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석] 글로벌 유통 & 물류 업계 내 숨은 진주, 지브라 테크놀러지스(ZBRA)
2025.10.01 11:00
[저자소개]
이관우님은 캐나다 MBA 출신으로, 외환 브로커지와 사모펀드에서 애널리스트와 포트폴리오 매니저를 역임했습니다. 현재는 캐나다 정부기관의 금융 매니저로 재직 중이며, CFA와 FRM 자격을 보유한 북미 금융 전문가입니다.



이번 시간에 리뷰해볼 기업은 2025년 8월 중순 단 +27명의 초이스스탁US 회원분들께 관심을 받고 있는 글로벌 유통 & 물류 업계내 숨은 진주 기업, 지브라 테크놀러지스 (ZBRA) 라는 기업입니다.


 

기업 소개


비록 일반 소비자에게는 다소 생소한 브랜드일 수 있지만, 유통 물류, 택배, 전자상거래 업계에 종사하시는 분들이라면 익숙한 브랜드로 인식될 수 있는 기업이 바로 이번 분석글에서 소개드릴 지브라 테크놀러지스 (Zebra Technologies)입니다.

그리고 만일 여러분께서 지금 식료품 그로서리 쇼핑중이시라면 매장 직원들이 손에 든 전자기기를 한번 체크해보세요. 대부분은 지브라 테크놀러지스 브랜드가 찍힌 디바이스를 찾아보실 수 있을 겁니다. 저 또한 지난주 코스트코 쇼핑중 직원분께서 지브라 바코드로 스토어내 물품 재고 현황을 체크하는 모습을 접한 경험이 있겠습니다.



지난 1969년에 설립된 지브라 테크놀러지스는 현재 전 세계 100여 개국 이상에서 +10,000곳이 넘는 비즈니스 파트너를 보유하고 있으며, 2000년 1월에는 한국 지사를 설립해 아시아 태평양 시장 내 입지를 본격적으로 확대하고 있습니다.
지브라 테크놀러지스 공식 홈페이지의 기업 소개를 인용하면, “지브라 테크놀러지스는 사람, 자산, 데이터를 지능적으로 연결하여, 고객이 핵심 비즈니스 의사결정을 내릴 수 있도록 지원하는 산업용 종합 솔루션을 통해 더 나은 가시성을 제공합니다”라는 설명 부분을 확인할 수 있겠습니다.

이 부분에서 중점적으로 초점을 맞춰야할 키워드들은 바로 “지능적으로 연결, 산업용 종합 솔루션, 가시성을 제공” 이라 생각됩니다.

‘산업용 종합 솔루션’이라고 하니 뭔가 B2C (Business to Consumer) 보다는 B2B (Business to Business) 에 포커스를 둔 산업형 하드웨어 & 소프트웨어 기업이 아닌가 추측해 보실 수 있겠습니다.

다음은 지브라 테크놀러지스의 주요 제품 포트폴리오를 소개한 이미지로서, 지브라 제품 & 서비스 포트폴리오에는 “특수 프린터 및 인쇄용 소모품, 바코드 스캔 & 스캐너, 산업용 모바일 컴퓨터, 모바일 컴퓨팅, 러기드 태블릿, 전자태그 (RFID) 및 실시간 위치 시스템(RTLS), 지능적인 인력 관리 및 실행 솔루션, 데이터 서비스 및 예측적 분석, 관리형 및 전문 서비스 지원, 지능적인 자동화 시스템 등등”이 포함됩니다.

  • 지브라 테크놀러지스는 물류 유통 제품들의 이동간 실시간 스캔 (scanning), 추적 (tracking), 기록 (recording)이 가능한 일련의 산업형 솔루션 (바코드 프린터, 스캐너, 모바일 컴퓨터) 을 설계, 제조 및 판매하는 한편 사업 초반 주력해온 하드웨어 솔루션 제품 포트폴리오 분야에서 피벗 전략을 통해 최근에는 AI 및 IoT 기반 빅 데이터 분석 + 예측 통찰력 플랫폼으로 대변되는 소프트웨어 솔루션 제품 포트폴리오 확장 전략을 추진중에 있습니다.
 
  • 생산자에서부터 최종 소비자까지 원자재와 부품, 최종제품이 이동하는 모든 과정에 관련된 기기와 소모품을 공급함으로서 제품 센싱, 인식한 데이터 분석, 이 분석을 바탕으로 이뤄지는 실행까지 모든 순환 프로세스 (이미지내: SENSE=>ANAYLZE=>ACT) 를 지능적으로 연결 및 가시성을 제공하는 산업용 종합 솔루션이 바로 지브라 테크롤로지스 솔루션입니다.

