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석] 23개 월가 큰손들의 투자 포트폴리오 대공개! 2분기 돈의 흐름은? – 1부
2025.08.20 11:00
[저자소개]
이관우님은 캐나다 MBA 출신으로, 외환 브로커지와 사모펀드에서 애널리스트와 포트폴리오 매니저를 역임했습니다. 현재는 캐나다 정부기관의 금융 매니저로 재직 중이며, CFA와 FRM 자격을 보유한 북미 금융 전문가입니다.



월가 내 최소 +$100 million 달러 (천억원) 이상의 자산 관리를 하는 투자기관들은 매 분기 마감 이후 45일 이내에 분기별 보유 주식 현황을 보고해야 한다는 규정을 반드시 준수해야 합니다.

지난 2025년 8월 14일 오후를 기점으로 유명 헤지펀드 투자 기관들의 최근 보유 주식 현황을 확인할 수 있는 13F 보고서들이 각종 투자 미디어/웹사이트들을 통해 전격 공개되었습니다.

높은 투자 수익률로 부와 명성을 동시에 확보한 이들 유명 헤지펀드 매니저들이 이끌고 있는 헤지펀드 투자 기관들의 ‘13F 보고서(13F Filings)’는 글로벌 주식 투자자들에게는 ‘공짜’ 투자 족보로서, 유명 투자자들이 매 분기 어떤 매수/매도 투자 활동을 했는지와 최근 보유 주식 현황을 확인할 수 있다는 측면에서 유용한 투자 정보를 제공합니다.

개인적으로 관심을 두고 매 분기 팔로우하는 +20~30여 개 유명 헤지펀드 투자 기관들의 최근 투자 현황에 대한 종합 분석글을 공유드리겠습니다.

다음 테이블은 이번 분석글에서 집중 리뷰해볼 총 23개 유명 헤지펀드 리스트로서 기호에 맞는 투자기관들의 최근 투자 관심주들을 선별하신후 2025년 미국 주식 투자 아이디어로 참고하시면 좋겠습니다.

  • 기관명: 총 23개 유명 헤지펀드 투자기관 이름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시가총액$: 2025년 2분기 기준 (2025년 6월 30일 기준) 이들 유명 헤지펀드들이 운용하는 포트폴리오 상위 10권 (Top 10) 투자 규모입니다. 왼쪽 Treemap 차트는 이들 유명 헤지펀드들의 포트 투자 규모를 비교한 차트로서 박스 크기가 클수록 높은 투자 규모를 의미하는 한편, 가장 큰 박스를 이루는 버크셔 해서웨이 (네이비색)는 이번 분석글에서 리뷰해볼 총 23개 유명 헤지펀드 투자기관들 중 가장 높은 상위10권 포트 규모 ($224.78 billion달러)를 기록하며, 그 다음 2번째로 높은 상위10권 포트 규모 ($155.86 billion달러)의 시타델 헤지펀드가 관찰됩니다.
  • 포트비중%: 전체 포트폴리오내 상위10권 주식들의 투자 비중을 정리한 것이며, 버크셔 해서웨이의 상위 10권 주식들은 전체 포트 비중 +87.3%를 대변하는 한편 유명 퀀트펀드 투자기관 르네상스 테크놀로지스 상위 10권 주식들은 전체 포트 비중 +12.1%를 기록하는 것으로 집계 분석됩니다.
  • # of 종목코드: 상위 10권 주식 보유 현황을 집계한 테이블이겠으니, 대부분의 헤지펀드들은 모두 10개 주식을 보유한 것으로 확인됩니다. 버크셔 해서웨이 전체 포트의 +87.3%는 Top 10 주식들로 대변되는 가운데 반대로 유명 퀀트 펀드들은 상대적으로 낮은 상위 10권 주식 비중 (예: 르네상스의 +12.1%, 투시그마의 +7.7%)을 기록합니다. 유일하게 ‘중국의 워런 버핏’으로 통하는 유명 가치투자가 리루가 이끄는 히말라야 헤지펀드의 경우에는 +9개 주식들이 전체 포트 비중 +100%를 대변한다는 점에서 극소수 주식들에 대한 집중 투자 전략이 유추됩니다.
  • # of 섹터: 각 헤지펀드들이 투자하는 섹터 수를 의미, 버크셔 해서웨이의 Top 10 주식들은 총 5개 섹터들로 구성되는 한편, 유명 행동주의 투자기관 서드 포인트는 가장 많은8개 섹터들 (즉, 상위 10권 주식들은 총 8개 섹터들)에 대한 분산 투자 전략을 추진중으로 종합 분석됩니다.
 

(1) 버크셔 해서웨이 (Berkshire Hathaway)




현존하는 최고의 가치 투자가 워런 버핏 (Warren Buffet) 이 이끄는 버크셔 해서웨이 (Berkshire Hathaway) 전체 포트폴리오의 +87.3% 투자 비중을 대변하는 상위 10권 주식들에 대한 투자 현황은 아래 테이블과 같이 요약됩니다.

