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소개]
이관우님은 캐나다 MBA 출신으로, 외환 브로커지와 사모펀드에서 애널리스트와 포트폴리오 매니저를 역임했습니다. 현재는 캐나다 정부기관의 금융 매니저로 재직 중이며, CFA와 FRM 자격을 보유한 북미 금융 전문가입니다.
이번 분석글에서는 미국 유명 투자 전문지 배런스 (Barron’s)가 선정한 2025년 총 22개의 AI 수혜 주식들에 대한 리뷰의 시간으로 준비했으며, 원문 링크를 아래와 같이 공유드립니다.
J.P. 모간 체이스 (
JPM), 블랙록 (
BLK)등 세계적 유명 투자 금융 기관에서 테크 주식 포트폴리오를 책임지는 유명 머니 매니저들로 구성된 이번 배런스 테크 주식 패널들은 다음의 총 22개 AI 테마주들에 대한 매수 (Long & Buy) 전략을 추천중입니다.
- 총 22개 주식들 중 18개 주식들은 현재 미국 증권거래소내 상장 거래되는 미국 주식들
- 나머지 4개 주식들은 일본 주식들 (닌텐도, 소프트뱅크 그룹)과 대만 주식들 (이메모리 테크놀로지, 하모닉 드라이브 시스템즈)이라는 점에서 상대적으로 투자 제한적
- 흥미로운 점은 AI 투자 키워드와 연동 거래되는 엔비디아 (NVDA)는 이번 배런스 패널들의 총 22개 AI 테마 주식 리스트에서 제외.
배런스 추천 18개 AI 테마 주식
지금부터 본격적으로
미국 증시내 상장 거래되는 배런스 추천 18개 AI 테마 주식들에 대해 간략히 살펴보겠으며, 순위는 투자 추천 매력도 순이 아닌 단순히 이번
배런스 기사에서 소개된 배열 순임을 먼저 강조드립니다.
(1) 인튜이트 (Intuit)
국내 투자자분들께는 다소 생소한 기업명이실 수 있겠으나, 북미 지역내 거주하는 투자자분들이시라면 해당 기업명에서 매우 친숙한 느낌을 받으실 거라 생각됩니다.
왜냐하면, 북미 중소 기업과 자영업 오너분들께서는 대부분 퀵북스 (QuickBooks) 라는 재무 & 회계 금융 소프트웨어를 사용할 것이며, 또한 연말 세금 공제 서류 준비를 위해 터보택스 (TurboTax) 라는 세금 정산 소프트웨어에 의존하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이처럼 북미 사업체들이 (특히, 스타트업에서부터 중소규모 사업체들) 연중무휴 크게 의존하는 유명 비즈니스 소프트웨어 (퀵북스, 터보택스 등) 개발 기업이 바로 인튜이트 (
INTU) 입니다.
이번 배런스 패널들의 INTU 주식 매수 추천에 대한 주장은 다음과 같이 요약됩니다.
- “AI 기술력 증진과 함께 과거 사람이 직접 작업하던 상당수의 반복적 허드렛일은 AI 에이전트 (AI Agent) 지능형 소프트웨어 시스템들이 대체할 것입니다. 문제는 아직까지 사람을 대체할만큼 완벽한 작업 정확도에 도달하는 기술력 구현에는 미치지 못했다는 점이죠. 그러나 기술개발과 함께 이들 AI 에어전트 작업 정확도는 나날이 향상될 것이며, 이는 인튜이트를 포함한 AI 기술력을 기반으로 한 비즈니스 소프트웨어 개발 기업들의 성장력에 큰 원동력을 제공할 것으로 종합 분석됩니다. 실제로 최근 자료에서 인튜이트는 자체 테스트 결과 일부 AI 에어전트 활용 영역에서 정확도를 +90% 이상 향상시켜낸 것으로 보도됩니다.”
(2) 허브스팟 (HubSpot)
방금 살펴본 인튜이트 (Intuit) 기업과 마찬가지로 앞으로 효율적 AI에이전트 기술력 향상으로 큰 AI 수혜주로 급 등할 기업으로 허브스팟 (
HUBS)을 추천중입니다.
HubSpot은 인바운드 마케팅 및 판매를 위한 소프트웨어 제품의 개발과 마케팅을 하는 회사로서, 관련 제품 및 서비스로는 소셜 미디어 마케팅, 콘텐츠 관리, 웹 분석 및 검색 엔진 최적화를 위한 툴을 제공합니다.
(3) 아틀라시안 (Atlassian)

인튜이트, 허브스팟을 포함, 이번 배런스 패널들이 공통적으로 추천하는 또 하나의 “AI 에어전트 기술력 향상으로 수혜를 맛볼 AI 기대 종목”은 유명 협업 소프트웨어 개발 기업, 아틀라시안 (
TEAM) 입니다.