본격적으로 지브라 테크놀러지스 기업 분석에 들어가기전에 지브라 기업 소개를 잘 요약한 유튜브 자료를 아래와 같이 공유드립니다.


 

비즈니스 모델


지브라 테크놀러지스의 핵심 사업부문은 크게 2개의 핵심 사업부들 (EVM 사업부와 AIT 사업부) 로 구성되며, 각 사업부문별 최근 3년간 연매출 및 영업이익 실적 트랜드를 종합한 테이블은 다음과 같겠습니다.


  • EVM (Enterprise Visibility and Mobility) 사업부: 2024년 기준 기업 총 매출의 +67% 비중 (net sales: $3.33 billion달러 또는 $3,334 million 달러) 을 차지합니다.
  • AIT (Asset Intelligence and Tracking) 사업부: 2024년 기준 기업 총 매출의 +33% 비중 (net sales: $1.65 billion달러 또는 $1,647 million달러) 을 차지하겠으나, 수익성 지표면에서는 EVM 사업부 (+16%) 보다 높은 수익성 지표 (+20.3%)를 기록합니다.
 

(1) EVM (Enterprise Visibility and Mobility) 사업부


지브라 RFID 기술력은 물류 유통 업계내 최적화된 선도 기술력을 제공중이겠으니, 예를 들면, 물류 유통 분야에서 운송 차량 냉각장치 등에 이상이 생겨 컨테이너 온도가 올라가면 곧바로 운전자와 관리업체 등에 알려주는 기술력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최근에는 기존 물류 및 제품 관리 분야를 뛰어넘은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활발히 쓰여지고 있겠으니, 일례로 스포츠 분야에서 경기 중에 선수가 뛴 거리, 평균 속도, 경기 중 받은 충격 등 다양한 데이터를 수집해 이를 선수 경기력 향상을 위한 빅데이터 분석 자료로 활용중입니다.

이와 같은 RFID 리더기 이외에도 바코드를 인식할 수 있는 안드로이드형 스캐너 및 모바일 컴퓨터등 하드웨어 솔루션 제작 판매에 주력하는 핵심 사업부문이 바로 EVM 사업부로서 2024년 기준 지브라 테크놀러지스 기업 총 매출의 +67% 이상을 대변합니다.

지브라 테크놀러지스가 생산 & 판매하는 하드웨어 솔루션 기기들 중 특히 모바일 컴퓨터 (아래 이미지) 는 제품별 전체 매출의 +70% 이상을 차지할만큼 기업 이윤을 책임지는 효자효녀격 주력 제품군이겠으며, 바로 이 모바일 컴퓨터 분야에서 지브라 테크놀러지스의 저력이 돋보이게 됩니다.



사실 과거 모바일 컴퓨터 시장의 운영 체제 (OS: Operating Systems) 는 전통적으로 마이크로소프트 (Microsoft) 와 안드로이드 (Android) 가 지배적이였으며, 약 10여년전 지브라 테크놀러지스는 모험을 건 사업 결정을 단행했으니 바로 자사의 모든 모바일 컴퓨터 애플리케이션을 안드로이드 OS로 전향시키겠다는 사업 결정이였습니다.

그 후 지난 2015년 마이크로소프트는 2020년까지 모바일 컴퓨터용 운영 체제 지원을 종료할 것이라 공식 발표, 이는 곧 전세계 모바일 운영 체제가 이미 안드로이드형 OS 기반으로 전환중임을 시사, 이미 업계 라이벌 기업들이 추격하기에는 넘사벽 수준의 많은 안드로이드 기반 산업형 모바일 컴퓨터 솔루션을 생산 & 판매해온 지브라 테크놀러지스는 그야말로 주력 분야에서 압도적 우위  (산업형 모바일 컴퓨터 시장 점유율 평균 +60% 확보중) 를 선점할 수 있게된 것입니다.
  • 엔터프라이즈형 모바일 컴퓨팅 업계 점유율 1위
  • 바코드 스캐닝 업계 점유율 1위
  • 특수 바코드 라벨링 프린팅 업계 점유율 1위
  • 전자태그 (RFID) 리더기 & 프린팅 업계 점유율 1위
  • +5~6,000여 건 이상의 미국 및 국제 특허를 보유하고 출원 중에 있는 지브라 테크놀러지스는 총 매출의 +10~12%를 연구 개발 (R&D)에 투자중
 

(2) AIT (Asset Intelligence and Tracking) 사업부


EVM 사업부문을 대변하는 하드웨어 솔루션들로부터 스캔 & 추적 & 기록된 데이터 정보들에 대한 RFID (전자태그) 등을 포함한 다양한 종류의 바코드로 인쇄하는 프린터를 생산 제작하며, 지난 5년간 기업 총 매출의 +30~33%를 차지합니다.