  • Treemap 차트에서 확인되듯이 개별 종목들 중에는 포트 랭킹 1위의 애플 (AAPL)과 포트 랭킹 2위의 아메리칸 익스프레스 (AXP)에 대한 높은 투자 비중이 관찰되며, 섹터별로는 금융 (FINANCE) 섹터와 IT (Information Technology) 섹터내 높은 투자 비중으로 관찰됩니다.
  • 애플 (AAPL): 워런 버핏의 애플 기업에 대한 무한 투자 사랑은 이미 글로벌 투자자들에게 정평이 난 팩트이겠으니, 애플은 여전히 버크셔 해서웨이 포트 랭킹 1위를 차지중입니다. 지난 2016년 1분기 초기 매수 시점부터 현재까지 평균 매수가 ($39.6달러) 로서 이는 이번 2025년 2분기 13F 보고서가 발표된 2025년 8월 14일 실제 주가 ($232.78달러) 대비 +488% 양호한 주가 수익률을 안겨주는 애플 주식입니다. 그러나, 최근 들어 지속적으로 기존 보유해온 애플 주식에 대한 부분매도 전략으로 한때 +5.3% 애플 기업 지분을 확보했던 버크셔 해서웨이는 최근 들어 +1.9% 로 애플 지분율을 대폭 감소시킨 가운데 이번 2025년 2분기 투자 기간내 또 다시 기존 보유해온 애플 주식들에 대한 -6.7% 부분 매도 전략을 통한 “지속적 애플 주식 투자 비중 축소 움직임”이 관찰됩니다.
  • 쉐브론 (CVX): 상위 10권 주식들 중 에너지 관련주들로는 포트 랭킹 5위 쉐브론과 포트 랭킹 7위 옥시덴탈 페트롤리움 (OXY) 주식이 관찰되는 가운데 이번 2025년 2분기 기준 버크셔 해서웨이 상위 10권 주식들 중 유일한 추가 매수 활동 (지난 분기 대비 보유 주식 수 +2.9% 늘림)이 관찰되는 쉐브론 주식입니다.
  • 아메리칸 익스프레스 (AXP): 테이블내 % Change는 지난 2025년 1분기와 이번 2025년 3분기 투자 기간내 보유 주식 수 변동 현황을 나타내는 통계 수치입니다. 빈칸은 곧 중립자세 (no change)를 의미하겠으니, 예를 들면 포트 랭킹 1위 애플에 대한 기존 보유 주식 수를 -6.7% 축소 결정한 버크셔 해서웨이 투자 전략에 애플 주식의 포트 비중은 +25.8%에서 +22.3%로 감소된 반면에 지난 분기와 이번 분기내 중립자세 (no 매수 & no 매도)를 유지한 아메리칸 익스프레스 (AXP)의 버크셔 해서웨이 전체 포트 비중은 지난 분기의 +15.8%에서 최근 +18.8%로 증가한 것으로 집계 분석됩니다.
  • 배경 지식 차원에서 버크셔 해서웨이 상위 10권 주식들 중 일부 기업들에 대한 최근 초이스스탁US 분석글 링크를 아래와 같이 공유드립니다.

다음은 버크셔 해서웨이의 지난 2025년 1분기 기준과 이번 2025년 2분기 기준 상위 10권 주식 변동 현황을 비교 분석한 테이블입니다.

  • 지난 2025년 1분기 상위 10권 주식들은 버크셔 해서웨이 전체 포트의 +89.0%를 대변했다면, 이번 2025년 2분기 기준 전체 포트의 +87.3% 비중으로 소폭 감소한 것으로 분석됩니다.
  • 지난 2025년 1분기 상위 10권 주식들 중 대부분은 이번 2025년 2분기 그대로 Top 10 포트 자리를 유지한 가운데 포트 랭킹 3, 4위와 6,7위 변동이 관찰됩니다.
    • 포트 랭킹 3위 (BAC): 지난 1분기와 이번 2분기 지속적으로 부분 매도 전략이 추진되었음에도 지난 분기의 포트 랭킹 4위에서 3위로 한단계 업그레이드했습니다.
    • 포트 랭킹 4위 (KO): 반면에 지난 분기와 이번 분기내 중립자세를 유지해온 글로벌 최대 탄산 음료 브랜드 기업 코카콜라 포트 랭킹은 지난 분기에서 한단계 하락한 포트 랭킹 4위를 기록한다는 점에서 최근 주가 정체성을 경험하는 KO 주가 현 주소를 유추해볼 수 있겠습니다.
    • 포트 랭킹 6위 (MCO): 지난 분기의 포트 랭킹 7위에서 6위로 상승했습니다.
    • 포트 랭킹 7위 (OXY): 지난 분기 포트 랭킹 6위 자리를 무디스 (MCO)에서 양보하면서 이번 2025년 2분기 기준 버크셔 해서웨이 전체 포트 랭킹 7위를 대변합니다.
  • 상위10권 주식들 중 부분 매도 전략을 통해 투자 비중을 감소 결정한 종목들에는 포트 랭킹 1위의 애플 (AAPL), 포트 랭킹 3위의 미국 최대 금융 & 은행 기업, 뱅크 오브 아메리카 (BAC) 그리고 포트 랭킹 10위의 다비타 (DVA)로 확인됩니다.

