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S STOCK BRIEF]연준 연내 추가 금리인상 의지에 하락 마감
23.09/21 목록보기
뉴욕증시는 연방준비제도가 9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 정례회의에서 연내 추가 인상을 전망하면서 일제히 하락했습니다.

미 동부시간으로 20일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76.85포인트, 0.22% 하락한 3만 4,440.88로 거래를 마쳤습니다.

대형주 중심의 S&P500지수는 전장보다 41.75포인트, 0.94% 떨어진 4,402.20으로, 기술주 위주의 나스닥지수는 전장보다 209.06포인트, 1.53% 떨어진 1만 3,469.13으로 장을 마감했습니다.

연준의 9월 회의가 예상보다 매파적으로 나오면서 기술주를 중심으로 낙폭이 확대됐습니다.

연준은 전날부터 이틀간의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를 마친 뒤 기준 금리를 현 5.25∼5.50% 범위에서 유지할 것이라고 발표했습니다.

6월 동결 이후 3개월만이자 FOMC 회차로는 2회 만에 이뤄진 동결입니다. 이로써 한국(기준금리 3.50%)과 미국의 금리 차이도 최대 2.00%포인트를 유지했습니다.

연준은 성명에서 "최근 지표상 경제활동이 견고한 속도로 확장되어 왔고, 일자리 창출은 최근 몇 달간 둔화했지만 여전히 견조하고 실업률은 낮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며 "인플레이션은 여전히 높은 수준"이라고 현재 경제상황을 평가했습니다.

연준은 이어 "미국의 은행 시스템은 건전하고 회복력이 있다"고 전제한 뒤 "가계와 기업들을 위한 더 엄격한 신용 조건은 경제활동과 고용, 인플레이션에 영향을 줄 가능성이 크다"고 지적했습니다. 

그런 뒤 연준은 "FOMC는 최대의 고용과 장기적으로 2%의 물가상승률을 추구한다"며 "이런 목표들을 지지하기 위해 이같이 결정했다"고 기준 금리 동결 배경을 설명했습니다.

연준은 지난해 3월부터 올해 5월까지 10회 연속 금리를 인상한 뒤 6월엔 금리를 동결했고, 직전인 7월에는 다시 0.25% 포인트 올리며 기준금리를 2001년 이후 22년 만에 가장 높은 수준인 5.25∼5.50%로 설정했습니다.

하지만 연준은 당분간 긴축 기조를 유지할 것임을 내비쳤습니다.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은 이날 기자회견에서 "적절하다고 판단할 경우 우리는 금리를 추가로 올릴 준비가 돼 있다"며 "우리는 인플레이션이 하락해 정책 목표 수준으로 안정화됐다고 확신이 들 때까지 긴축적인 통화정책을 유지할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S&P500지수에서 기술, 통신, 소재 관련주의 낙폭이 두드러졌습니다. 마이크로소프트는 2.40%, 구글 알파벳은 3.12% 떨어졌습니다.

인텔은 재고소진 우려로 5%가까이 하락했으며 전날 나스닥에 상장한 인스타카트는 10%이상 떨어졌습니다.

반도체설계기업 Arm 역시 4%이상 하락해 지난주 공모가(51달러)에 근접했습니다. 이날 첫 거래에 나선 클라비요는 공모가(30달러)를 9.20% 웃도는 수준에 거래를 마쳤습니다.

핀터레스트는 내년부터 매출 성장이 가속화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면서 3%이상 상승했습니다.

국제 유가는 차익실현 매물이 출회되면서 하락 마감했습니다. 미 뉴욕상업거래소에서 10월 인도 서부텍사스산원유(WTI) 가격은 전 거래일보다 28센트(0.31%) 하락한 배럴당 91.20달러로 거래를 마쳤습니다. 

전날 지난해 11월 이후 최고치(종가 기준)를 기록한 유가는 이날 장중 배럴당 93.74달러까지 올랐다가 차익실현 매물이 나오면서 하락 전환했습니다.

 
목록보기
밸류라인

결제 처리중 입니다...

중복결제가 될 수 있으니 페이지를 새로고침 하거나 이동하지 마시고 잠시 기다려주세요.

구독취소 처리중 입니다...

취소 에러가 날 수 있으니 페이지를 새로 고침하거나 이동하지 마시고 잠시 기다려주세요.

카드변경 처리중 입니다...

카드변경 에러가 날 수 있으니 페이지를 새로 고침하거나 이동하지 마시고 잠시 기다려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