다음은 최근 3년간 지브라 테크놀러지스 Top 3 기업 고객별 매출 비중을 요약 정리한 테이블입니다.

  • 상위 3권 기업들 (Customer A/B/C) 은 지브라 기업 총 매출의 절반 이상 (+54%) 을 책임집니다.
  • 상위 3권 기업 고객들에 대한 높은 매출 비중 의존도가 파악되는 한편 이들 3사에 대한 기업명은 비공개로 유지된다는 점에서 정확한 정보를 공유드릴 수 는 없겠으나, 주력 산업별 매출 비중을 통해 유추해볼때 글로벌 전자상거래 넘버1 기업 아마존 (AMZN), 글로벌 최대 식료품 & 유통 기업 월마트 (WMT), 글로벌 최대 자동차 생산 기업 포드 자동차 (F), 글로벌 최대 물류 운송 배달 서비스 기업 페덱스 (FDX) 등이 포함될 것이라는 월가의 예측입니다.
  • 참고로 미국 포춘지가 선정한 500대 기업들 중 +90% 이상이 오늘날 지브라 테크놀러지스의 고객사로 분류된다는 점에서 지브라 테크놀러지스의 경쟁력 높은 경제적 해자 요소를 찾아볼 수 있겠습니다.

다음은 최근 3년간 지역별 매출 현황을 정리한 테이블로서, 북미 (+51% 매출 비중), 유럽 (+32%), 아시아 (+10%), 남미 (+7%) 지역별 매출 비중이 파악됩니다.


 

M&A 를 통한 기업 몸집 불리기 전략


지브라 테크놀러지스 기업 성장 과정에서 전략적 M&A 를 배제할 수 없겠습니다.

사실 지브라 테크놀러지스가 설립된 지난 1969년 당시 기업명은 데이터 스페셜티즈 (Data Specialties) 로서 주로 고속 전자 기계 제품을 제조하는 사업 모델을 추구했으나, 이후 지난 1980년대초 주문형 라벨링 및 발권 시스템 사업 피벗 전략을 계기로 지난 1986년 현재의 지브라 테크놀러지스로 기업명을 개명하게 됩니다.

지난 1991년 미국 나스닥 증시내 상장한 이후 기업이 추구할 사업 방향을 확고히 정한 지브라 테크놀러지스는 지난 1990년대말부터 다양한 기업들에 대한 활발한 M&A 전략을 통한 기업 몸집 불리기 전략을 추진하게 되었으며, 기업 역사를 통틀어 가장 괄목할만한 (제대로 기업 몸집을 늘리게된) M&A 시장 이벤트는 지난 2014년 모토로라 솔루션의 엔터프라이즈 사업부문에 대한 $3.45 billion달러 M&A 결정이였습니다.



오늘날 지브라 테크놀러지스를 만들어낸 M&A 전략은 여전히 현재 진행형이며 최근 10년간 추진된 전략적 M&A 현황은 다음과 같이 요약됩니다.

  • 지난 2020년 추진된 Reflexis Systems ($575 million달러): 실시간 매장 관리형 플랫폼을 구현하는 기술력을 갖춘 스타트업 입니다.
  • 지난 2021년 추진된 Antuit.ai (M&A 가격표: $145 million달러): 주로 유통 소매 및 CPG 고객을 위해 AI 기반 수요 예측 솔루션을 제공하는 고수익 SaaS (Software-as-a-Service) 스타트업으로서 고객이 최적의 가격으로 적절한 재고를 적시에 보유할 수 있는 기술 지원을 제공합니다.
  • 지난 2021년 추진된 Fetch Robotics ($305 million달러): 물류 창고 및 주문 처리 센터에서 사용되는 자율 이동 로봇을 생산하는 물류 로봇 전문 스타트업 입니다.
  • 최근 2025년 추진된 Elo Touch Solutions ($1,300 million 달러): 지브라 테크놀러지스(ZBRA)가 터치스크린 솔루션 제공업체 Elo Touch Solutions를 13억 달러에 인수 결정했으며, 이번 전략적 인수는 자산 가시성 및 자동화 솔루션을 강화하는 한편, 지브라는 Elo의 소비자 인터페이스 기술, 키오스크, 엣지 컴퓨팅, 결제 솔루션을 자사의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역량과 통합해 소매업 및 요식업계 최전방 근로자의 디지털 전환을 가속화할 것으로 종합됩니다. 특히 POS 시스템과 셀프체크아웃 솔루션 분야에서 AI 기반 혁신과 매장 현대화 트렌드를 선도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 지브라 테크놀러지스, Elo Touch 13억 달러에 인수..최전방 디지털화 가속
  • 지브라 테크놀러지스, 2Q 매출 12.9억달러 6.2%↑..EPS 예상상회로 연간전망 상향
 