이번 2025년 2분기 기준 버크셔 해서웨이 헤지펀드의 13F 보고서가 흥미로운 이유는 평소 신규 매수 전략에 소극적이던 버크셔 해서웨이의 과감한 투자 움직임이 포착되었기 때문입니다.

다음은 이번 2025년 2분기 기준 버크셔 해서웨이가 신규 매수 전략을 통해 새롭게 주식 포트폴리오에 포함시킨 총 6개 매수 관심 기업들 현황입니다.

  • 오른쪽 Treemap 에서 관찰되듯이 총 6개 신규 매수 주식들 중 투자 규모 측면에서 UNH, NUE, LEN에 대한 높은 투자 비중이 관찰됩니다.
  • 왼쪽 Treemap에서 설명되듯이 총 5개 섹터별 투자 현황들 중 헬스케어 (Health Care), 임의 소비재 (Consumer Discretionary), 원자재 (Materials) 섹터내 집중된 투자 전략이 유추되며, 이는 다음에 살펴볼 개별 주식 투자 현황을 통해 재입증됩니다.
  • 유나이티드헬스 그룹 (UNH): 가장 먼저 눈에 띄는 신규 매수 주식은 헬스케어 보험 관련 업계 블루칩 기업 UNH 기업입니다. 한가지 주목할 점은 이번 2025년 2분기 투자 기간내 버크셔 해서웨이를 포함한 다수의 유명 헤지펀드 투자기관들의 UNH 에 대한 적극적 매수 활동이 관찰되었다는 점입니다.
  • 뉴코어 (NUE): 미국 증시내 대표격 철강 원자재 기업으로서, 다음에 살펴볼 주택 건설 기업들에 대한 매수 전략들과 일맥상통한 투자 포지션이라 판단됩니다.
  • 주택 건설 기업들: 포트 랭킹 26위의 레나 (LEN) 기업과 포트 랭킹 32위의 디알홀튼 (DHI) 기업은 미국 증시내 대표 주택 건설 관련주 (Homebuilders) 들로 분류됩니다.

다음 테이블은 이번 2025년 2분기 기준 버크셔 해서웨이가 추가 매수 전략을 통해 기존 투자 비중을 확대 결정한 주식들 현황입니다.

  • Treemap 차트를 통해 (CVX) 주식에 대한 높은 추가 매수 전략이 관찰되며, 이러한 투자 결정은 에너지 (Energy) 섹터내 높은 추가 매수 전략으로 재해석됩니다.
  • 컨스텔레이션 브랜즈 (STZ): 지난 2024년 4분기 기준 버크셔 해서웨이의 유일한 신규 매수 (new purchase) 종목으로 분류되었던 글로벌 최대 주류 (맥주, 와인 등) 브랜드 기업 컨스텔레이션 브랜즈는 지난 2025년 1분기 높은 추가 매수 전략 (+113.5% 투자 비중 확대) 에 이어서 이번 2025년 2분기 역시 추가 매수 전략 (+11.6% 투자 비중 확대)을 결정했다는 점에서 최근 버크셔 해서웨이의 투자 낙관론이 유추됩니다.
  • 도미노 피자 (DPZ): 오랜 기간 글로벌 피자 레스토랑 업계 넘사벽 블루칩 기업으로서 승승장구했으나, 최근 주가 약세를 경험하는 DPZ 주식에 대한 +7.7% 투자 비중 확대 움직임이 관찰됩니다.
  • 풀 (POOL): 테이블내 빨간색 표시 부분에서 관찰되듯이 이번 2025년 2분기 기준 가장 높은 추가 매수 전략 (지난 2025년 1분기 대비 보유 주식 수를 +136.3% 투자 비중 확대)을 추진한 종목은 수영장 (풀장) 업계 대표 마켓리더 풀 (POOL) 기업입니다. 이번 13F 보고서를 계기로 필자는 현재 POOL 기업 분석글을 준비중이며, 곧 초이스스탁US 회원분들께 공유드려볼 계획입니다.
 

(2) 사이언 에셋 매니지먼트 (Scion Asset Management)


사이언 에셋 매니지먼트(Scion Asset Management)의 수장, 마이클 버리(Michael Burry)는 이미 영화 ‘빅 숏(The Big Short: 지난 2008년 미국 서브프라임 모기지 금융 붕괴 사태 당시, 글로벌 투자은행들을 상대로 천문학적 공매도 종합 투자 베팅을 통해 거액의 수익을 올린 4명의 주요 금융인들에 대한 내용을 다룬 영화)’에서 우리에게 배트맨 캐릭터로도 잘 알려진 크리스천 베일 (아래 무비 포스터) 이 연기한 실존 인물입니다.


 

무비 빅 숏 (The BIG SHORT)


사이언 에셋의 수장, 마이클 버리 박사에 대한 보다 깊은 이해와 공감을 위해 ‘빅 숏’ 무비 클립들 중 가장 즐겨 시청한 2가지 무비 클립을 다음과 같이 선정했습니다.
 

빅숏 무비 클립 (1)




가장 즐겨 본 클립 중 하나로 마이클 버리 박사가 골드만 삭스 투자 은행을 찾아가 미국 주택 시장 폭락에 베팅하기 위한 '크레딧 디폴트 스왑(CDS: Credit Default Swap)' 파생 상품을 그에게 판매하길 요구하는 부분입니다.