소프트웨어 개발 이슈와 버그 추적 시스템을 제공하는 '지라', 웹에서 문서를 작성하고 관리하는 '컨플루언스', 개발 소스코드를 저장하고 버전을 관리하는 '비트버킷', 웹으로 할 일 목록을 생성, 관리하는 '트렐로' 서비스를 제공하는 아틀라시안은 기업 총 매출의 약 75~80%를 구독형 서비스로 창출하는 비즈니스 소프트웨어 업계 대표 선도 기업이며, 이와 같은 다수의 엔터프라이즈형 소프트웨어 패키지내 AI 에어전트 기술력을 향상시킴으로서 더 높은 고객유지율 (customer retention rate)과 반복적 매출 구조 (recurring revenues)를 구현할 것이라는 이번 배런스 기술주 패널들의 공통된 분석입니다.
(4) 스노우플레이크 (Snowflake)
스노우플레이크 (
SNOW)는 클라우드 기반의 데이터 웨어하우징 플랫폼 시장 대표 선도 기업으로서, 아마존 (
AMZN), 마이크로소프트 (
MSFT), 알파벳/구글 (
GOOGL) 등과 같이 대용량 및 다양한 유형의 데이터를 하나의 플랫폼에서 관리할 수 있도록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데이터 웨어하우징 (data-warehousing) 은 인터넷망을 활용해 데이터를 정제해 모으고 관리 및 활용할 수 있게 해주는 서비스를 의미합니다.)
이번 배런스 패널들의 분석은 “AI 기술력 구현을 위한 초기 작업은 먼저 튼튼한 AI 인프라와 AI 데이터를 안전하게 확보 및 유지할 수 있는 밑거름 작업을 준비하는 것입니다. AI 기술력을 적용하거나 AI 기술 지원에 필요한 클라우드형 데이터 웨어하우스 인프라 구축을 고려하면서 스노우플레이크 기업명을 생략할 수 는 없겠습니다.”라는 결론입니다.
참고로 스노우플레이크에 대한 8분 가량의 기업 개요 유튜브 컨텐츠를 다음과 같이 공유드립니다.
(5) 팔로알토네트웍스 (Palo Alto Networks)
팔로알토네트웍스 (
PANW) 기업은 보안 어플라이언스, 구독 및 지원을 기업, 정부 기관 및 서비스 공급자에게 판매하는 순수 플레이 사이버 보안 서비스 기업으로서, 제품 포트폴리오에는 방화벽 어플라이언스, 가상 방화벽, 엔드포인트 보호, 클라우드 보안 및 사이버 보안 분석 종합 서비스들이 포함됩니다.
AI 전환이 가속화되는 환경 속에서 급증하는 사이버 보안 수요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지난달 2025년 5월 13일 팔로알토네트웍스(Palo Alto Networks)는 AI 보안 차세대 플랫폼 '프리즈마 에어즈 (Prisma AIRS)'를 발표했습니다.
프리즈마 에어즈 (Prisma AIRS) 플랫폼은 AI 애플리케이션, AI형 에이전트 모델, 데이터 등 엔터프라이즈형 AI 생태계 전반에 걸쳐 강력한 사이버 보안을 제공하는 한편, 프리즈마 에어즈는 업계 최고 수준의 보안 역량을 기반으로 AI 생태계 전반을 보호하며, 기업이 인공지능 기술을 보다 안전하고 자신 있게 도입 및 활용 할 수 있도록 지원할 것입니다.
(6) 부킹 홀딩스 (Booking Holdings)
부킹 홀딩스 (
BKNG) 는 호텔 및 민박, 항공권, 렌터카, 레스토랑 예약, 크루즈 여행, 체험, 기타 휴가 패키지 예약 서비스 등을 제공하는 세계 최대의 온라인 여행사 (OTA: Online Travel Agency) 입니다.
Priceline.com, Booking.com, 아고다, 오픈테이블, Rentalcars.com 등 다수의 여행 & 레스토랑 & 레저 예약 브랜드 사이트를 운영하고 있으며, 카약 (Kayak)과 모몬도 (Momondo)의 전략적 인수를 계기로 여행 미디어로 확장중으로 종합 분석되며, 해당 서비스 플랫폼을 통해 진행되는 온라인 예약 관련 거래 수수료가 기업 수익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것으로 집계 분석됩니다.