지브라 테크놀러지스 매력적 투자 3요소


아이러니하게도 전세계를 공포로 내몰았던 지난 2020년 글로벌 팬더믹 상황속에서 일부 섹터들 (식료품 유통, 전자상거래, 전자결제 서비스 등등) 은 때 아닌 사업 호황기를 경험하게 되었으며, 팬더믹 이후 (Post-Covid 19) 운송, 물류, 헬스케어, 이커머스 (전자상거래) & 유통 업계내 IT 도입이 초가속화 진행되는 현 업계 상황속에서 가장 큰 사업 반사 이익을 경험할 것으로 기대받는 수혜 기업들 중 하나가 바로 지브라 테크놀러지스입니다.
  • 글로벌 팬더믹발 사회적 거리두기 및 자가격리 신종 생활 패턴 => 온라인 전자상거래 (e-commerce) 서비스 수요 급증 => 택배 물량 증가 => 택배 물량의 증가로 인해 유통 창고 관리 시스템, 전자 상거래, 운송 분야에서 지브라 테크놀러지스 솔루션의 수요가 늘어나면서 매출 및 수익성 역시 급증할 것으로 예측

팬더믹 상황속 빠른 솔루션 출시를 통해 입증해낸 괄목할만한 기업 대응책의 대표 사례로 지브라 모션웍스 프록시미티 솔루션 (Zebra MotionWorks Proximity Solutions) 출시 사례를 꼽을 수 있겠습니다.



지브라 모션웍스 프록시미티 솔루션은 사용자 수준 경고 (user-level alerting) 및 접촉 이력 관리 (contact tracing) 기능들을 제공함으로써 기업이 직원의 안전을 보호할 수 있도록 합니다.

지브라 모션웍스 프록시미티 솔루션은 전세계 대부분의 정부가 규정한 사회적 거리두기, 접촉 이력 관리 및 방역 등의 정책을 기업들이 올바르게 시행할 수 있도록 지원할 뿐만 아니라 지브라 모션웍스 프록시미티는 별도의 추가 인프라를 필요로 하지 않으며, TC21/TC26 터치 컴퓨터를 포함한 안드로이드(Android) 기반의 지브라 모바일 디바이스에서도 사용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이미 지브라 테크놀러지스 인프라 시스템을 갖춘 기존 지브라 기업 고객들의 셋업 부담을 현저히 낮출 수 있습니다.


다음 주가 차트가 입증하듯 팬더믹 직후 1주당 $200달러 중반에 평가받던 ZBRA 주가는 이후 팬더믹 수혜주라는 화려한 주식 태그와 함께 단숨에 1주당 $620달러 최고가 수준을 갱신했으나, 이후 팬더믹 효과가 냉각기에 접어들면서 2025년 8월말 현재 주가 반토막난 1주당 $300달러 수준으로 급회귀한 주가 현 주소 입니다.



비록 팬더믹 최고점 주가에서 -52% 하락한 지브라 테크놀러지스 기업이겠으나, 여전히 중장기적 가치투자 관점에서 매력적 기업으로 분류되겠으며, 이에 대한 다음의 3가지 매력적 투자 요소들에 대해 좀 더 구체적으로 리뷰해보겠습니다.
  • 잠재적 성장 시장 규모 (TAM: Total Addressable Market)
  • 적극적 연구 개발 투자 (Research & Development Investment)
  • 주력 업계 높은 시장 점유율 (Market Share)
 

(1) 잠재적 성장 시장 규모 (TAM: Total Addressable Market)


지브라 테크놀러지스의 주력 시장에 해당하는 AIDC (Automatic Identification and Data Capture) 시장은 현재 글로벌 테크 시장을 주도하는 커넥티비티 (Connectivity), 디지털화 (Digitalization), 자동화 (Automation), 사물인터넷 (IoT), 클라우드 컴퓨팅 (Cloud Computing) 니즈에 발맞춰 지속적으로 성장할 것이며, 이는 팬더믹 이후 퀀텀 성장력을 누리게 될 것이라는 시장의 예측입니다.