회의를 마치고 나가는 마이클 버리 박사의 뒤로 비친 투자 은행가들의 비웃음을 뒤로하고 골드만 삭스 이후 현재 기업 역사상 최고의 위기에 봉착하고 있는 유럽 최대 은행, '도이치 뱅크(Deutsch Bank)', 가치 투자가 워렌 버핏의 버크셔 해서웨이가 집중 투자하고 있는 미국 최대 은행, '뱅크 오브 아메리카(Bank of America)' 등 유명 투자 은행을 직접 방문하며, 크레딧 디폴트 스왑 종합 상품을 사재기하는 마이클 버리의 모습이 매우 인상 깊었던 부분입니다.

참고로 CDS(Credit Default Swap: 크레딧 디폴트 스왑 혹은 신용 부도 스왑)는 기업의 파산 위험 자체를 사고팔 수 있도록 만든 파생금융상품(financial derivatives)을 의미, 거래 당사자들 중 A(CDS Buyer)그룹은 B(CDS Seller)그룹에게 수수료(보험금)를 지급하는 대신, 해당 기업이 부도 혹은 경영난에 따른 채무 이행이 불가능하게 될 경우 상대방(B 그룹)으로부터 보상받도록 설계된 일종의 보험으로 생각하시면 됩니다.

즉, 이번 클립에서 마이클 버리 (CDS Buyer)는 당시 존재하지도 않은 CDS 파생 상품을 자신에게 판매하길 유명 투자 은행들 (CDS Seller)에게 요구, 당시 천정부지 상승하는 미국 주택 시장을 경험해온 투자 은행 관계자들 입장에서는 그야말로 누워서 떡먹기 (즉, 주택 시장 부도 가능성 제로 => 마이클 버리로부터 매번 높은 수수료 (보험금) 지급 보장 => 은행 수익 증가) 사업 기회로 결론을 내렸으며, 이처럼 스스로 자신의 돈을 헌납하겠다고 자청하는 마이클 버리 박사를 비웃게 됩니다.

물론 우리는 모두 그 이후 발생하게 될 충격적 시장 이벤트 (즉, 미국 주택 시장 붕괴 => 투자 은행들은 마이클 버리에게 막대한 CDS 보험금 지급)를 잘 주지하고 있겠습니다.
 

빅숏 무비 클립 (2)




지난 2007~08년 미국 서브프라임 모기지 금융 사태가 터지기 3년전이였던 지난 2005년부터 일찌감치 미국 주택 시장에 대한 공매도 포지션을 사재기한 마이클 버리 박사입니다.

당시 고공 행진하던 주택 시장의 붕괴에 베팅하는 마이클 버리의 공매도 포지션이 무모한 투자라고 인식하며 격노한 투자자들은 각종 항의, 협박, 고소 메일을 보내오며 그가 추진하던 투자전략에 크나큰 저항을 표현하게 됩니다.

결국 높은 수익률을 올렸음에도 그를 신뢰하지 못했던 기존의 투자자들에 대한 실망감)과 함께 당시 외부 투자금 전액 상환을 통해 헤지펀드, '사이언 캐피탈(Scion Capital)'을 폐쇄하기로 결정한 마이클 버리의 독백을 담은 클립입니다.

재생 구간 2분쯤에서 보여주는 사이언 캐피탈 투자 수익률 +489%과 투자 순이익 $2.69 billion 달러 수치가 그동안 마이클 버리의 투자에 의구심을 보였던 투자자들에게 날리는 완벽한 카운터펀치로 대변됩니다.



이처럼 지난 2008년 금융위기 당시 어마어마한 투자 수익을 올렸으나, 금융위기 당시 자신의 투자자들에게 회의감을 느끼며 당시 운용했던 사이언 캐피탈(Scion Capital) 헤지펀드를 폐쇄한 마이클 버리는 자신이 벌어들인 막대한 투자 수익금 중 일부를 기반으로 지난 2015년부터 ‘사이언 에셋 매니지먼트(Scion Asset Management)’라는 투자 기관을 만들어 월가 내 재입성을 하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유명 빅숏 (Big Short) 투자가 마이클 버리 박사가 이끄는 사이언 에셋 매니지먼트 (Scion Asset Management) 전체 포트폴리오의 +92.4% 투자 비중을 대변하는 상위 10권 주식들에 대한 투자 현황은 아래 테이블과 같이 요약됩니다.

