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신 AI 칩 ‘H200’ 출시에도 ‘독점’ 지위 위태
H200칩 8개를 탑재한 엔비디아의 AI 컴퓨팅 서버 'HGX H200'의 모습. 사진=엔비디아
엔비디아(NVDA)가 ‘인공지능(AI) 반도체 선도기업’의 자리를 수성하기 위한 칼을 빼 들었다. 13일(이하 현지시간) 발표한 신형 AI 칩 ‘H200’이 그 주인공이다.
엔비디아에 따르면 신형 H200 GPU는 기존 H100 모델보다 대규모 언어 모델(LLM) 처리 속도가 최대 2배 더 빠르다. 엔비디아는 이 칩을 내년 2분기부터 고객들에게 공급할 예정이다. 하지만 2024년은 AI 시장에서 엔비디아 ‘독점’ 체제가 유지되기 어려울 전망이다. 다수의 브랜드가 경쟁하는 AI 반도체의 ‘군웅할거’ 시대가 열릴 전망이기 때문이다.
엔비디아가 올해 AI 반도체 1위 기업으로 떠오른 이유는 ‘대안’이 없었기 때문이다. 하지만 최근들어 경쟁사들도 각자의 AI 칩을 선보이기 시작했다. H100의 최대 맞수로 꼽히는 AMD의 ‘MI300’ 시리즈는 이미 시장에 공급되고 있고, 인텔 역시 H100을 앞설 것으로 예상되는 ‘가우디3’를 내년 상반기 출시할 예정이다.
지난 15일에는 마이크로소프트(MS)도 자체 개발한 ‘애저 마이아 AI 가속기(Azure Maia AI Accelerator)’를 공개했다. 이 칩은 내년 초부터 MS의 데이터센터에 도입될 예정이다. 벌써부터 H200의 경쟁자가 즐비한 상황이다.
현재 AI 기술의 특성 또한 엔비디아의 독점을 어렵게 만든다. ‘생성형 AI’의 핵심인 LLM의 학습은 엔비디아 AI 칩만 할 수 있는 게 아니다. 회사의 규모나 예산, AI 반도체의 수급 상황, 구상하는 AI 모델의 특성 등에 따라 얼마든지 경쟁사 제품을 선택할 수 있다. 실제로 국내 기업 네이버도 엔비디아 AI 칩만 사용하다가 최근 인텔 제품으로 신규 AI 서버를 구축해 업계의 화제가 되기도 했다.
또한, LLM을 빠르고 효과적으로 훈련하려면 AI 서버를 최대한 많이 동원하는 것이 유리하다. 비슷한 비용으로 더 큰 규모의 AI 서버를 구축할 수 있다면 굳이 엔비디아 AI 칩만 고집할 이유가 없다.
이미 MS, 아마존, 구글 등의 클라우드 기업들은 엔비디아뿐 아니라 AMD 등 경쟁사 제품과 자체 개발 AI 칩까지 동원하며 다양한 종류의 AI 데이터센터를 동시다발적으로 구축하고 있다.
경제 전문지 배런스는 “MS의 마이아 칩은 LLM 교육 및 추론 등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이는 엔비디아 칩을 대체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라며 “이는 MS가 엔비디아로부터 전면적인 전환을 고려한다는 의미는 아니지만, 자체 AI 칩을 보유하면 MS가 더 강력한 협상 위치를 확보하게 될 것이다”라고 지적했다.
이쯤 되면 AI 칩의 ‘성능’뿐 아니라 안정적인 공급 능력과 가격도 중요해진다.
올해 엔비디아 AI 칩은 수요가 급증하며 극심한 품귀현상을 빚었다. H100의 리드타임(제품을 주문하고 받기까지 걸리는 시간)은 1년까지 늘어났고, 가격도 공급가인 개당 약 2만 5000달러에서 약 4만 달러 이상으로 뛰었다. 네이버가 엔비디아 대신 인텔을 선택한 이유도 물량 부족+가격 상승 때문이다.
엔비디아 AI 칩을 제조하는 대만 TSMC가 생산량을 늘려도 지금의 밀린 수요를 모두 감당할 수 있을지는 의문이다. 경쟁사들은 이미 그 틈을 파고들어 점유율을 높이고 있다.