아래의 종합 슬라이드 (출처: 지브라 기업 프리젠테이션 자료) 에서와같이 지브라는 현재 +$30 billion달러 TAM (Total Addressable Market) 에서 중장기적 +5~7% 매출 성장률을 목표 가이던스로 예측중이며, 각 분야별 세부 현황은 슬라이드 하단부에 재요약했습니다.

  • Core (연한 하늘색 부분): 모바일 컴퓨팅, 데이터 캡쳐, 바코드 스캔 & 프린팅 시장으로 +$10~12 billion달러 잠재적 시장내 +4~5% 성장률 예측
  • Adjacencies (중간 하늘색 부분): RFID 태그 관련 기술력 시장으로 +$12~14 billion달러 잠재적 시장내 +7~9% 연매출 성장률 예측
  • Expansion (가장 외곽 파란색 부분): 최근 지브라 테크놀러지스의 전략적 M&A가 훗날 빛을 발하게될 새로운 사업 개척지 시장으로서 +$6 billion달러 잠재적 시장내 높은 두자릿 수 이상의 연매출 성장률 예측

물론 지브라 테크놀러지스가 제시한 $30 billion달러 잠재적 시장 (TAM: Total Addressable Market) 은 그 규모가 실제로 더 클 수도 작을 수도 있겠으나, 현재 연매출 +$5 billion달러의 지브라 테크놀러지스 기업 입장에서는 여전히 충분한 기업 성장 잠재력을 시사하는 긍정적 시장 예측치라 판단됩니다.
 

(2) 적극적 연구 개발 투자 (Research & Development Investment)


아래 차트 (출처: UBS 산업 보고서) 에서 입증되듯이 지브라 테크놀러지스 (ZBRA) 는 현재 R&D투자에 기업 총 매출의 약 10%를 지출하고 있으며, 이는 업계 대표 라이벌 기업 허니웰 (Honeywell: HON)을 포함한 주요 경쟁업체와 거의 모든 산업 기술 업체를 훨씬 능가하는 적극적 연구 개발 (R&D) 투자 수준으로 집계됩니다.



이미 +5~6,000여 건 이상의 미국 및 국제 특허를 보유하고 출원 중에 있는 지브라 테크놀러지스는 최근에는 기존 주력 분야였던 하드웨어 솔루션 보다 소프트웨어 솔루션 개발에 더 많은 R&D 투자를 쏟는다는 점에서 앞으로 지브라 테크놀러지스 R&D 및 특허권 포트폴리오의 매력적 성장 여력 및 이에 따른 주력 업계 경쟁 우위권 확보를 지속적으로 갖출 것으로 예측됩니다.
 

(3) 주력 업계 높은 시장 점유율 (Market Share)


지브라 테크놀러지스는 이미 주력 업계내 높은 시장 점유율을 갖춘 리더 기업이라는 점에서 매력적 투자 요소를 찾아볼 수 있겠습니다.

  • 모바일 컴퓨팅 (Mobile Computing): +50% 시장 점유율을 갖췄으며, 넘버 2 기업 대비 +3배 이상 높은 마켓 쉐어를 통해 넘버2와의 현저한 격차를 유지중
  • 스캐너 (Data Capture & Scanning): +30% 시장 점유율의 넘버1 입지를 갖추고 있으며, 업계 넘버2 기업의 +20% 시장 점유율과의 격차를 유지중
  • 프린터 & 바코드 시스템 (Specialty Printing & Barcoding): +40% 시장 점유율을 갖춘 명실상부 마켓 리더
 

초이스스탁US 분석툴


지금부터는 제가 매주 공유드리는 기업 분석글 컨텐츠들 중 가장 하이라이트로 초이스스탁US 분석툴들 (스마트스코어, 밸류에이션 밴드차트, 원스톱진단) 을 활용한 기업 실적 지표 및 밸류에이션, 투자 매력도를 확인하는 시간입니다.

