는 총 +457개 주식들로서 퀀트 펀드 투자 기관 면모를 찾아볼 수 있는 매수 전략을 추진)했으며, 다음 테이블은 투자 규모면에서 상위 25개 신규 매수 주식들을 요약한 투자 자료입니다.
  • 스노우플레이크 (SNOW), 시 (SE), 오토데스크 (ADSK) 등과 같은 유명 IT 기술주들에 대한 신규 매수전략이 관찰되며, 특히 글로벌 비디오 게임 업계를 주도하는 테이크-투 (TTWO)와 일렉트로닉 아츠 (EA)에 대한 신규 매수 전략 또한 흥미롭게 다가옵니다.
  • 신규 매수 주식들 중 르네상스 테크놀로지스 포트 랭킹 21위에 위치한 유나이티드헬스 그룹 (UNH) 주식 투자 현황에서는 앞서 살펴본 버크셔 해서웨이와 같은 가치 투자 세력들에서부터 르네상스 테크놀로지스로 대변되는 퀀트 투자 세력들에 이르기까지 다방면 투자 세력들로부터 낙관적 투자 매수 전략을 집중받고 있다는 이번 2025년 2분기 투자 기간내 흥미로운 투자 트랜드가 유추됩니다.

다음은 르네상스의 이번 2025년 2분기 13F 보고서 기준 추가 매수 (additional purchase) 투자 현황을 요약한 테이블입니다.

  • 역시나 퀀트 기관 답게 이번 2025년 2분기내 르네상스 테크놀로지스는 총 +1,577개 주식들에 대한 추가 매수 전략을 추진했으며, 다음 테이블은 이들 중 투자 규모면에서 상위 25개 추가 매수 주식들을 요약한 투자 자료입니다.
  • % Change 수치를 살펴볼때 이들 상위 25 (Top 25) 추가 매수주들 중 특히나 르네상스 테크놀로지스의 적극적 추가 매수 전략이 관찰되는 대표 관심주들은 다음과 같이 재요약됩니다.
    • 엔비디아 (NVDA): 지난 분기 대비 보유 주식 수 +584.2% 증가
    • 넷플릭스 (NFLX): 지난 분기 대비 보유 주식 수 +131,892.2% 증가
    • 애플 (AAPL): 지난 분기 대비 보유 주식 수 +52,145.5% 증가
    • 카바나 (CVNA): 지난 분기 대비 보유 주식 수 +324.4% 증가
    • AT&T (T): 지난 분기 대비 보유 주식 수 +238.4% 증가
 

(18) D.E. Shaw




아마존닷컴 창업가 제프 베조스 잠시 머물었던 유명 헤지펀드 투자 기관이자 제프 베조스의 사회 초년생 시절, ‘사수’로도 잘 알려진 데이비드 쇼가 이끄는 월가 유명 퀀트 헤지펀드 그룹, D.E. 쇼 앤 컴퍼니 (D.E. Shaw & Company) 의 2025년 2분기 주요 투자 현황은 다음과 같겠습니다.

  • 방금 살펴본 르네상스 테크놀로지스 헤지펀드와 더불어 월가내 유명 퀀트 펀드로서의 투자 명성을 유지하는 D.E. Shaw 헤지펀드의 상위 10권 주식들은 테이블에서와 같이 정보통신 기술 (Information Technology) 섹터내 편중된 것으로 분석됩니다. 또한 엔비디아 (NVDA), 넷플릭스 (NFLX), 팰런티어 (PLTR)등 일부 관심주들은 공통적으로 상위10권 그룹내 포함되는 등 높은 투자 비중을 유지한다는 투자 공통분모도 찾아 볼 수 있겠습니다.
  • SPDR S&P500 (SPY): 일명 ‘스파이더(SPDR)’라고도 불리는 SPDR S&P 500 상장지수펀드 (SPDR S&P 500 ETF) 주식 코드로서, 미국 증시 대표 벤치마크 지수, S&P 500 지수와 연계된 ETF (상장지수펀드)를 의미, 즉, 미국 증시 내 시가 총액 상위 500개 상장 기업의 주가 흐름과 연동된 인덱스 종합 펀드입니다. 유명 퀀트 D.E. Shaw 헤지펀드는 지난 2024년 4분기내 SPY 기존 보유 주식 수 +1,260.74% 투자 비중 확대 결정한 이후 2025년 올들어 지속적으로 SPY 포트 랭킹 1위 투자 포지션을 유지중입니다.
  • 2025년 2분기 기준 D.E. Shaw의 상위 10권 주식들 중 높은2~3자릿수 이상의 추가 매수 전략이 관찰되는 관심주들로는 포트 랭킹 2위의 엔비디아 (NVDA), 포트 랭킹 3위의 애플 (AAPL), 포트 랭킹 5위의 넷플릭스 (NFLX), 그리고 포트 랭킹 7~10위를 나란히 유지하는 제너럴 일렉트릭 (GE), 티-모바일 US (TMUS), 엔비디아콜 (NVDA CALL), 마이크론 테크놀로지 (MU)들로 구성됩니다.