배런스 패널의 분석은 “글로벌 온라인 여행사 업계 1위 부킹 홀딩스는 Priceline.com, Booking.com, 아고다, 오픈테이블, Kayak등등 다양한 여행 & 레저 관련 자회사 브랜드들을 보유함으로서 업계 높은 시장 점유율을 확보할 수 있었으나, 대형 기업이였기에 그동안은 자회사 브랜드 서비스를 활용한 효율적 교차 판매 전략 및 개인 맞춤형 여행 서비스 구현에 난항을 경험해왔습니다. 그러나 AI 기술력 도입은 앞으로 최적화된 맞춤형 서비스 활용을 가능케할 것입니다.”라는 설명입니다.
부킹홀딩스는 인공지능 (AI) 기술력을 활용하여 여행객의 취향을 파악하고 다양한 호텔 숙박 레스토랑 서비스를 추천하는 한편, AI 기반 개인화는 고객 충성도와 고객당 매출을 모두 향상시켜, 각 플랫폼당 총 여행 예약건수, 객실 숙박 예약일수, 총 지출액과 같은 지표의 지속적인 성장을 촉진할 것으로 기대된다는 점에서 “미래형 AI 테마주”로서의 기업 면모를 갖춘 것으로 분석됩니다.
(7) 인튜이티브서지컬 (Intuitive Surgical)
초이스스탁US가 제공하는 기업개요를 인용하자면, “인튜이티브 서지컬 (
ISRG) 은 다빈치 (da Vinci) 수술 시스템 및 관련 기구와 부속품을 설계, 제조 및 판매하는 전문의 의료 장비 기업입니다. 다빈치 수술 시스템은 수술시 필요한 외과 의사 콘솔, 내시경, 비전시스템, 가위 및 메스 등 수술용 도구 등으로 구성되며, 일반 수술, 부인과 수술, 비뇨기과 수술, 심장 흉부 및 두경부 수술 등 외과 수술에 사용됩니다. 다빈치 수술 시스템은 신체 외부에서 외과 의사의 자연스러운 손 움직임을 환자의 몸 안에서 상응하는 미세한 움직임으로 변형시킵니다. 현재 전세계 병원에 거의 5,000대의 다빈치 시스템을 배치했으며, 그 중 3,200개의 시설이 미국에 설치되어 있습니다.” 로 설명됩니다.
인튜이티브 서지컬은 AI 기술을 자사의 로봇 수술 시스템에 통합하여 수술의 정확도와 효율성을 높이는 데 주력하고 있습니다.
- AI 기반 수술 계획 및 시뮬레이션: AI 기술을 활용하여 수술 계획을 세우고, 수술 과정을 시뮬레이션하여 집도의에게 더 나은 정보를 제공합니다.
- 실시간 데이터 분석 및 피드백: 수술 중 발생하는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분석하여 집도의에게 피드백을 제공함으로써 수술 정확도를 향상시킵니다.
- 자동화 기능: AI 기술을 활용하여 로봇 수술 시스템의 일부 기능을 자동화하여 집도의의 부담을 줄이고, 수술 효율성을 높입니다.
최소 침습 로봇 다빈치 (da Vinci) 브랜드로 잘 알려진 인튜이티브 서지컬 (Intuitive Surgical) 은 지난 1995년 설립된 최소 침습 로봇 보조 수술 시스템 (minimally invasive surgical robotic systems) 분야의 글로벌 리더 기업로서, 특히 지난 2025년 4월 서울시와의 +150억원 투자 제휴라는 시장 이벤트를 통해 국내 투자자들에게 그 이름을 알린바 있겠습니다.
(8) 넷플릭스 (Netflix)
굳이 추가 설명이 필요없는 기업이겠죠?
글로벌 최대 비디오 스트리밍 서비스 플랫폼 기업, 넷플릭스 (
NFLX) 는 이미 스트리밍 업계 리더 기업으로서 경쟁력 높은 브랜드 파워 (글로벌 브랜드 랭킹 38위 및 브랜드 가치 +20 billion달러), 괄목할만한 기업 펀더멘털 실적 지표 (영업이익률 비교: 디즈니 +15% vs. 넷플릭스 +32%) 및 막대한 기업 몸집 (시가총액 종합 비교: 디즈니 $212 billion달러 vs. 넷플릭스 $515 billion달러) 으로 경쟁 기업들을 코너로 몰고 있습니다.
이제는 인공지능 기술력을 통한 기업 비용 절약 및 광고 수익 창출이라는 또 다른 블루 오션 사업 전략을 펼칠것으로 예측되는 한편, 특히 AI 기술력이 선사할 미래 광고 수익 창출 여력에 대한 긍정적 투자 청신호 (단순히 연매출 성장률이 아닌 이미 업계 넘사벽 수준의 수익성 지표를 누리는 넷플릭스에게 더 높은 광고 수익 모델형 기업 마진율을 선사할 것이라는 긍정적 투자 청신호)를 보내는 배런스 패널진 입니다.