경쟁시장으로 바뀌면 엔비디아도 올해와 같은 배짱 장사를 하기가 어렵다. H100보다 2배의 성능을 내지만, 제조원가도 그만큼 비싼 H200을 그대로 2배 가격으로 판매할 수는 없다. 이는 장기적으로 엔비디아의 매출과 순이익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물론, 엔비디아가 내년에도 AI 칩 1위 자리를 유지할 것은 분명하다. 다만 경쟁이 심화함에 따라 점유율은 올해보다 감소하고, 올해처럼 급격한 매출 및 순익 상승을 기대하기는 어려울 전망이다.
최용석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rpch@g-enews.com
<저작권자 ⓒ 글로벌이코노믹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1. [기간결제]유료서비스가 1개월(결제 기준)을 초과하여 지속되는 기간결제의 경우 계약 경과일에 따라 환불 금액이 달라집니다. ∙ 결제일로부터 7일 이내 해지 요청 시, 결제금액에서 이용일수를 차감한 금액을 환불합니다. ∙ 결제일로부터 7일 초과 해지 요청 시, 결제금액에서 이용일수와 환불수수료(서비스 결제금액의 10%)를 차감한 금액을 환불합니다. 2. [정기결제]1개월 단위의 정기결제(월간플랜)의 경우 계약 경과일에 따라 환불 금액이 달라집니다. ∙ 결제일로부터 7일 이내 해지 요청 시, 결제금액에서 이용일수를 차감한 금액을 환불합니다. ∙ 결제일로부터 7일 초과 해지 요청 시, 결제금액에서 이용일수와 환불수수료(서비스 결제금액의 10%)를 차감한 금액을 환불합니다. 3. [연간정기결제] 1년 단위의 정기결제(연간플랜)의 경우 계약 경과일에 따라 환불 금액이 달라집니다. ∙ 결제일로부터 3일 이내 해지 요청 시, 결제금액 전액을 환불합니다. ∙ 결제일로부터 90일 이내 해지 요청 시, 결제금액에서 이용일수를 차감한 금액의 70%에 해당하는 금액을 환불합니다. ∙ 결제일로부터 90일을 초과하여 해지 요청 시, 결제금액에서 이용일수를 차감한 금액의 30%에 해당하는 금액을 환불합니다.
경쟁사는 동일 업종 내 기업을 시가총액 규모로 그룹을 나누어(Mega, Large, Mid, Small, Micro, Nano) 동일 그룹에 속한 기업을 표시하고 있습니다.
스마트 스코어는 우량주 발굴을 위한 최적의 솔루션입니다.
20년 이상 축적된 방대한 금융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22개 핵심 요인(Factor)을 심층 분석하여 기업의 성장성, 수익성, 안전성, 독점력, 현금창출력을 종합적으로 평가합니다.
높은 스마트스코어는 장기적 투자 가치가 뛰어난 우량주를 의미하며, 투자자에게 과학적이고 객관적인 투자 의사결정 기준을 제공합니다.
성공적인 투자를 위해서는 스마트스코어 분석 후 당사의 체계적인 밸류에이션 및 수급분석 도구를 함께 활용하시기 바랍니다.
특히 투자 경험이 적으신 분들은 종목별 AI 매매신호 서비스를 통해 최적의 매매 타이밍을 포착하실 수 있어 더욱 안정적인 투자가 가능합니다.
이동평균선은 주가의 지지선과 저항선의 역할을 합니다.
단기 이동평균선이 장기 이동평균선을 상향 돌파 (골든크로스)하면 매수 시점, 하향 돌파(데드크로스)하면 매도 시점으로 판단합니다.
예를 들어 20일 이평선이 60일선을 상향 돌파하면 매수,하향 돌파하면 매도를 검토합니다.
초이스스탁의 이동평균선은 최근 주가 변동에 가중치를 두는 지수이동평균(EMA)을 적용해 현재 시장 동향을 더 잘 반영하며, 단순이동평균에 비해 추세 전환을 신속하게 포착할 수 있습니다.
주가 및 EPS(주당순이익) 차트는 기업의 주가와 주당순이익 사이의 관계를 시각화한 것입니다. 이 차트를 통해 투자자는 주당순이익 변화가 주가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 앞으로의 주가 변동을 예측할 수 있게 됩니다.
주가는 예상(추정) 주당순이익의 방향을 따라갑니다.
예상 주당순이익의 증가 폭이 클수록 미래 주가 상승률도 높습니다.
예상 주당순이익 상승률이 전년대비 하락하면 주가도 상승 탄력이 떨어집니다.