다음은 D.E. Shaw 퀀트 전략형 헤지펀드의 지난 2025년 1분기 기준과 이번 2025년 2분기 기준 상위 10권 주식 변동 현황을 비교 분석한 테이블입니다.

  • 앞서 살펴본 르네상스 퀀트 펀드와 마찬가지로 D.E. Shaw의 상위 10권 투자 비중은 지난 분기의 $12 billion달러 규모에서 +40% 급증한 $17 billion달러 투자 규모로 늘어난 것으로 집계되며, 특히 TMUS와 MU에 대한 높은 4자릿수 이상의 적극적 추가 매수 전략이 눈에 띄겠습니다.
  • 상위 10권 주식들 중 Top 4  (SPY, NVDA, AAPL, MSFT)와 팰런티어 (PLTR)를 제외한 나머지 5개 상위권 주식들은 새롭게 교체된 가운데 자신의 후배였던 제프 베조스의 아마존 (AMZN) 주식 역시 이번 2025년 2분기 기준 D.E. Shaw 상위 10권 포트폴리오에서 제외된 것으로 분석됩니다.

다음은 D.E. Shaw의 이번 2025년 2분기 13F 보고서 기준 신규 매수 (new purchase) 투자 현황을 요약한 테이블입니다.

  • 앞서 살펴본 르네상스 테크놀로지스와 마찬가지로 유명 퀀트 펀드 답게 이번 2025년 2분기동안 +677개 주식들에 대한 신규 매수 전략을 추진한 D.E. Shaw 투자기관입니다.
  • 상당수의 신규 매수 주식들에 대한 PRN 투자 접근법을 통한 다소 안정적 & 보수적 투자 전략을 추진한 것으로 분석됩니다. 참고로 PRN (Convertible Debt Securities) 이란, 해당 기업의 전환채 (convertible bond)에 대한 투자 전략을 의미하며, 일정 기간 동안 투자 원금 (principle) 에 대한 이자 (interest)를 지급받는 한편, 상대적으로 안정적 현금 흐름을 확보함과 동시에 전환 사채 형태를 띠고 있기에 유명 헤지펀드들의 ‘주가 변동성이 높은 주식들(volatile stocks)’에 대한 대체 투자 접근법으로 종종 확인되는 전략이며, 데이비드 쇼와 조지 소로스와 같은 유명 투자자들이 최근 선호하는 투자 전략이기도 합니다.
  • 기타 개별 신규 주식들중에는 시 (SE), 세즐 (SEZL), 네비우스 그룹 (NBIS), 시프트4 페이먼츠 (FOUR) 등에 눈에 띄는 가운데 NBIS, FOUR 기업들에 대한 기존 초이스스탁US 분석글 링크를 공유드립니다.

다음은 D.E. Shaw의 이번 2025년 2분기 13F 보고서 기준 추가 매수 (additional purchase) 투자 현황을 요약한 테이블입니다.