일례로 최근 유명 뉴욕 MBA 마케팅 교수 스캇 갤러웨이 교수님께서 설명한 ‘넷플릭스 광고 수익 모델 향상 여력’을 인용하면 다음과 같겠습니다.
- 넷플릭스는 현재 2가지 버전의 서브스크립션 (Subscription: 구독) 서비스 모델을 소개중입니다.
- 하나는 넷플릭스 컨텐츠내 광고가 전혀 노출되지 않는 프리미엄 구독 서비스, 그리고 다른 하나는 컨텐츠내 광고가 삽입된 광고 구독 서비스입니다.
- 현재 넷플릭스의 글로벌 구독 회원 수는 +300,000,000명 이상 이며, 이들 중 약 1/3에 해당하는 +94,000,000 넷플릭스 회원들 (최근 ad-free 프리미엄 요금제에서 이 보다 저렴한 광고 구독 서비스로 변경한 저를 포함한 회원들)은 광고 구독 서비스에 가입중입니다.
- 넷플릭스 광고 매출 규모는 약 $1.4 billion달러로 집계, 이는 미디어 업계 주요 라이벌 기업들의 광고 매출 규모와는 비교도 안될만큼 형편없이 낮은 수준입니다. (주요 미디어 기업별 최근 광고 매출 현황: 디즈니 ($7.4 billion달러), 메타 플랫폼즈 ($160 billion달러), 유튜브 ($36 billion달러), 틱톡 ($18 billion 달러 등등)
- 현재 구독자 수 대비 넷플릭스가 창출하는 광고 매출 규모는 현저히 낮은 수준으로 집계 분석되며, 이처럼 under-monetized된 광고 사업부문은 앞으로 AI 기술력 구현을 통해 효율적으로 향상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이는 곧 AI 기술력이 뒷받침된 넷플릭스의 매력적 성장 잠재력으로 재해석할 수 있겠습니다.
- 위의 차트에서와 같이 넷플릿스는 현저히 높은 시청 시간 (Viewership = Share of viewing hours) 을 달성중임에도 광고 매출 현황 (Share of ad dollars)은 현저히 낮은 수준으로 집계되며, 앞으로 AI 기술력을 기반으로 한 높은 구독자 수 (+300,000,000명 이상)에 걸맞는 높은 광고 매출 성장력이 기대된다는 이번 배런스 패널들의 자체 분석입니다.
(9) 콴타 서비스 (Quanta Services)
콴타 서비스 (
PWR) 는 미국의 대표 인프라 솔루션 제공 기업으로서, 주식 티커 (PWR: POWER)에서 예측됨과 같이 전력 인프라 솔루션이 주력 사업입니다.
전력 인프라 솔루션 사업 부문이 전체 매출액의 70%를 차지하고, 천연가스와 석유 등의 파이프라인을 제공하는 지하 유틸리티 사업 부문이 나머지 30% 매출을 대변한 가운데 특히, 퀀타 서비스가 보유한 273개의 자회사와 협력을 통해 전력 인프라 시설의 디자인, 제작, 유지보수 등 대부분의 영역을 자체에서 소화할 수 있는 종합 인프라 비즈니스 능력을 갖춘 점이 자사의 대표적 경제적 해자 (economic moat) 투자 요소로 분류됩니다.
이번 배런스 패널들의 (
PWR) 매수 추천 의견은 다음과 같겠습니다.
- “지난 수십 년간 전력 수요가 거의 증가하지 않던 미국에서 AI 시장 활성화는 앞으로 전력 수요 급증에 대한 촉매 작용 역할을 제공할 것이며, 이는 전기전력 업계내 송배전 인프라 (transmission and distribution infrastructure) 분야의 선두 기업인 퀀타 서비스 (Quanta Services)에게는 매력적 시장 분위기를 이끌어낼 것으로 종합 분석됩니다.”
- [분석] 전기먹는 AI, 빅테크는 '핵'에 주목...핵심 수혜 종목 공개!
(10) 케이던스디자인시스템즈 (Cadence Design Systems)
초이스스탁US의 기업개요를 인용하면 다음과 같겠습니다.
- 케이던스 (CDNS)는 재사용 가능한 집적회로 (IC) 디자인 블록의 설계와 검증을 자동화하는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지적재산권 개발을 전문으로 하는 EDA (Electronic Design Automation: 반도체 설계 자동화) 회사입니다. 에뮬레이션, 하드웨어 프로토타이핑 등의 기능 검증 서비스를 제공하며, 정식 검증 플랫폼인 XcellerGold로 구성됩니다.