  • 매분기 사이언 에셋 매니지먼트의 13F 보고서를 리뷰하면서 느끼는 점은 역시나 유명 빅숏 (BIG SHORT) 투자가답게 증시 상황에 걸맞는 다이나믹한 투자 전략을 구사하는 점이며, 이러한 빅숏 투자가 마이클 버리의 명성은 이번 2025년 2분기 투자 기간에도 재입증됩니다.
  • 테이블내 “초기 매수 시기” (빨간색 표시 부분)에서 관찰되듯이 상위 10권 주식들 중 9개 주식들 (포트 랭킹 1~9위)은 모두 이번 2025년 2분기 투자기간 (Q2 2025)내 매수된 주식들로 구성됩니다.
  • 또한 테이블내 종목코드 (네이비색)에서 확인되듯이 9개 신규 매수 주식들은 모두 보통주 (common stock)가 아닌 콜옵션 (call options) 파생상품전략들로 구성된다는 점에서 독특하면서도 다이나믹한 빅숏 투자가의 면모가 관찰됩니다.
  • 콜 (CALL) 전략은 해당 주식이 상승할 것에 베팅하는 파생상품 옵션 투자 전략입니다. 빅숏 투자가로 정평이 난 마이클 버리의 사이언 에셋 헤지펀드가 이번 2025년 2분기 투자 기간내에는 숏 (SHORT)과는 정반대 전략으로 분류되는 롱 (LONG) + 콜 (CALL) 투자 전략을 추진한 점이 흥미롭네요.
  • 버크셔 해서웨이와 마찬가지로 이번 2025년 2분기 투자 기간내 헬스케어 보험 관련 업계 블루칩 기업, 유나이티드헬스 그룹 (UNH)에 대한 높은 신규 매수 전략을 추진한 점 (비록 버크셔 해서웨이의 보통주 매수가 아닌 UNH 콜옵션 전략을 추진했으나, 여전히 투자 공통 분모가 관찰된다는 점) 역시 주목해볼만 하겠습니다.

다음은 사이언 에셋의 지난 2025년 1분기 기준과 이번 2025년 2분기 기준 상위 10권 주식 변동 현황을 비교 분석한 테이블입니다.

  • 지난 2025년 1분기 $199 million달러 포트폴리오 규모는 이번 2025년 2분기 +168% 급증한 +$534 million 달러 포트폴리오로 급성장했습니다.
  • 앞서 설명드린대로 지난 2025년 1분기 포트 대부분을 구성했던 풋 (PUT) 옵션 전략 (해당 주식이 하락할 것에 베팅하는 옵션 전략)은 이번 2025년 2분기 모두 콜 (CALL) 옵션 전략으로 재편되었다는 점에서 단 3개월 사이에 미국 주식 시장 전반에 대한 극명한 투자 견해를 보여주는 마이클 버리의 투자 접근법 (풋/증시불황/비관론 => 콜/증시호황/낙관론)이 유추됩니다.
  • 2025년 트럼프 정부 출범 이후 미국과 중국간 무역전쟁 발발을 염두한 대규모 차이나 풋 전략 (알리바바, PDD, JD닷컴등 차이나 테크 주식들에 대한 대규모 풋 (PUT) 옵션 전략)은 이번 2025년 2분기에는 그 모습을 전혀 찾아볼 수 없겠으며, 오히려 JD닷컴 (포트랭킹 6위 JD CALL)과 알리바바 그룹 (포트랭킹 7위 BABA CALL)에 대한 콜옵션 전략이라는 +180도 바뀐 투자 전략이 관찰된다는 점 역시 흥미롭게 다가옵니다.
  • 지난 분기에 이이서 여전히 사이언 에셋 상위10권 포트내 유일하게 포함된 주식은 글로벌 화장품 브랜드 기업 (EL) 이겠으나, 기존 보유 주식 수를 -25% 대폭 감소한 투자 움직임이 관찰됩니다.

이번 2025년 2분기 기간내 추가 매수 전략을 통해 기존 투자 비중을 확대 결정한 관심 기업들은 단 한개도 존재하지 않겠으나, 아래 테이블에서와 같이 상위 10권밖 사이언 에셋 신규 매수 전략주들 현황을 파악할 수 있겠습니다.

  • 빨간색으로 표시된 5가지 주식들은 이번 2025년 2분기 투자 기간내 사이언 에셋이 신규 매수 (new purchase) 한 (그러나 앞서 살펴본 상위10권 순위밖) 주식들입니다.
  • UNH, REGN, LULU: 초록색 부분에서 표시된대로 일부 주식들은 보통주 (common stock)과 콜옵션 (call option) 전략을 병행 추진했으니, 예를 들면 ‘요가복 업계내 샤넬’로 통하는 룰루레몬 (LULU)에 대한 콜옵션 (포트 랭킹 3위: LULU CALL) 전략과 보통주 매수 전략 (포트 랭킹 11위: LULU)을 병행 추진했습니다.
  • 메르카도리브레 (MELI): ‘남미의 아마존’으로 통하는 메르카도리브레 기업에 대한 신규 매수 전략을 추진한 가운데, 초이스스탁US 분석글을 통해 공유드렸던 MELI 기업 분석글 링크를 다음과 같이 첨부드립니다.
  • [분석] 아마존 닮은 중남미 이커머스 거인, 메르카도 리브레
 

(3) 아팔루사 매니지먼트 (Appaloosa Management)




글로벌 투자자 사이에서 ‘테퍼 랠리 (Tepper Rally: 아팔루사 매니지먼트의 데이비드 테퍼 회장이 투자 미디어에서 미국 증시에 대한 낙관론을 표명하면 그 이후 실제로 증시 호황기(Bullish Market)가 확인된다는 금융 현상을 일컫는 투자 용어)’라는 투자 용어로도 유명한 억만장자 투자가, 데이비드 테퍼 (David Tepper) 가 이끌고 있는 미국의 유명 헤지펀드 투자 기관, 아팔루사 매니지먼트(Appaloosa Management)의 2025년 2분기 기준 주요 투자 현황 분석입니다.