  • D.E. Shaw가 추가 매수한 총 +1,581개 주식들 중 상위 25개 주식들을 정리한 테이블입니다.
  • % Change 수치를 살펴볼때 이들 상위 25 (Top 25) 추가 매수주들 중 D.E. Shaw의 적극적 추가 매수 전략이 관찰되는 대표 관심주들은 다음과 같이 재요약됩니다.
    • 넷플릭스 (NFLX): 지난 분기 대비 보유 주식 수 +187.3% 증가
    • 티-모바일 US (TMUS): 지난 분기 대비 보유 주식 수 +1,336% 증가
    • 마이크론 테크놀로지 (MU): 지난 분기 대비 보유 주식 수 +4,426.5% 증가
    • 카바나 (CVNA): 지난 분기 대비 보유 주식 수 +132.6% 증가
    • 앱러빈 (APP): 지난 분기 대비 보유 주식 수 +692.6% 증가
    • 애플 (AAPL PUT): 지난 분기 대비 보유 주식 수 +345.9% 증가, 참고로 애플 주식 하락에 베팅하는 애플 풋 옵션 전략으로서 이는 포트 랭킹 3위 애플 보통주 매수 전략과 병행하는 전형적 옵션 투자입니다.
    • 지스케일러 (ZS): 지난 분기 대비 보유 주식 수 +76,546.9% 증가
    • 서모 피셔 사이언티픽 (TMO): 지난 분기 대비 보유 주식 수 +463.4% 증가
    • 알리바바 그룹 (BABA): 지난 분기 대비 보유 주식 수 +565% 증가
    • 테이크-투 (TTWO): 지난 분기 대비 보유 주식 수 +196.1% 증가
 

(19) 투 시그마 (Two Sigma)


글로벌 유명 퀀트 펀드 D.E. Shaw & Co에서 managing director로 근무하던 수학 천재, John Overdeck과 CIO(Chief Information Officer)로 근무하던 David Siegel가 지난 2001년 공동 설립한 투 시그마 인베스트먼트는 이후 탁월한 투자 수익률과 폭발적 자산 규모 증가율로 월가 대표 퀀트 펀드로 자리매김 중입니다.



글로벌 최대 전자상거래 그룹, 아마존닷컴의 제프 베조스와 마찬가지로 D.E. Shaw & Co 헤지펀드에서 비즈니스 커리어를 쌓아온 John Overdeck과 David Siegel가 이끌고 있는 투 시그마 매니지먼트의 최근 주요 보유 주식 현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 앞서 살펴본 상위 10권 주식들 중 금융 (FINANCE) 섹터내 높은 투자 비중과 마찬가지로 신규 매수 전략에서도 상대적으로 높은 금융 섹터 투자 전략이 관찰됩니다.

  • 테이블내 하늘색 표시 부분에서와 같이 전자상거래 주식들 (AMZN, SE), 빅테크 기업들 (ZS, TEAM), 금융 (BAC, QQQ, MSCI), 산업 관련주들 (GEV, TMUS), 헬스케어 주식들 (UNH, TMO)에 대한 높은 추가 매수 분산 투자 전략이 관찰됩니다.
 

(20) 서드 포인트 (Third Point)




월가 내 유명 기업사냥꾼 투자자 (activist investors) 로 유명한 다니엘 롭을 수장으로 둔 서드 포인트 (Third Point LLC) 의 최근 주요 보유 주식 현황 (2025년 6월 30일 기준) 에 대한 종합 분석입니다.

  • 상위 10권 주식들 중 포트 랭킹 3위 엔비디아 (NVDA), 4위 캐피탈원 (COF), 9위 코스타 그룹 (CSGP), 10위 비스트라 (VST)에 대한 적극적 추가 매수 전략이 관찰되는 한편, 이번 2025년 2분기 신규 매수를 통한 상위10권내 포함된 주식들은 하나도 없는 것으로 집계됩니다.

다음은 Third Point의 이번 2025년 2분기 13F 보고서 기준 신규 매수 (new purchase) 투자 전략이 관찰되는 총 16개 주식 보유 현황을 요약한 테이블입니다.

  • 메타플랫폼즈 (META), 워크데이 (WDAY), 다큐사인 (DOCU), 시 (SE)등 다른 유명 헤지펀드 투자기관들도 선호하는 유명 테크 기업들에 대한 종목 선호도가 관찰됩니다.

다음은 Third Point의 이번 2025년 2분기 13F 보고서 기준 총 13개 추가 매수 (additional purchase) 투자 현황을 요약한 테이블입니다.

  • 상위 10권 주식들 이외에도 프리모 브랜즈 (PRMB) 와 샤크닌자 (SN)에 대한 높은 추가 매수 전략이 관찰됩니다.
 

(21) TCI 펀드 매니지먼트 (TCI Fund Management)


영국에 사업 기반을 둔 유명 헤지펀드 TCI 펀드 매니지먼트는 지난 2003년 크리스 혼 (Chris Hohn) 이 설립한 +$45 billion달러 자산 운용 투자 기관입니다.



