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Y 인사이트] 에버코어 "엔비디아, 애플 제치고 곧 시총 1위 등극" 전망하는 이유
국기연23.06/21 목록보기
생성형 AI 확산 과정에서 시장 지배자와 수혜자로 남을 것으로 분석

article box
젠슨 황 엔비디아 최고경영자(CEO). 사진=로이터

글로벌 투자은행 에버코어(Evercore) ISI는 생성형 인공지능(AI)이 지금은 빙산의 일각일 뿐이라며 엔비디아(NVDA)가 향후 몇 년 내에 애플(AAPL)을 넘어 세계 시총 1위 기업으로 등극할 것으로 전망했다. AI 최대 수혜 주로 꼽히는 엔비디아는 지난 13일 종가 기준으로 시가총액 1조 달러(약 1288 조원)를 넘어섰다. 엔비디아는 지난달 30일 장중에 419달러까지 오르며 반도체 기업 중 최초로 시총 1조 달러를 돌파했으나 종가 기준으로는 시총 1조 달러 달성에 필요한 404.86달러에 미치지 못했었다. 엔비디아 주가는 올해 194%, 최근 한 달 동안 37%가량 폭등했다고 미 경제 전문지 배런스가 전했다.

에버코어 ISI는 이날 고객에게 보낸 투자 메모에서 “생성형 AI가 앞으로 계속 확산할 것이고, 더욱 많은 서버에서 사용될 것”이라며 “향후 몇 년 내에 엔비디아가 세계 최고 시총 기업이 되는 것은 놀라울 일이 아니다”고 밝혔다. 에버코어는 엔비디아 목표 주가를 기존 500 달러에서 550 달러로 올렸다. 이 투자은행은 엔비디아가 향후 인공지능 혁명 전개 과정에서 변함없는 지배자와 최대 수혜자로 남아 있으리라 전망했다.

미국에서 시총 1조 달러를 넘은 적이 있는 기업은 엔비디아를 포함해 7곳에 불과하다. 현재 시총 1조 달러 이상인 미국 기업은 애플·마이크로소프트·알파벳(구글 모회사)·아마존 등이다. 페이스북 모회사 메타플랫폼이 2021년 6월, 전기차 회사 테슬라가 2021년 10월 각각 1조 달러 선을 넘었다가 지금은 그 밑으로 밀려났다.

엔비디아의 고성능 그래픽처리장치(GPU) 제품은 1993년 발표 당시에는 게임용으로 인식됐으나, 가상화폐 채굴과 AI 활용까지 그 폭을 크게 넓히고 있다. 엔비디아는 세계 시장에서 GPU의 90% 이상을 공급하고 있다.

미국의 반도체 기업 AMD는 13일 AI용 ‘슈퍼 칩’(superchip)을 공개하면서 엔비디아 아성에 도전장을 냈다. 페이스북 모기업 메타는 AMD의 CPU ‘베르가모’(Bergamo)를 사용하기로 했다.

생성형 AI인 챗 GPT 등은 GPU 없이는 구동할 수 없다. 오픈AI는 채팅 GPT 학습에 1만 개가 넘는 엔비디아의 ‘A100’ GPU를 사용했다.

대규모 GPU 분야에서 엔비디아의 뚜렷한 경쟁자가 나타나지 않은 상태지만 인텔과 세레브라스 시스템스 (Cerebras Systems), 삼바노바 (SambaNova) 등 스타트업이 경쟁 제품을 출시하고 있다. 현재 외부 개발자로부터 맞춤형 칩을 공급받고 있는 구글 모기업 알파벳과 아마존 클라우드 유닛 등이 엔비디아에 도전할 계획이다.



국기연 글로벌이코노믹 워싱턴 특파원 kuk@g-enews.com

<저작권자 ⓒ 글로벌이코노믹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목록보기
밸류라인

결제 처리중 입니다...

중복결제가 될 수 있으니 페이지를 새로고침 하거나 이동하지 마시고 잠시 기다려주세요.

구독취소 처리중 입니다...

취소 에러가 날 수 있으니 페이지를 새로 고침하거나 이동하지 마시고 잠시 기다려주세요.

카드변경 처리중 입니다...

카드변경 에러가 날 수 있으니 페이지를 새로 고침하거나 이동하지 마시고 잠시 기다려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