다음은 2025년 8월말 기준 초이스스탁US의 지브라 테크놀러지스 (ZBRA) 기업에 대한 스마트스코어 현황을 캡쳐한 이미지로서 현재 +72점 스마트 스코어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1) 초이스스탁US 스마트스코어


전년동기 스마트 스코어와 비교해볼때 +63점에서 최근 +72점으로 양호한 증가 트랜드를 기록하는 가운데 5가지 평가 항목별 전년동기 스토어 대비 변동 현황은 다음과 같겠습니다.

  • 종합 점수: 지난 2024년 8월 기준 +63점에서 +72점으로 향상하는 긍정적 트랜드로 확인됩니다.
  • 미래 성장성: 지난 2024년 8월의 +55점에서 2025년 5월의 +5점까지 큰 폭 하락했으나, 이후 회복세를 기록하며 2025년 8월 20점으로 회복 상승중입니다.
  • 사업 독점력: 지난해 동기 +60점에서 최근 +70점으로 향상중입니다.
  • 현금창출력: 지난해 +70점에서 단 1년 사이에 +100점 퍼펙트 스코어로 큰 폭의 향상세를 기록중입니다.
  • 수익성: 현금창출력 스마트스코어와 마찬가지로 불과 1년전의 +40점에서 최근 +70점으로 크게 향상중입니다.
  • 재무 안전성: 지난해 +90점에서 최근 +100점 퍼펙트 스코어로 향상했습니다.

아래 요약 테이블은 초이스스탁US가 평가하는 총 +5,470개 평가기업들 중 각각의 스마트스코어 평가 항목별 ZBRA 기업이 어느정도의 상위권 %에 속해있는지 (이를 통해 각각의 핵심 기업 펀더멘털 평가 항목들 측면에서 지브라 기업이 얼마나 매력적 기업 경쟁력을 갖췄는지) 살펴볼 수 있는 분석 자료입니다.

  • 재무안전성 (100점), 현금창출력 (100점)은 상위 0.02% 라는 초특급 블루칩 우량주로서의 지브타 테크놀러지스 기업 현 주소를 입증합니다.
  • 그러나 최근 초이스스탁US 분석글을 통해 살펴본 다른 관심주들 (POOL), (ZTS)과 마찬가지로 지브라 기업 펀더멘털 실적 지표 (스마트스코어) 발목을 잡는 평가항목은 미래성장성 지표로 파악됩니다.
 

(2) 초이스스탁US 밸류에이션


초이스스탁US 밸류에이션 분석 결과 2025년 8월말 기준 1주당 $320.57달러에 거래되는 ZBRA 주식의 적정가는 1주당 $354달러로 예측된다는 점에서 적정평가 (fairly valued) 된 것으로 분석됩니다.



다음은 데이터히어로가 특허를 받은 적정주가 알고리즘으로 계산된 초이스스탁US 밸류에이션 밴드차트를 캡쳐한 투자 자료입니다.

  • 지금까지 다뤄본 다른 기업들의 밸류에이션 밴드차트와는 극명히 대조되는 최근 1년간 지브라 테크놀러지스 밴드차트입니다.
  • 지난 2024년 매우 고평가 구간 이상에서 거래되던 ZBRA 주가는 2025년을 기점으로 급격한 주가 조정기를 경험, 20205년  3~4월에는 매우 저평가 구간까지 폭락했으며, 이후 회복세를 거듭하면서 2025년 8월말 기준 저평가~적정가 구간으로 회귀중입니다.
 

(3) 초이스스탁US 원스톱진단


다음은 지브라 테크놀러지스 (ZBRA) 기업을 포함한 동종 업계 라이벌 기업들에 대한 초이스스탁US의 원스톱진단 현황 확인입니다.

먼저 관심 기업들로는 초이스스탁US 에서 ‘Communication Equipment (이동통신 장비)’ 섹터내 주요 기업들을 선정했으며, 해당 기업 리스트는 다음과 같겠습니다.

