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플, 저축금리 평균보다 10배 높은 저축계좌 출시…은행 예금이탈 위기오나
김미혜23.04/18 목록보기


article box
애플 로고. 사진=로이터

애플(AAPL)이 17일(현지시간) 본격적인 은행 사업에 뛰어들었다.

애플은 이날 월스트리트 터줏대감인 골드만삭스(GS)와 손잡고 고금리 저축상품을 내놨다.

애플은 시중 저축금리 평균보다 10배 높은 연 4.15% 금리의 저축계정 서비스를 미국에서 출범한다고발표했다.

애플의 핀텍 사업이 본격적으로 시동을 거는 가운데 은행위기 이후 예금이탈로 고전하는 은행들이 더 큰 어려움에 직면하게 됐다.

업계 최고 수준 금리

야후파이낸스에 따르면 연 4.15% 금리는 골드만의 마커스 저축계정 금리보다 조금 높고, 뱅크레이트가집계하는 저축계정 고금리 상품 중에서는 하단에 위치하는 수준의 금리다.

애플 저축계정에는 애플 카드의 ‘데일리 캐시’ 리워드도 자동으로 입금된다. 데일리 캐시는 애플 카드를 사용할 때 최대 3%까지 제공되는 리워드이다.

또 저축계정은 애플 월렛과 직접 연결된다.

저축계정에 수수료는 붙지 않고, 최소 예금 밸런스 규정도 없다. 최대 한도만 25만달러로 정해졌다.

미 은행들은 대개 이자를 지급하는 저축계정의 경우 계좌 예금 규모가 일정 한도를 밑돌면 수수료를 물린다.

애플페이, 출범이후 매년 4배 이상 성장

스마트폰 아이폰으로 유명한 애플은 그동안 강력한 자체 생태계를 기반으로 하는 서비스 부문 강화에 드라이브를 걸어왔다.

애플 서비스 강화의 핵심 가운데 하나는 바로 핀텍이다.

애플의 지급결제 서비스는 이렇게 성장하는 서비스 부문의 일환으로 2014년 ‘애플 페이’가 출범한 이후 연간 4배가 넘는 폭발적인 성장을 지속했다.

애플 뮤직, 피트니스, 뉴스 등이 있지만 가장 돈이 되는 사업은 역시 돈을 만지는 핀텍 사업이다.

애플도 자사의 지급결제 서비스 부문이 전체 서비스 부문 성장의 핵심 동력이라고 밝혀왔다.

지난 2월지난해 4분기 실적 발표에서 애플 최고재무책임자(CFO) 루가매스트리는 페이먼스 서비스가 “출범 이후 줄곧 신기록을 지속해왔다”고강조한 바 있다.

4위 지급결제 서비스

애플의 애플페이는 가파른 성장세 속에 이제 업계 상위권으로 발돋움했다.

스태티스타가 지난해 응답자 4239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에서 애플페이는 지난해 온라인 지급결제 수단에서 4번째로 많이 사용된 페이 앱이었다.

지급결제 서비스 시장을 개척한 전통의 명가 페이팔, 또 페이팔 자회사인 벤모가 여전히 압도적인 시장 점유율을 기록해 전체 지급결제 시장의 82%를 장악한 것으로 나타났지만 애플 역시 시장을 빠르게 넓혀 28%를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애플은 강력한 자체 생태계를 갖춘 업체로 아이폰, 아이패드 등 애플페이를 사용할 수 있는 기기가 20억개 넘게 퍼져있다는점이 향후 강력한 성장 강점이다.

한편 애플은 지난달 선구매후지급(BNPL) 시장에도 진출했다. ‘애플 페이 레이터’ 서비스를 출범했다.

애플 사용자들은 아이폰과 아이패드의 애플 월렛을 통해 애플페이로 재화나 서비스를 구입하고 나면 애플 페이 레이터 서비스를 통해 이자나 수수료 없이 6주에걸쳐 대금을 네 차례에 나눠 갚을 수 있다.

장 중반까지 하락세를 보였던 애플과 골드만 주가는 상승반전에 성공했다.

애플은 0.02달러(0.01%) 오른 165.23달러로 강보합 마감했고, 골드만은 2.76달러(0.82%) 오른 339.68달러로 올라섰다.



김미혜 글로벌이코노믹 해외통신원 LONGVIEW@g-enews.com

<저작권자 ⓒ 글로벌이코노믹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목록보기
밸류라인

결제 처리중 입니다...

중복결제가 될 수 있으니 페이지를 새로고침 하거나 이동하지 마시고 잠시 기다려주세요.

구독취소 처리중 입니다...

취소 에러가 날 수 있으니 페이지를 새로 고침하거나 이동하지 마시고 잠시 기다려주세요.

카드변경 처리중 입니다...

카드변경 에러가 날 수 있으니 페이지를 새로 고침하거나 이동하지 마시고 잠시 기다려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