- 칩 설계, 검증, 테스트 기술 및 서비스를 위한 로직 디자인 제품과 디지털 IC 디자인 제품, 맞춤형 IC 설계 및 시뮬레이션 제품 등과 기술 지원, 교육, 유지 보수 등 제품 관련 서비스 또한 제공합니다. 본 회사는 주로 반도체 회사를 타겟하기 위해 집중해왔으나, 사물 인터넷, 인공지능, 자율 주행차, 클라우드 컴퓨팅 등의 발전에 따라 새로운 시스템 사용자들로의 전환을 바라보고 있습니다.
- 총매출은 미국(42%), 미주(1.9%), 중국(10.3%), 일본(7.6%), 아시아(19.7%), 유럽/중동/아프리카(18.5%)와 순으로 발생합니다. ECAD와 SDA 시스템즈의 합병으로 만들어진 케이던스는 1988년에 설립 되었으며, 캘리포니아주의 산 호세에 본사를 두고 있습니다.
AI 시장 활성화는 곧 AI형 반도체 칩 수요 급증으로 이어질 것이며, 이는 반도체 개발 프로세서의 가장 첫 단추를 장식하게 될 반도체 설계 자동화 (EDA: Electronic Design Automation) 소프트웨어 시장 성장력에 큰 힘을 실어줄 것으로 예측됩니다.
반도체 칩 사이즈는 점점 작아지는 가운데 어느날 갑자기 초밀러 소형 반도체 칩 디자인을 구현할 수 있는 EDA 소프트웨어가 뚝딱 등장하는 것이 아니라 오랜 기간 반도체 기술력 발전 과정에서 쌓이는 기술 노하우가 축적된 결과물이 차세대 반도체를 탄생시킬 수 있는 EDA 소프트웨어 개발을 가능케할 것입니다.
글로벌 EDA 소프트웨어 시장은 3대 천왕 기업들이 장악중이겠으니, 이들은 시놉시스 (
SNPS), 케이던스 디자인 시스템즈 (
CDNS), 지멘스 EDA (Siemens EDA) 로 분류됩니다.
이들 3대 천왕 기업들은 글로벌 EDA 소프트웨어 전체 시장의 +76% 점유율을 장악한 가운데 마켓리더 시놉시스는 +33.5% 마켓 쉐어를, 케이던스는 +31.5%를, 지멘스 EDA는 +11% 시장 점유율을 각각 보유중입니다.
또한 실질적으로 EDA 업계내 듀오폴리 (Duopoly) 로 재분류되는 SNPS와 CDNS는 오랜 기업 역사를 통해 축적된 반도체 EDA & IP 지적재산권을 기반으로 AMD, 엔비디아, TSMC, 테슬라, 마이크로소프트등 굴지의 글로벌 테크 기업들과의 긴밀한 사업관계를 구축해왔으며, 이러한 SNPS와 CDNS 기술력에 대한 고객 기업들로서의 높은 신뢰성은 곧 EDA 업계내 높은 switching cost (손쉽게 다른 라이벌 경쟁 기업들로 갈아타기가 힘들것)와 높은 진입 장벽 (barriers to entry) 라는 막강한 경제적 해자 요소를 보장할 것으로 예측됩니다.
(11) 케이엘에이 (KLA)
케이엘에이 (
KLAC) 는 반도체 제조 공정 관련 결함 검사 및 검토 시스템, 계측 솔루션, 모니터링 제품, 리소그래피 소프트웨어 등의 제품을 생산합니다.
KLA는 이번 배런스 패널들이 가장 흥미로운 분야 중 하나로 생각하는 반도체 공정 제어, 광학 검사, 그리고 소재 분야에서 반도체 자본 장비를 공급하는 기업입니다. 이 분야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지속적으로 성장해 왔으며, KLA는 업계 시장 점유율을 높여 왔습니다. 앞으로도 이러한 추세는 AI 시장 활성화와 함께 지속될 것으로 예측되며, KLA는 반도체 자본 장비 업계에서 가장 높은 매출 총이익률을 기록할 것이라는 배런스 패널들의 설명입니다.
(12) 메르카도리브레 (MercadoLibre)
이번 배런스 패널들이 AI 테마 성장주로 지목한 메르카도리브레는 남미의 아마존이라는 닉네임을 가진 라틴 아메리카 지역 최대 이커머스 & 전자상거래 서비스 기업으로서, 메르카도리브레 기업 분석은 이미 초이스스탁US 분석 컨텐츠를 통해 공유드린바 있겠습니다.