  • 아팔루사 전체 포트폴리오 +64.7% 투자 비중을 대변하는 상위 10권 투자 현황입니다.
  • 상위 10권 주식들 중 7개 주식들에 대한 부분 매도 (% change 내 마이너스 %) 전략과 3개 주식들에 대한 추가 매수 (UNH, AMZN, NVDA) 전략이 관찰되며, 상위 10권 주식들 중 신규 매수 (new purchase) 주식들은 존재하지 않은 것으로 집계 분석됩니다.
  • 테퍼 랠리 (Tepper Rally) 투자 키워드를 연상시키듯 일부 확신주 (conviction stocks) 들에 대한 데이비드 테퍼 머니 매니저의 공격적 투자 전략이 관찰되는 2개 관심 주식들은 이번 2025년 2분기 투자 기간내 기존 보유 주식 수를 무려 +1,300% 늘린 유나이티드헬스 그룹 (UNH)와 +483% 투자 비중 확대를 결정한 엔비디아 (NVDA) 주식입니다.
  • 특히, 앞서 살펴본 버크셔 해서웨이, 사이언 에셋 매니지먼트에 이어서 이번 아팔루사 매니지먼트 역시나 UNH 주식에 대한 적극적 매수 전략을 추진했다는 점에서 UNH 기업에 대한 이번 2025년 2분기 기간내 투자 낙관론을 유추할 수 있겠습니다.
  • 비록 일부 주식들에 대한 부분 매도 전략을 결정했음에도 여전히 아팔루사 상위10권 주식 그룹내 포함된 기업들에 대한 기존 초이스스탁US 분석글을 배경지식 차원에서 공유드립니다.

다음은 아팔루사의 이번 2025년 2분기 13F 보고서 기준 신규 매수 (new purchase) 투자 현황을 요약한 테이블입니다.

  • 초록색: 시장의 찬밥으로 전락한 (그리고 최근 트럼프 정부와의 마찰등 정치적 리스트에 노출된) 인텔 종목 신규 매수 전략 (INTC) 이 흥미롭겠습니다.
  • 빨간색: 미국 주요 항공 운항 주식들 (UAL), (DAL)에 대한 신규 매수 전략이 관찰됩니다.
  • 오렌지색: 가전제품 (WHR), 타이어 (GT), 주택자재 (MHK) 서비스등 일부 임의 소비재 (consumer discretionary) 주식들에 대한 신규 매수 전략을 추진한 것으로 분석됩니다.

다음은 아팔루사의 이번 2025년 2분기 13F 보고서 기준 추가 매수 (additional purchase) 투자 현황을 요약한 테이블입니다.

  • 보라색: 지난 2024년 4분기 기준 아팔루사 헤지펀드의 유일한 신규 매수주였던 글로벌 최대 유리 (glass) 제조 기업 코닝 (GLW) 주식에 대한 지속적 추가 매수 전략 (2025년 1분기 +16.2% 추가 매수 전략 그리고 2025년 2분기 +0.4% 추가 매수 전략)에서 해당 기업에 대한 아팔루사의 투자 낙관론이 분석됩니다.
  • 빨간색: ‘% Change’ 부분에서 입증되듯이 UNH, NVDA, TSM, MU, XYZ에 대한 대규모 추가 매수 전략에 따른 해당 기업들에 대한 아팔루사 (데이비드 테퍼) 헤지펀드의 낙관적 투자 견해가 유추됩니다.
  • 오렌지색: 이번 2025년 2분기 추가 매수한 총 9개 주식들 중 5개 주식들은 정보통신 기술 (Information Technology) 섹터 관련주들로 구성됩니다.
 

(4) 브릿지워터 어소시에이츠 (Bridgewater Associates)




국내 투자자들에게도 너무 잘 알려진, 별도의 소개가 필요없는 억만장자 투자가, 레이 달리오 (Ray Dalio) 가 이끌고 있는 유명 헤지펀드 투자기관, 브릿지워터 어소시에이츠 (Bridgewater Associates, 이하 ‘브릿지워터) 의 2025년 2분기 기준 주요 투자 현황에 대한 간략한 리뷰입니다.

  • SPDR S&P500 (SPY): 비록 지난 분기 대비 보유 주식 수를 -21.9% 감소 결정했음에도, 여전히 브릿지워터 포트폴리오 랭킹 1위를 고수하는 SPY 주식은 일명 ‘스파이더(SPDR)’라고도 불리는 SPDR S&P 500 상장지수펀드 (SPDR S&P 500 ETF) 주식 코드입니다. 미국 증시 대표 벤치마크 지수, S&P 500 지수와 연계된 ETF (상장지수펀드)를 의미, 즉, 미국 증시 내 시가 총액 상위 500개 상장 기업의 주가 흐름과 연동된 인덱스 종합 펀드로서, 포트 랭킹 2위 IVV와 함께 브릿지워터 상위10권 포트내 상대적으로 높은 금융 섹터 투자 비중을 주도하는 대표격 주식 포지션으로 분류됩니다.
  • SPY와 같은 ETF 투자를 제외한 개별 주식들 중에는 엔비디아, 알파벳, 마이크로소프트, 메타플랫폼즈, 세일즈포스등 미국 증시내 블루칩 테크 주식들에 대한 최근 적극적 추가 매수 전략이 관찰됩니다.