다음은 이번 2025년 2분기 기준 TCI 펀드의 포트 비중 +100%를 대변하는 총 10개 주식 투자 현황입니다.

  • 다른 유명 헤지펀드들이 IT 정보통신 기술주들에 집중 투자하는 반면에 크리스 혼의 TCI펀드는 산업 (Industrials) & 교통 (Transports) 등 인프라 종목들에 대한 매수 전략이 관찰된다는 점입니다.
  • 이러한 투자 면모는 오랜 기간 산업 & 교통 (특히 철도 산업) 업계내 투자 관심을 보여준 크리스 혼 머니 매니저의 과거 경력에서 재입증됩니다. TCI 펀드 설립 이래 연평균 +20% 투자 수익률을 창출하는 한편, 지난 2000년대 초반 철도 업계 대표 선도 기업이였던 CSX (지난 2008~09 크리스 혼은 CSX 기업 이사회 임원) 를 포함한 다수의 북미 철도 기업들에 대한 투자 활동 (캐네디언 내셔널 (Canadian National) 에 대한 $4 billion달러 투자, 캐네디언 퍼시픽 (Canadian Pacific) 에 대한 $4 billion달러 투자, 유니온 퍼시픽 (Union Pacific) 에 대한 $1.3 billion 달러 투자 활동) 에 관여해온 결과 오늘날 철도 (레일웨이) 업계를 좌지우지하는 막강 행동주의 투자자로서의 높은 투자 명성을 확보한 크리스 혼의 TCI 펀드입니다. 그리고 이러한 투자 관심을 간접적으로 입증하듯 이번 2025년 2분기 기준 캐네디언 퍼시픽 켄사스 시티 (CP) 주식은 포트 랭킹 6위를, 캐네디언 내셔널 레일웨이 (CNI) 주식은 포트 랭킹 7위를 차지중입니다.

다음은 TCI 펀드의 지난 2025년 1분기 기준과 이번 2025년 2분기 기준 상위 10권 주식 변동 현황을 비교 분석한 테이블입니다.


이번 2025년 2분기내 신규 매수 주식은 단 하나도 없었으며, 총 5개 주식들 (MSFT, V, MCO, SPGI, FER)에 대한 추가 매수 전략을 통한 투자 비중 확대 움직임이 관찰됩니다.


 

(22) 베일리 기포드 (Baillie Gifford & Co Limited)


지난 1908년 설립된 영국 스코틀랜드 최대 자산운용사, 베일리 기포드는 사실 저와 같은 일반 개미 투자자들에게는 상대적으로 덜 알려진 투자기관입니다.



+117년 역사를 자랑하는 베일리 기포드의 투자 철학 또한 매우 흥미롭겠으니, 우리가 잘 알고 있는 현존하는 최고의 가치 투자가 워런 버핏 (Warren Buffett) 의 버크셔 해서웨이 (Berkshire Hathaway) 와 마찬가지로 중장기적 가치투자 접근법을 지향하는 한편 전형적 브랜드 & 생산 기업들 (애플, 코카콜라, 아메리칸 익스프레스, 크래프트 하인즈 등) 보다는 차세대 혁신 기술 기업들 (테슬라, 모더나, 쇼피파이, 아마존, 넷플릭스 등) 에 대한 중장기적 가치투자 접근법을 추구해왔다는 독특한 투자 면모가 눈에 띕니다.

실제로 이러한 베일리 기포드의 투자 접근법은 다수의 글로벌 유명 블루칩 기업들 (모더나, 테슬라, 쇼피파이, 아마존, 넷플릭스, 엔비디아 등)에 대한 초창기 성공 투자 수익률을 창출해왔으며, 이러한 이유에서 글로벌 투자자들은 베일리 기포드의 투자 족보에서 성공 잠재력을 지닌 무명의 성장주들에 대한 투자 실마리를 유추하는 투자 트랜드입니다.

다음은 이번 2025년 2분기 기준 베일리 기포드 상위 10권 주식 보유 현황을 분석한 자료로 우선 Treemap 에서 한눈에 파악되듯이 매우 균등하게 분산된 투자 배분 현황이 관찰됩니다.