  • 유비쿼티 (UI), 2025년 8월말 기준 +54명의 관심
  • 콤스코프홀딩 (COMM), 179명의 관심
  • 주니퍼네트웍스 (JNPR), 19명의 관심
  • 에코스타 (SATS), 6명의 관심
  • 질렛해틀라이트네트웍스 (GILT), 11명의 관심
  • 익스트림네트웍스 (EXTR), 4명의 관심
  • 벨덴 (BCD), 4명의 관심
  • 에릭슨 (ERIC), 43명의 관심
  • 시에나 (CIEN), 25명의 관심
  • 루멘텀홀딩스 (LITE), 55명의 관심
  • 모토로라솔루션스 (MSI), 34명의 관심
  • 지브라테크놀러지스 (ZBRA), 27명의 관심

  • 매력적이네요 구간: (ERIC), (ZBRA)이 눈에 띄는 가운데 스마트스코어 측면에서나 밸류에이션 지표면에서나 ZBRA의 매력적 원스탑진단 포지션이 관찰됩니다.
  • 비록 밸류에이션 지표 측면에서 ‘조금 비싸요’ 구간내 포함되겠으나, (BDC), (UI), (MSI) 주식들 또한 흥미롭게 다가오는 Communication Equipment 섹터 기업들이라 판단됩니다.
 

Conclusion


지난 2024년 기업 실적 보고서 (10K Report) 기준 지브라 테크놀러지스 기업 총 매출의 +80.6% (=4,016 / 4,981)는 모바일 컴퓨터를 포함한 하드웨어 솔루션 제품군들 (Tangible Products) 이 차지하는 한편, 반복적 매출 구조를 띈 서비스 & 소프트웨어 솔루션 제품군들 (아래 테이블내 초록색 표시 부분: Service and Software) 은 약 +19.4% (=965 / 4,981) 매출 비중이라는 현저히 낮은 수준을 대변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최근 소프트웨어 솔루션 포트폴리오 강화에 주력 (최근 추진한 전략적 M&A 과정에서 소프트웨어 솔루션 확보 비중 급증 및 현재 자체 R&D 프로젝트 비중 역시 기존 하드웨어 솔루션 부문 보다 월등히 높은 비중을 관련 소프트웨어 솔루션 부문 개발 및 향상에 주력) 하고 있는 지브라 테크놀러지스의 기업 포지셔닝 전략을 감안한다면, 앞으로 소프트웨어 솔루션 제품군들의 매출 비중 향상 및 이에 따른 수익성 지표 향상이 기대된다는 점에서 긍정적 투자 요소를 이끌어 낼 수 있겠습니다.

  • 2022년 하드웨어 vs. 소프트웨어 매출 비중: +85% vs. +15%
  • 2023년 하드웨어 vs. 소프트웨어 매출 비중: +80% vs +20%
  • 2024년 하드웨어 vs. 소프트웨어 매출 비중: +80% vs +20%
  • 2022~24년 2년간 연평균 하드웨어 사업부문 연매출 성장률: -9.6% 하락
  • 2022~24년 2년간 연평균 소프트웨어 사업부문 연매출 성장률: +5.6% 상승
  • 2022~24년 2년간 연평균 지브라 테크놀러지스 기업 전체 연매출 성장률: -7.2% 하락

앞서 살펴본 초이스스탁US 스마트스코어 향상력 (지난 2024년 8월 기준 +63점에서 +72점으로 향상) 을 대변하듯 글로벌 팬더믹 임팩트 이후 최근 ZBRA 기업 펀더멘털 지표들은 서서히 회복세를 보여준다는 점 역시 낙관적 투자 면모를 시사합니다.

  • 연매출 성장률 (Revenue Growth %): 최근 2년간 매출 성장 회복세가 관찰됩니다.
  • 매출 총 이익률 (Gross Profit Margin%)을 포함한 주요 수익성 지표들: 지난 10년간 평균 +45~48% 수준의 안정적이며 양호한 수익성 지표를 달성중이며, 그동안 높은 매출 비중을 대변하던 하드웨어 사업부문에서 앞으로 반복적 매출 구조가 기대되는 소프트웨어 솔루션 사업부문 매출 비중 확대에 따른 상대적으로 높은 수익성 지표 향상이 기대됩니다.

  • 기업 안전성 지표들: Current Ratio, Quick Ratio, Debt/Equity등등 주요 기업 안전성 평가 지표 현황들에서 왜 초이스스탁US 스마트스코어가 ZBRA 의 재무안전성 평가 항목에서 +100점 퍼펙트 스코어를 부여하는지 그 투자 근거를 충분히 유추할 수 있는 양호한 기업 펀더멘털 지표들로 분석됩니다.
  • 장부가 가치 (Book Value): 물론 전략적 인수 과정에서 일부 장부가치 상승세가 작용하기는 했으나, 지난 2018년의 1주당 $22.52달러는 2025년 현재 +$71.33달러로 증가했습니다.
  • 설비투자 (Cap Ex as a % of Sales): 나름 양호한 연매출 & 수익성 지표 향상 과정에서 간과되지 않은 점은 해당 주력 업계내 경쟁력 확보를 위한 지속적 R&D 설비 투자 전략이 병행 추진된다는 점입니다.