  • 지난 2025년 1분기 기준 상위 10권 주식들은 브릿지워터 전체 포트폴리오의 +31.8% 투자 비중을 대변했으나, 이번 2025년 2분기 기준 그 수치는 +36.1%로 증가했습니다.
  • 달러 투자 규모 (시가총액$) 측면에서도 지난 분기의 $6.85 billion 달러 포트폴리오 규모는 이번 2025년 2분기 31% 증가한 $8.95 billion달러 수준으로 집계됩니다.
  • 이번 2025년 2분기내 브릿지워터 상위 10권 포트내 신규 진입한 기업들로는 포트 랭킹 7위의 메타플랫폼즈 (META)와 포트 랭킹 10위의 GE 버노바 (GEV) 로 집계됩니다.

다음은 브릿지워터의 이번 2025년 2분기 13F 보고서 기준 신규 매수 (new purchase) 투자 현황을 요약한 테이블입니다.


다음은 브릿지워터의 이번 2025년 2분기 13F 보고서 기준 추가 매수 (additional purchase) 투자 현황을 요약한 테이블입니다.

 

(5) 시타델 어드바이저스 (Citadel Advisors)




유명 HFT 퀀트 펀드(High Frequency Trading Quant Funds) 기관으로 정평이 난 시타델 헤지펀드를 이끄는 켄 그리핀은 월가는 물론 글로벌 금융 업계내 큰 손입니다.

지난 1990년 당시 20대 초반 켄 그리핀은 대학교 기숙사에서 시타델 헤지펀드를 창업하게 되며, 사업 초반 당시 투자자들에게는 매우 생소했던 전환사채를 통한 무위험차익거래 투자 전략으로 막대한 부와 명성을 축적하게 됩니다.

일명 절대수익 퀀트펀드 (즉, 주식 시장이 상승장이건 하락장이건 무조건 플러스 투자 수익률을 창출하는 퀀트 펀드) 투자가라는 높은 명성을 유지하는 켄 그리핀의 시타델 최근 투자 현황은 다음과 같겠습니다.

  • 시장 상황에 관계없이 절대수익을 추구하는 퀀트 펀드 답게 상위 10권 주식들 중 보통주 (common stocks) 에 대한 평범한 포지션은 찾아 볼 수 없겠으며, 포지션들 모두 콜 (CALL)/풋 (PUT) 옵션이라는 파생상품 투자 전략들로 구성됩니다.
  • 또한 % Change (빨간색) 부분에서와 같이 상위 10권 투자 전략들에 대한 부분 매도 전략이 추진된 것으로 분석되는 가운데 유일한 +1.1% 추가 매수 전략으로 분류되는 Invesco QQQ Trust 1 (포트랭킹 3위) 포지션 또한 주가 하락세에 베팅하는 풋 옵션 전략이라는 점에서 미국 증시 전반에 대한 방어적 투자 접근법에서 다른 유명 퀀트 펀드들과는 사뭇 대조적 투자 면모를 접할 수 있겠습니다.

다음은 시타델의 이번 2025년 2분기 13F 보고서 기준 신규 매수 (new purchase) 주식 보유 현황을 요약한 테이블입니다.

  • 개별 주식들 중 글로벌 최대 유통 리테일러 월마트 (WMT)에 대한 신규 매수 전략이 눈에 띄는 가운데, AI열풍에 따른 최근 글로벌 투자자들의 관심이 집중된 코어위브 (CRWV)에 대한 풋/콜 옵션 전략 또한 흥미롭게 다가옵니다.

다음은 시타델의 이번 2025년 2분기 13F 보고서 기준 추가 매수 (additional purchase) 주식 보유 현황을 요약한 테이블입니다.

  • 넷플릭스, 알파벳, 일라이 릴리, 유나이티드헬스 그룹, 골드만삭스, 크라우드스트라이크 등에서와 같이 일부 추가 매수 전략들 역시 단순히 보통주에 대한 투자 전략이 아닌 콜/풋 옵션 전략이 융합된 파생상품 투자 전략이라는 점에서 다시금 절대수익 창출을 목표로 하는 시타델 퀀트 펀드의 야심찬 투자 전략 면모가 파악됩니다.
 

(6) 히말라야 캐피탈 매니지먼트 (Himalaya Capital Management)


현존하는 최고의 가치 투자가, 워런 버핏의 투자 인생 동반자였으며, 워런 버핏 마저 깊은 존경심을 표명했던 지금은 하늘나라에 계신 찰리 멍거는 워런 버핏과 함께 버크셔 해서웨이 (Berkshire Hathaway) 공동 수장직을 지닌 전설적 유명 머니 매니저였습니다.