  • 베일리 기포드의 이번 2025년 2분기 신규 매수 주식들 중 대부분은 금융 (Finance) 섹터와 정보통신 기술 (Information Technology) 섹터 관련주들로 구성됩니다.

  • 지난 2025년 1분기 대비 레딧 (RDDT) 주식은 +764.3% 추가 매수 전략을, 메드페이스 홀딩스 (MEDP) 주식은 무려 +12,040.7% 추가 매수 전략을 추진한 것으로 집계 분석됩니다.
 

(23) 펀드스미스 (FundSmith)




‘영국의 워런 버핏’으로 불리는 테리 스미스 (Terry Smith) 가 이끌고 있는 펀드스미스 (Fundsmith)의 이번 2025년 2분기 기준 13F 보고서 투자 현황을 종합한 테이블로서 역시나 닉네임에 걸맞게 나름 상위 10권 주식들에 대한 높은 투자 비중 (+71%)을 유지한 것으로 집계됩니다.

  • 지난 2025년 1분기와 변동없이 메타플랫폼즈 (META), 마이크로소프트 (MSFT), (SYK), (PM)에 대한 높은 투자 비중 (포트폴리오 랭킹 1~4위 변동없이 그대로 유지)이 관찰됩니다.
  • 상위10권 주식들은 펀드스미스 전체 포트 +71% 비중을 대변한 가운데 상위 10권 주식들 모두에 대한 부분 매도 전략 (매수 전략 제로)이 관찰됩니다.

  • 이번 2025년 2분기 기준 펀드스미스가 신규 매수한 3가지 주식들 현황입니다.

  • 이번 2025년 2분기 추가 매수 전략주들로서 이들 중 평소 기업 분석 관심이 생겼던 반려동물 보험 서비스 기업, 조에티스 (ZTS) 도 포함된 것으로 집계 분석됩니다.
  • 참고로 비록 이번 분기내는 +13.3% 추가 매수에 그쳤으나, 지난 2024년 4분기와 지난 2025년 1분기 투자 기간내 펀드스미스는 ZTS 기존 보유 주식 수를 +1,020.2% 투자 비중 확대했다는 점에서 해당 기업에 대한 유명 가치 투자기관 펀드스미스의 낙관적 투자 접근법이 유추됩니다.
 

Recap: 2025년 2분기 13F 보고서 투자 관심주들


지금까지 총 23개 유명 헤지펀드들의 최근 주요 매수 보유 주식들에 대한 비교 분석입니다.

이번 분석글에서 다룬 다수의 투자 종목들 중 각 부문별 (상위10권, 신규매수, 추가매수) 가장 많은 유명 헤지펀드들이 매수 전략을 추진한 관심주들을 확인하면 다음과 같겠습니다.
 

(1) 상위10권 그룹


다음 테이블은 이번 2025년 2분기 기준 제가 평소 관심있게 팔로우하는 총 25개 유명 헤지펀드들의 상위 10권 포트폴리오내 현황을 총 정리한 분석 자료입니다.



왼쪽 테이블은 헤지펀드들이 자신들이 관리하는 주식 포트폴리오내 해당 주식을 보유한 현황으로서, “# of 기관명” 부분에서 입증되듯이 총 23개 유명 헤지펀드들 중 총 12개 헤지펀드들은 상위10권 포트내 아마존 (AMZN), 엔비디아 (NVDA), 마이크로소프트 (MSFT) 주식들을 보유한 것으로 집계됩니다.

다음은 AMZN, NVDA, MSFT 를 상위 10권 주식 포트폴리오내 포함한 총 12개 헤지펀드 투자기관명과 이들의 매수/매도 전략 여부 (% Change) 을 분석한 테이블입니다.

  • AMZN: 투자 규모면에서는 베일리 기포드가 가장 높은 투자 규모를 보여주겠으나, 실제로 이번 분기내 -4.4% 부분 매도를 결정했으며, 반면에 타이거 글로벌 매니지먼트는 지난 분기 대비 +62.2% 추가 매수 전략으로 아마존 투자 비중을 대폭 확대한 것으로 집계 분석됩니다.
  • NVDA: 역시나 투자 규모면에서는 베일리 기포그가 가히 독보적이겠으나, 지난 분기 대비 가장 높은 추가 매수 전략을 추진한 헤지펀드 투자기관들로는 르네상스 테크놀로지스와 아팔루사 매니지먼트로 집계됩니다.
  • MSFT: 마이크로소프트 기업 공동 설립자의 자부심일까요? 빌 게이츠의 게이츠 재단은 2025년 2분기 기준 상위 10권 포트내 가장 높은 규모의 MSFT 주식을 보유중이며, 추가 매수 측면에서는 레이 달리오의 브릿지워터 (+111.9%) 가 가장 적극적 MSFT 추가 매수를 통한 투자 비중 확대 전략을 추진한 것으로 분석됩니다.