  • 잉여현금흐름 (Free Cash Flow): 지난 2014년 모토로라 솔루션의 엔터프라이즈 사업부문에 대한 $3.45 billion달러 M&A 결정 당시 막대한 부채를 떠안게된 지브라 테크놀러지스였습니다. 지난 2014년 모토로라 솔루션 엔터프라이즈 사업부 (오늘날 지브라 테크놀러지스 모바일 컴퓨터 사업부문의 핵심 근간을 마련해준 사업부) M&A를 마무리졌을 당시 지브라 테크놀러지스의 이자발생부채 비율은 +8배 Net Debt/EBITDA 수준으로 집계됩니다. 이후 기업 안전성 지표 향상에 사업 초점을 맞춘 ZBRA는 연간 잉여현금흐름 창출력을 기반으로 지난 2014~19년까지 부채 상환에 주력, 그 결과 Net Debt/EBITDA 를 2~2.5배 수준까지 낮출 수 있었으며 (더욱더 놀라운 점은 이 기간 중 여전히 7개 스타트업들에 대한 +$1.2 billion 달러 전략적 M&A를 병행 추진한 점), 2025년 6월 연환산 기준 지브라 테크놀러지스의 Net Debt/EBITDA 지표는 +1.2배 수준으로 집계 분석된다는 점에서 ZBRA 기업의 양호한 잉여현금흐름 창출력을 유추해볼 수 있겠습니다.

  • 앞서 살펴본 초이스스탁US 밸류에이션 밴드차트 분석 및 원스톱 진단 분석에서 입증된대로 현재 ZBRA 주가는 적정가 수준으로 평가받고 있으며, 이는 다음 주요 밸류에이션 평가지표들 (출처: 모닝스타)을 통해 재입증됩니다.
  • 현재 PE (Price/Earnings), 추정 PE (Price/Forward Earnings), EV/EBIT, EV/EBITDA 등 모든 밸류에이션 평가지표는 지난 5년간 (5-Yr) 평균 밸류에이션 수준과 비교해볼때 상대적으로 저평가 받고 있음이 파악됩니다.

결론적으로 비록 단순히 상대적 가치평가 지표들 (relative valuation) 수치만으로 ZBRA 주식이 고평가, 적정평가, 저평가 되었다고 일축하는 것을 매우 위험한 투자 행위이겠으나, 최소한 벤치마크 차원에서 지난 5년 평균 평가지표 대비 상대적으로 낮게 평가받는 현재 시장 분위기를 감안한다면, (그리고 이번 분석글을 통해 살펴본 ZBRA 기업의 매력적 기업 펀더멘털 지표 및 경제적 해자 투자 요소들을 감안한다면) 중장기적 투자 관점에서 매력적 투자 기회를 제공하는 것이 아닐까 판단됩니다.

목록보기

인기글

[US STOCK BRIEF]경기 둔화 우려에 하락…주간 기준 나스닥만 상승

2025.09.06 06:30

[US STOCK BRIEF]고용 부진에도 금리인하 기대에 사상 최고치 경신”

2025.09.05 05:30

브로드컴 코파트 룰루레몬

[실적발표] 브로드컴, 주당순이익 1.69 달러..예상치 1.66 달러 상회

2025.09.05 08:25

팝업닫기

AI가 알려주는 투자타이밍!

초이스스탁US 프리미엄

  • 1지금살까? 특허받은 전종목 매매신호
  • 2매수부터 매도까지! 종목추천
  • 3투자매력과 적정주가를 한눈에 종목진단
팝업닫기

AI가 알려주는 투자타이밍!

초이스스탁US 프리미엄

  • 1지금살까? 특허받은 전종목 매매신호
  • 2매수부터 매도까지! 종목추천
  • 3투자매력과 적정주가를 한눈에 종목진단

결제 처리중 입니다...

중복결제가 될 수 있으니 페이지를 새로고침 하거나 이동하지 마시고 잠시 기다려주세요.

구독취소 처리중 입니다...

취소 에러가 날 수 있으니 페이지를 새로 고침하거나 이동하지 마시고 잠시 기다려주세요.

카드변경 처리중 입니다...

카드변경 에러가 날 수 있으니 페이지를 새로 고침하거나 이동하지 마시고 잠시 기다려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