차트 왼쪽(주가)과 오른쪽(주당순이익)값을 연결한 선은 PER(주가/주당순이익)을 의미하며, 주가가 주당순이익 차트보다 아래에 있으면 저평가로 판단합니다. 초이스스탁의 밸류에이션 차트와 함께 보면 더욱 유용합니다.
주가(Price): 주가는 주식이 시장에서 거래되는 가격을 나타냅니다. 차트에서 주가는 주식 시장에서의 가격 변동을 보여줍니다. 주가가 상승하면 주식 시장에서의 수요가 높아진 것으로 해석되고, 주가가 하락하면 수요가 감소했다고 해석합니다.
EPS(Earnings Per Share): EPS는 기업의 순이익을 발행된 주식 수로 나눈 값으로, 주당순이익을 의미합니다. EPS는 기업의 수익성을 나타내는 지표로 활용됩니다. EPS가 높을수록 기업이 순이익을 주주들과 나눠갖는 비율이 높다는 것을 의미하며, 투자자들은 높은 EPS를 선호합니다.
주가 및 EPS(주당순이익) 차트는 기업의 주가와 주당순이익 사이의 관계를 시각화한 것입니다. 이 차트를 통해 투자자는 주당순이익 변화가 주가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 앞으로의 주가 변동을 예측할 수 있게 됩니다.
주가는 예상(추정) 주당순이익의 방향을 따라갑니다.
예상 주당순이익의 증가 폭이 클수록 미래 주가 상승률도 높습니다.
예상 주당순이익 상승률이 전년대비 하락하면 주가도 상승 탄력이 떨어집니다.
차트 왼쪽(주가)과 오른쪽(주당순이익)값을 연결한 선은 PER(주가/주당순이익)을 의미하며, 주가가 주당순이익 차트보다 아래에 있으면 저평가로 판단합니다. 초이스스탁의 밸류에이션 차트와 함께 보면 더욱 유용합니다.
주가(Price): 주가는 주식이 시장에서 거래되는 가격을 나타냅니다. 차트에서 주가는 주식 시장에서의 가격 변동을 보여줍니다. 주가가 상승하면 주식 시장에서의 수요가 높아진 것으로 해석되고, 주가가 하락하면 수요가 감소했다고 해석합니다.
EPS(Earnings Per Share): EPS는 기업의 순이익을 발행된 주식 수로 나눈 값으로, 주당순이익을 의미합니다. EPS는 기업의 수익성을 나타내는 지표로 활용됩니다. EPS가 높을수록 기업이 순이익을 주주들과 나눠갖는 비율이 높다는 것을 의미하며, 투자자들은 높은 EPS를 선호합니다.
20년 이상의 금융 빅데이터와 알고리즘 기술을 통해 종목의 매매신호를 신속하게 제시합니다.
매매신호는 스마트 스코어 / 밸류에이션 / 수급분석 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결정합니다.
매매신호는 매수-보유-매도-관망 신호를 제공하며, 3개 조건을 모두 만족 할 때 매수 및 보유신호가 발생합니다.
스마트 스코어는 우량주 발굴을 위한 최적의 솔루션입니다.
20년 이상 축적된 방대한 금융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22개 핵심 요인(Factor)을 심층 분석하여 기업의 성장성, 수익성, 안전성, 독점력, 현금창출력을 종합적으로 평가합니다.
높은 스마트스코어는 장기적 투자 가치가 뛰어난 우량주를 의미하며, 투자자에게 과학적이고 객관적인 투자 의사결정 기준을 제공합니다.
성공적인 투자를 위해서는 스마트스코어 분석 후 당사의 체계적인 밸류에이션 및 수급분석 도구를 함께 활용하시기 바랍니다.
특히 투자 경험이 적으신 분들은 종목별 AI 매매신호 서비스를 통해 최적의 매매 타이밍을 포착하실 수 있어 더욱 안정적인 투자가 가능합니다.
관심종목 등록으로 종목정보를 빠르게 확인하세요.
프리미엄회원은 관심종목 알림서비스가 제공됩니다.
결제 처리중 입니다...
중복결제가 될 수 있으니 페이지를 새로고침 하거나 이동하지 마시고 잠시 기다려주세요.
구독취소 처리중 입니다...
취소 에러가 날 수 있으니 페이지를 새로 고침하거나 이동하지 마시고 잠시 기다려주세요.
카드변경 처리중 입니다...
카드변경 에러가 날 수 있으니 페이지를 새로 고침하거나 이동하지 마시고 잠시 기다려주세요.