(13) 알리바바그룹 (Alibaba Group)
앞서 소개드린 메르카도리브레 (
MELI)가 남미 이커머스 시장을 주도한다면, 그리고 아마존 (
AMZN)이 북미 이커머스 시장을 주도한다면, 알리바바그룹 (
BABA)은 중국 이커머스 시장을 주도하는 업계 넘버1 전자상거래 브랜드 기업입니다.
초이스스탁US 의 기업개요를 인용하면, 다음과 같겠습니다.
- “알리바바그룹 (BABA)은 중국의 온라인 쇼핑몰 알리바바 닷컴을 운영하는 기업으로, 타오바오(Taobao), 티몰(Tmall) 등의 유명 쇼핑몰 또한 운영 중이며, 2019 GMV 기준 세계 최대 온라인 및 모바일 상거래 기업입니다. 자회사를 통해 인터넷 인프라, 전자상거래, 온라인 금융 및 인터넷 콘텐츠 서비스를 제공하며, 사업 부문은 핵심 커머스, 클라우드 컴퓨팅, 디지털 미디어 및 엔터테인먼트 등으로 구분됩니다. 타오바오와 티몰등 중국에서 방문 횟수가 가장 높은 온라인 마켓을 운영하고 있으며, 알리바바의 중국 시장이 2019년 회계연도 매출의 68%를 차지했습니다. 타오바오는 광고 및 기타 상거래 데이터 서비스를 통해, 티몰은 수수료에서 수익을 창출하는 방식으로 운영됩니다. 이 외에도 공동 구매 사이트인 주화산 (Juhuasuan.com) 과 온라인 소매 서비스를 제공하는 알리 익스프레스 (Aliexpress.com)를 운영중입니다. 추가 수익원으로는 국제 소매/도매 시장 (7%), 클라우드 컴퓨팅 (7%), 디지털 미디어 및 엔터테인먼트 플랫폼 (6%), 차이냐오 물류 서비스 (4%), 혁신 이니셔티브/기타 (1%) 등이 있습니다. 전자상거래 서비스에서 매출의 대부분 (85.5%)이 발생합니다.”
지난 2025년 3월에는 전 세계 인구의 90%가 사용하는 언어를 포함하는 오픈 소스 대형언어모델 (LLM) ‘바벨 (Babel)’을 출시했으며, 지난 2025년 4월에는 AI 모델 '큐원 (Qwen)' 시리즈를 공개하면서, AI 에이전트 사업 확장에도 박차를 가하고 있습니다.
또한, 지난 2025년 3월 애플은 중국내 아이폰에서 AI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알리바바 그룹의 AI 기술력을 선택한 것으로 전해지는 한편, 지난 2025년 5월에는 SAP와의 협력을 통해 클라우드 인프라와 AI 기술을 결합하여 신흥 시장 공략을 강화할 것이라 공식 발표했습니다.
이처럼 알리바바 그룹은 인공지능 (AI) 분야에서 활발한 활동을 추진중이며, 이는 이번 배런스 패널들이 알리바바 그룹 (
BABA) 을 AI 테마 종목으로 선정한 이유들과 일맥상통한 것으로 분석됩니다.
(14) 사이버아크 소프트웨어 (CyberArk Software)
사이버아크 소프트웨어 (
CYBR) 는 지난 1996년 이스라엘에서 설립된 사이버 보안 회사로 디지털 신분 인증, 보안 솔루션을 제공합니다. 로그인시 다중인증(MFA), 단일 로그인(SSO) 서비스를 제공하며, 사용자가 웹사이트를 이용하는 동안 통신 암호화, 세션만료 관리, 비정상 접근 탐지 등 인터넷 서비스에 필수 기능을 제공합니다.
특히, 권한 접근 관리 (Privileged Access Management) 기술을 통해 은행, 금융회사,기업, 정부기관의 관리자급 접근 권한에 대한 계정 보호, 접근 통제, 감시와 기록 등의 서비스를 주력으로 하고 있습니다.
지난 2025년 4월, 사이버아크는 인공지능 (AI) 에이전트에서 아이덴티티 우선 보안 구현이 가능한 “사이버아크 시큐어AI에이전트”를 출시했습니다. AI에이전트는 복잡한 작업 수행을 위해 민감정보에 액세스할 수 있으며 다른 에이전트와 자율적으로 소통하는 등 중요 인프라와 상호작용합니다. 문제는 AI에이전트가 스스로 행동을 수정하는 과정에서 새로운 정체성 기반 위험이 발생할 수 있다는 점입니다. 사이버아크 시큐어AI에이전트는 아이덴티티 보안을 AI에이전트로 확대해 위험을 완화할 수 있도록 돕는 솔루션이다.