특유의 재치와 카리스마 넘치는 입담으로 글로벌 투자 커뮤니티로부터 최고의 찬사를 받고 있는 찰리 멍거는 만일 자신의 돈을 외부 투자자에게 맡겨야할 상황이 직면한다면 전 세계를 통틀어 딱 2명의 투자가에게만 자신의 투자 은행 계좌를 맡길 것이라 단언했으니, 이들 중 한 명은 워런 버핏이며, 또 다른 한명은 ‘중국의 워런 버핏’으로 통하는 유명 머니 매니저 리루 (Li Lu) 입니다.



다음은 히말라야 캐피탈 매니지먼트의 2025년 2분기 상위 10권 주식 보유 현황을 나타낸 테이블 입니다.

  • 총 9개 주식들은 히말라야 캐피탈 매니지먼트 포트폴리오 100%를 구성한다는 점에서 소수 관심주들에 대한 집중 투자 전략이 관찰됩니다.
  • 상위 10권 주식들 중 유일한 신규 매수 주식으로는 포트 랭킹 2위에 위치한 PDD 홀딩스 (PDD) 기업입니다.
 

(7) 퍼싱 스퀘어 (Pershing Square)


지난 2015년 유명 투자 미디어 포브스 (Forbes) 가 ‘베이비 버핏 (Baby Buffett)’ 이라는 커버스토리로 다뤘던 유명 머니 매니저, 빌 애크만 (Bill Ackman)은 잘생긴 외모와 성공적 투자 수익률을 창출하면서 차세대 금융 헤지펀드 슈퍼스타로 자리매김중입니다.



비록 워런 버핏처럼 지속적으로 꾸준한 성공 수익률을 창출하는 안정적 투자 면모를 보여주지는 않겠으니, 대표적으로 과거 ‘허벌라이프, 밸리언트 파마슈티컬즈, 테슬라’등에 대한 막대한 투자 실패로 한때 빌 애크만의 투자 명성은 바닥을 치게 됩니다.

그러나, 글로벌 팬더믹 후폭풍 사태로 주가 폭락세를 경험했던 지난 2020년 초반, 빌 애크만은 유명 투자 미디어에 출연하여 미국 주식 시장에 대한 매력 (BUY America) 을 피력하는 한편, 이후 ‘2020년판 빅 숏 전략’을 통해 단기간내 막대한 투자 수익을 창출하는 한편, 스타벅스, 나이키, 도미노 피자, 치폴레 멕시칸 그릴즈등 유명 소비자 브랜드 기업 주식들에 대한 적극적 매수 전략을 통해 천문학적 수치의 투자 수익률을 창출하는등 헤지펀드 매니저로서 ‘롱 & 숏 (Long & Short ) 전략’ 모든 측면에서 완벽한 투자 성공을 이끌어내는 유명 머니 매니저로서의 탁월한 투자 면모를 보여주게 됩니다.

지난 2019년 재혼에도 성공하면서 (빌 애크만이 재혼한 여성은 유명 헐리우드 배우 브래드 피트가 반했던 명문 MIT 교수, Neri Oxman로서 이후 월가에서는 ‘브래드 피트의 전여친을 매혹시킨 월가 브래드 피트, 빌 애크만’이라는 수식어로 언급) 현재 꽃길을 걷고 있는 빌 애크만의 퍼싱 스퀘어 캐피탈은 최근 어떤 주식들에 투자중일까요?



셀럽급 머니 매니저 빌 애크만이 이끄는 퍼싱 스퀘어 캐피탈 매니지먼트 (Pershing Square Capital Management) 전체 포트폴리오의 +99.5% 투자 비중을 대변하는 상위 10권 주식들에 대한 투자 현황은 아래 테이블과 같이 요약됩니다.

목록보기

인기글

메타플랫폼스 마이크로소프트 알파벳A(구글)

[분석] 23개 월가 큰손들의 투자 포트폴리오 대공개! 2분기 돈의 흐름은? – 2부

2025.08.27 11:00

헤이코 셈테크 뱅크오브몬트리올

엔비디아 예상 EPS 1 (25년 8월 4째주 주요 실적발표)

2025.08.25 12:25

알파벳A(구글) 레스토랑브랜드인터내셔널 팔란티어

[분석] 23개 월가 큰손들의 투자 포트폴리오 대공개! 2분기 돈의 흐름은? – 3부

2025.09.03 11:00

팝업닫기

AI가 알려주는 투자타이밍!

초이스스탁US 프리미엄

  • 1지금살까? 특허받은 전종목 매매신호
  • 2매수부터 매도까지! 종목추천
  • 3투자매력과 적정주가를 한눈에 종목진단
팝업닫기

AI가 알려주는 투자타이밍!

초이스스탁US 프리미엄

  • 1지금살까? 특허받은 전종목 매매신호
  • 2매수부터 매도까지! 종목추천
  • 3투자매력과 적정주가를 한눈에 종목진단

결제 처리중 입니다...

중복결제가 될 수 있으니 페이지를 새로고침 하거나 이동하지 마시고 잠시 기다려주세요.

구독취소 처리중 입니다...

취소 에러가 날 수 있으니 페이지를 새로 고침하거나 이동하지 마시고 잠시 기다려주세요.

카드변경 처리중 입니다...

카드변경 에러가 날 수 있으니 페이지를 새로 고침하거나 이동하지 마시고 잠시 기다려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