그 다음으로는 총 7개 헤지펀드들이 상위 10권 포트내 포함시킨 알파벳/구글 (GOOGL)과 메타 플랫폼즈 (META)가 차지한 것으로 분석됩니다.

그렇다면, 이번에는 “# of 기관명” 이 아닌 “총 투자 규모$ (시가총액$)” 측면에서 어떤 주식들이 유명 헤지펀드들의 상위 10권 주식 러브콜을 집중받았는지 살펴보겠습니다.

오른쪽 테이블의 빨간색 표시 부분에서와 같이 총 투자 규모$ 측면에서는 +$60 billion달러의 애플 (AAPL)이 독보적이겠으나, 단 4개 헤지펀드들만이 자사의 포트폴리오 상위10권내 AAPL주식을 보유하는 한편 높은 투자 규모의 후면에는 버크셔 해서웨이의 높은 애플 투자 규모 때문입니다.

그 다음으로는 아메리칸 익스프레스 (AXP) 가 차지하겠으나, 역시나 버크셔 해서웨이의 상대적으로 높은 투자 규모 덕분이며, 그 다음은 미국 증시를 대변하는 S&P 500 지수 연동의 ETF (상장지수펀드)에 대한 높은 투자 베팅 풋 (PUT)전략이 관찰되겠으나, 역시나 총 23개 유명 헤지펀드들 중 단 4개 헤지펀드들만이 자사의 주식 포트폴리오 상위10권내 SPDR PUT을 포함중입니다.

버크셔 해서웨이의 상대적으로 높은 투자 규모에 따른 잡음과 상장지수펀드 (ETF) 포지션을 제외할경우, 유명 헤지펀드 투자기관들의 상위10권 포트폴리오내 대표격 단골 주식들은 미국 주식 시장내 매그니피센트 7 그룹들을 대표하는 마이크로소프트, 엔비디아, 아마존, 메타플랫폼즈 주식들로 집계 분석됩니다.
 

(2) 신규 매수 그룹


다시금 초이스스탁US 회원분들의 놀라운 인기 종목 선정 능력에 감탄을 표하게 됩니다.

필자는 단 한번도 들어보지 못했던 주식이겠으나, 2025년 8월 중순 현재 초이스스탁US 회원분들 중 +767명 이상으로부터 높은 투자 관심을 집중받고 있는 주식은 바로 주식코드 (CRCL) 의 써클 (Circle Internet Group, CRCL) 기업으로 집계 분석되며, 아래 테이블에서 관찰되듯이 이번 2025년 2분기 신규 매수 기준 5개 유명 헤지펀드 투자기관들로부터 높은 신규 매수 러브콜을 집중받았습니다.

  • 초이스스탁US 기업 개요를 인용하면, 써클(Circle Internet Group, CRCL)은 전 세계 기업들이 디지털 화폐와 블록체인을 결제, 상거래, 금융 애플리케이션에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글로벌 핀테크 기업입니다. 2013년 Jeremy Allaire와 Sean Neville에 의해 설립되어 현재 뉴욕에 본사를 두고 있습니다. 주력 사업은 세계 2위 규모의 스테이블코인 USDC 발행으로, 1달러에 페깅된 암호화폐입니다. 2024년 15억 달러 이상의 매출을 달성했으며, 주로 스테이블코인 준비금에서 발생하는 이자 수익이 핵심입니다. 또한 거래 및 재무 서비스, 기업 대상 블록체인 인프라 제공 등 다양한 사업 영역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 이번 2025년 2분기 13F 보고서 기준 CRCL 종목을 초기 매수한 투자기관들로는 시타델, 소로스, 투시그마, 베일리기포드, 타이거 글로벌등 5개 헤지펀드 투자기관들로 확인됩니다.
  • 그 다음으로는 유나이티드헬스 그룹, 차임 파이낸셜, 시 그룹, 에어비앤비, 아마존, 오라클, 월트 디즈니가 관찰되며, 역시나 이번 2025년 2분기 13F 보고서 분석 핵심 테마라고 표현할만큼 유명 헤지펀드 투자기관들의 유나이티드헬스 그룹 (UNH)에 대한 높은 신규 매수 전략 (총 5개 헤지펀드들과 $2.5 billion달러 독보적 투자 규모등) 이 추진된 것으로 분석됩니다.
 