(15) 엘라스틱 (Elastic)
엘라스틱 (
ESTC)은 지난 2012년 설립된 소프트웨어 기업으로, “기업용 데이터 검색 및 분석”을 위한 혁신적인 기술을 제공합니다.
Elastic (엘라스틱)의 주력 제품인 “엘라스틱서치 (Elasticsearch)”는 분산형 검색 및 분석 엔진으로, 대규모 데이터셋에서도 빠르고 정밀한 검색 및 분석을 가능하게 지원하며, 최근에는 LLM과 같은 AI 기술력 발전에 발맞춰, 기존처럼 단순히 키워드를 검색하는 것을 넘어 “벡터 검색 (Vector search)”과 같은 자연어 처리 기술을 활용해 데이터의 의미를 파악하며 자료를 검색하는 기술 또한 제공합니다.
엘라스틱 (Elastic)은 벡터 검색 기능을 활용해 “RAG (Retrieval Augmented Generation: LLM과 같은 AI 인공지능 모델이 외부 데이터 소스를 활용하여 더 정확하고 신뢰성 있는 답변을 생성하도록 설계된 시스템) 시스템” 구축에도 사용될 수 있는 기술적 기반을 제공합니다.
(16) 레딧 (Reddit)
지난 2024년부터 미국의 최대 온라인 커뮤니티 레딧 (
RDDT) 의 사용자 게시글이 오픈AI의 인공지능 (AI) 학습 데이터로 사용되기 시작하면서 현재 글로벌 AI열풍속 레딧 커뮤니티의 사용자 게시글은 AI 학습 데이터로 인기를 얻는 업계 상황입니다.
흥미로운 점은 오늘날 AI 열풍을 주도하는 챗GPT 개발 기업 오픈AI의 공동 설립자이자 CEO 샘 알트만은 지금으로부터 +11년전이였던 지난 2014년 이미 레딧 기업에 대한 막대한 투자 전략을 추진, 현재 레딧 최대 주주로 군림중이라는 점입니다.
그리고 이러한 오픈AI와 레딧 기업 관계는 앞으로 레딧을 AI열풍 대표 선도 기업으로 성장시키는데 중추적 역할을 제공할 것이라는 시장의 분석입니다.
(17) 아스테라 랩스 (Astera Labs)
아스테라 랩스 (
ALAB)는 클라우드 및 AI 인프라용 반도체 기반 연결 솔루션을 설계, 제조 및 판매하며, 자사의 Intelligent Connectivity Platform은 데이터, 네트워크 및 메모리 연결 제품으로 구성된 포트폴리오로, 고객이 규모에 맞춰 고성능 클라우드 및 AI 인프라를 배치하고 운영할 수 있도록 통합된 소프트웨어 정의 아키텍처에 기반합니다.
아스테라 랩스는 데이터센터 내에서 컴퓨팅 자원 간의 효율적인 통신을 지원하는 제품을 개발하여 AI와 클라우드용 서비스의 성능을 향상시키는데 주력중이며, 엔비디아, AMD, 인텔, 아마존과 같은 굴지의 글로벌 테크 기업들을 주요 고객으로 확보합니다.
이들 고객사는 AI 칩셋과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의 선두주자로, 아스테라 랩스와의 협력을 통해 데이터센터 성능을 극대화하는 한편, 이러한 협업은 제품의 상호 운용성과 최적화된 성능을 지속적으로 개선하는데 크게 기여중이겠으니, 아스테라 랩스는 이를 통해 데이터센터 인프라와 AI, 클라우드용 서비스의 핵심 기술 파트너로 자리매김하고 있겠습니다.
(18) 로블록스 (Roblox)
지난 2004년 설립된 로블록스 (
RBLX)는 3D 디지털 세계를 탐색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인 로블록스 클라이언트와 개발자 및 크리에이터가 3D 체험 및 컨텐츠를 제작할 수 있는 로블록스 스튜디오를 제공하는 온라인 종합 엔터테인먼트 게임 플랫폼 개발 기업입니다.
지난 2025년 3월 로블록스는 3D 그래픽 생성 인공지능 (AI) 모델 ‘큐브 3D(Cube 3D)’를 공개, 이 도구는 개발자는 물론 사용자들도 텍스트 입력만으로 게임 속 3D 그래픽을 손쉽게 제작할 수 있도록 돕는 것으로, 사용자 저변 확대에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시장의 주목을 받았습니다.
또한, 배런스 패널들은 로블록스의 매출 신장 및 수익성 지표 향상 여력에 대한 낙관론을 다음과 같이 설명합니다.
- “로블록스는 1시간당 약 $0.06 달러 수익을 창출합니다. 모바일 게임 컨텐츠는 시간당 평균 $0.10 달러 수익을 창출합니다. PC 게임 컨텐츠는 시간당 평균 $0.50 달러 수익을 창출하며, 일부 유명 게임 타이틀의 경우에는 시간당 평균 $1.00 달러 수익을 창출합니다. 이는 바꿔보면 로블록스 게임 컨텐츠의 미래 매출 성장력과 수익성 지표 향상 여력은 충분히 매력적으로 재해석됩니다. 만일 로블록스가 일부 유명 모바일 게임 컨텐츠 수준에 버금갈만큼 성공한다면 이는 현 수준에서 최소 시간당 +60~70% 수익성 지표 향상을 이끌어낼 것으로 기대되며, 최근 기업 총력을 쏟아붓는 AI 어플리케이션은 로블록스 기업 퀀텀 성장력에 중추적 역할을 제공할 것으로 예측됩니다.”
초이스스탁US 분석툴
(1) 스마트스코어
다음은 초이스스탁US가 제공하는 스마트스코어 진단 페이지를 캡쳐한 것으로, 인튜이트 (
INTU) 투자 종목의 현재 스마트스코어는 +86점이라는 높은 점수에 평가받는 한편, 미래 성장성을 제외한 나머지 4가지 평가 항목들에서 매우 양호한 점수를 부여받고 있겠습니다.
아래 테이블은 이번 시간에 소개된 총 18개 추천 주식들에 대한 초이스스탁US 투자 커뮤니티내 관심도와 스마트스코어 현황을 요약한 투자 자료입니다.
- 초이스스탁US 투자 커뮤니티에서 가장 높은 관심을 받는 기업은 +1,400명으로부터 관심을 받는 넷플릭스 (NFLX) 기업이며, 이외에도 알라바바 그룹 (BABA), 스노우플레이크 (SNOW), 로블록스 (RBLX)가 높은 관심을 집중받는 것으로 집계됩니다.
- 스마트스코어 총점에서는 인튜이트 (INTU), 인튜이티브서비컬 (ISRG), 넷플릭스 (NFLX), 케이던스디자인시스템즈 (CDNS), 메르카도리브레 (MELI) 등이 +80점이상의 높은 스코어를 기록중이며, 이들 종목은 사업독점력 스코어에서 큰 두각을 나타낸다는 점에서 주력 업계내 높은 브랜드 파워를 유추해볼 수 있겠습니다.
- 참고로 인튜이트 (Intuit: INTU) 종목은 2025년 1분기 13F 보고서 분석에서도 바이킹 글로벌, 베일리기포드 등등 유명 머니 매니저들이 매수를 선호했던 주식으로서 최근 주가 아웃퍼폼에 대한 일부 투자 실마리를 찾아볼 수 있겠습니다.
- [분석] 25개 월가 큰손들의 2025 신규 투자 족보 공개! 1분기 판도는? – 3부
(2) 밸류에이션 밴드차트
다음은 인튜이트 (
INTU)에 대한 밸류에이션 분석 페이지를 캡쳐한 것으로, 최근 주가 아웃퍼폼에 힘입어서 현재가 ($762.97달러)는 적정가 ($701 달러) 밸류에이션을 능가한 것으로 분석됩니다.
다음 테이블은 총 18개 AI 관심주들별 실제 주가 (2025년 6월 16일 기준)와 초이스스탁US 적정가를 비교한 테이블로서, 현재 저평가 받는 HUBS, TEAM, BABA, ESTC 기업들이 눈에 띕니다.
- # of 저평가주: 4개 (HUBS, TEAM, BABA, ESTC)
- # of 적정가: 8개 (INTU, BKNG, ISRG, NFLX, PWR, CDNS, MELI, CYBR)
- # of 고평가/매우 고평가: 6개 (SNOW, PANW, KLAC, RDDT, ALAB, RBLX)
(3) 원스톱진단
결론적으로 이번 시간에 유명 투자 경제지, 배런스 (Barron’s) 패널들이 공통적으로 주목했던 AI 수혜주 종목들은 다음과 같이 정리됩니다.
- 스노우플레이크 (Snowflake: SNOW)
- 인튜이트 (Intuit: INTU)
- 넷플릭스 (Netflix: NFLX)
- 허브스팟 (HubSpot: HUBS)
- 아틀라시안 (Atlassian: TEAM)
- 알리바바 그룹 (Alibaba Group: BABA)
- 소프트뱅크 그룹 (SoftBank Group)
- 케이던스 디자인 시스템즈 (Cadence Design Systems: CDNS)
- 메르카도 리브레 (Mercado Libre: MEL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