(3) 추가 매수 그룹


유명 헤지펀드들이 가장 적극적 추가 매수 전략을 통해 기존 투자 비중을 대폭 늘린 주식들로는 엔비디아 (총 12개 헤지펀드 추가 매수), 아마존 (총 8개 헤지펀드 추가 매수), 마이크로소프트 (총 8개 헤지펀드 추가 매수)등으로 정리됩니다.



반면에 투자 규모 (달러$) 측면에서는 Invesco QQQ Trust1 풋 포지션이 가장 높은 투자 규모를 기록한 가운데 단일 기업 주식들 중에는 엔비디아 (NVDA), 마이크로소프트 (MSFT), 쉐브론 (CVX), 아마존 (AMZN), 버크셔 해서웨이 (BRK.B), 시 그룹 (SE)등이 눈에 띄겠습니다.
 

Conclusion


결론적으로 이번 2025년 2분기 13F 보고서 분석글 시리즈에서 언급된 유명 헤지펀드 투자기관들의 최근 주요 투자 주식들 중 일부 관심 기업들을 선별하신후 해당 기업에 대한 심층적 분석이 병행된 미국 주식투자 아이디어로 참고하시면 좋겠습니다.

제가 현재 초이스스탁US 기업 분석글 후보로 내정해둔 일부 기업별 주요 유명 헤지펀드 투자기관 현황은 다음과 같이 요약 정리됩니다.
  • SEA Limited (SE): 베일리기포드, 타이거글로벌, Point72, 투시그마, D.E. Shaw, 르네상스, 서드포인트
  • 룰루레몬 (LULU): 사이언 에셋 매니지먼트
  • 오스카 헬스 (OSCR): 매버릭 캐피탈
  • 풀 (POOL): 버크셔 해서웨이
  • 조에티스 (ZTS): 펀드스미스
  • 지브라 테크 (ZBRA): Point72
  • 시리우스 (SIRI): Point72, 버크셔 해서웨이
  • 페이팔 (PYPL): 코튜 매니지먼트
  • ASML (ASML): 사이언 에셋 매니지먼트
  • 세일즈포스 (CRM): 론파인, 소로스, 투시그마, 브릿지워터
목록보기

인기글

애플 아메리칸익스프레스 셰브론

[분석] 23개 월가 큰손들의 투자 포트폴리오 대공개! 2분기 돈의 흐름은? – 1부

2025.08.20 11:00

메타플랫폼스 마이크로소프트 알파벳A(구글)

[분석] 23개 월가 큰손들의 투자 포트폴리오 대공개! 2분기 돈의 흐름은? – 2부

2025.08.27 11:00

헤이코 셈테크 뱅크오브몬트리올

엔비디아 예상 EPS 1 (25년 8월 4째주 주요 실적발표)

2025.08.25 12:25

팝업닫기

AI가 알려주는 투자타이밍!

초이스스탁US 프리미엄

  • 1지금살까? 특허받은 전종목 매매신호
  • 2매수부터 매도까지! 종목추천
  • 3투자매력과 적정주가를 한눈에 종목진단
팝업닫기

AI가 알려주는 투자타이밍!

초이스스탁US 프리미엄

  • 1지금살까? 특허받은 전종목 매매신호
  • 2매수부터 매도까지! 종목추천
  • 3투자매력과 적정주가를 한눈에 종목진단

결제 처리중 입니다...

중복결제가 될 수 있으니 페이지를 새로고침 하거나 이동하지 마시고 잠시 기다려주세요.

구독취소 처리중 입니다...

취소 에러가 날 수 있으니 페이지를 새로 고침하거나 이동하지 마시고 잠시 기다려주세요.

카드변경 처리중 입니다...

카드변경 에러가 날 수 있으니 페이지를 새로 고침하거나 이동하지 마시고 잠시 기다려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